<멀고도 가까운>... 레베카 솔닛의 이 책은 여기 저기서 좋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 

 

 

주말의 추리/스릴러 읽기로 <폭스가의 살인>을 다 읽은 후 꽉꽉 채워져 더이상 입추의 여지가 없는, 그래서 한숨만 푹푹 나는 책장 앞으로 다가가, 이번엔 한 권이 아니라 여러권을 쑥쑥 뽑아들었다. 한 권만 읽지 말고 여러 권을 병행해서 읽자, 날도 더운데. 그런 생뚱맞은 생각 때문이었고, 그 중에 가장 제일 먼저 뽑아든 책이, 이 책이다.

 

좋은 책일 것 같은데, 뭐랄까... 좀 어두운 내용일까봐 두려워서 계속 보지 못했다. 얼핏 본 내용이... 이제야 펼쳐들 마음이 생겼다. 정여울이나 정희진이 호평을 한 추천사가 보인다. 사실 이런 추천사에 마음이 혹하지는 않는다. 다만 쓴 내용이 다른 책에 비해 좀더 마음에 와닿기는 한다. '제가 읽은 가장 구체적인 잠언이에요. 허공에 뜬 구절이 하나도 없습니다. 이런 글은 노동하는 여성만이 쓸 수 있어요... (정희진)' 이런 평은 아무 책에나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더운 여름, 읽겠다고 뽑아든 내가 잘 한 선택을 한 거구나 괜히 흐뭇해했다.

 

 

 

당신의 이야기는 무엇인가? 이야기란, 말하는 행위 안에 있는 모든 것이다. 이야기는 나침반이고 건축이다. 우리는 이야기로 길을 찾고, 성전과 감옥을 지어 올린다. 이야기 없이 지내는 건 북극의 툰드라나 얼음뿐인 바다처럼 사방으로 펼쳐진 세상에서 길을 잃어버리는 것과 같다.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은 그의 입장이 되어 보는 것이라고 흔히들 말한다. 이는 당신이 그의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는 것 혹은 그의 이야기를 스스로에게 어떻게 말하면 좋을지 가늠해 보는 것이다. (p13)

 

첫 장, 첫 문단이다. '살구' 라는 제목 아래 '이야기'라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기대된다. 나도 이 글들을 읽고 읽음의 행위를 통해 위로를 받을 수 있기를... 바래본다.

 

그리고는, 책장을 정리하지 않고는 절.대.로. 책을 구입하지 않겠다 결심했던 것은, 갖은 핑계로 한 켠에 밀어 버리고 - 날이 덥다, 피곤하다, 아직 꽂을 데가 보이네? 뭐 이런 염치없는 변명들이 마음에서 버섯처럼 쑥쑥 솟아올랐다 - 최소한의 책을 구매했다. 최소한의 ... 정말 읽고 싶은 책들 속에서 지금 당장 봐야겠다는 것들.

 

 

 

 

 

 

 

 

 

 

 

 

 

 

 

 

딱 5권만. 5권만... 더 이상 고를까봐 얼른 인터넷 창을 닫고 결제를 해버린다. 이제 15일 이후 한번 더 사는 거야. 그 때까지는 제발 정리 좀 하자...

 

요 네스뵈의 책은... 제목이 누가 볼까 두려운 책이지만 (바..퀴..벌..레...), 그래도 요 네스뵈의 책은 나오는 즉시 사지 않고는 배길 수 없는 마력이 있는 작품들이다. 끙.

 

비턴의 <험담꾼의 죽음>은... 2권이 더 나왔으나.. 꾸욱 참고 일단 첫 권만 사는 걸로. 하나 읽어 보고 다음 거 사야 하는 거지. 다 사놓고 별루면 우짤 거야. 라고 나의 불타는 구매욕구를 확 눌러 버렸다.

 

에드워드 윌슨의 <인간 존재의 의미>는 말할 필요도 없고 프리모 레비의 <고통에 반대하며>도 마찬가지다. 나오면 봐줘야 하는 책들이 있는 거다. 이들이 쓰는 책들은 내게, 그러하다. 그리고 하나 더 붙여, 중국출장을 가야 하는 입장에서 <이만큼 가까운 중국>을 골랐다. 아마 청소년들도 읽을 만큼 사진도 크고 글도 쉽고 그런 책인 것 같지만, 중국에 대한 관점을 가지고 싶은데 도대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 지 몰라서 우선 이것부터. 좀더 정리가 되면 중국사를 제대로 읽고 싶다. 중국의 역사는 여러가지 일화와 사자성어까지 더불어서 매우 흥미진진한 서사니까.

 

한 주만 더 참으면 일주일 휴가다. 버티기 일주일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16-08-08 10: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런 글은 노동하는 여자만이 쓸 수 있어요...정희진이 저런 말 썼군요. 노동이라는 게 구체적으로 뭘 뜻하는 걸까요?

저는 꾹꾹 참고 있어요. 집에 안 읽은 책이 너무 많아서... 일주일 지나면 저의 애들은 개학이에요~

비연 2016-08-08 13:32   좋아요 1 | URL
저도 읽고 있는 중이라, 정희진이 무슨 의도로 썼는 지는 읽어봐야 알 듯... 다만, 저런 평을 받는 글은 어떤 글일까 궁금해지더라구요. .... 애들이 개학이라면.. 기억의집님의 해방날(?)이 다가오는 거군요!^^
 
폭스가의 살인 엘러리 퀸 컬렉션 Ellery Queen Collection
엘러리 퀸 지음, 이종인 옮김 / 검은숲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거 예전에 읽은 것 같은데.. 라고 생각하면서도 책을 손에서 못 놓고 일요일 오후를 헌납하여 읽었다. 더운 여름, 집에 박혀 읽기에 좋은 책이다 하면서. 엘러리 퀸은 언제 읽어도, 다시 읽어도 내게는 매력적인 작품들을 선사한다. 인간의 내면을 뚫어 보는 힘, 그게 있어서인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혹시나 혹시나 마음 졸였는데... 결국 승률은 60% 초반대로 떨어지고... 덕분에 순위도 '2위'로 떨어졌다. 엘쥐에게 losing series를 당하더니 롯데에게도. 현재 4연패. 근데 희망이 보이지 않는다는 게 더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아. 이게 왠 일. 116일만이고... 7게임 차까지 벌여두었던 것이 이리 역전이 되다니. 정재훈은 시즌 아웃되었고 선발 투수들이 난조를 보이고 타자들의 방망이가 터지지 않고 있고... 양의지 이제 들어왔고 에반스 데드볼 여파로 못 나오고 있고 정수빈 난조이고 박건우 김재환이 시즌 초중반에 보여준 힘을 발휘 못하고 있고... 등등등 등등등 ....  악재가 계속 겹치고 있다.

 

오늘은 롯데 상태로 유희관. 왜 이리 믿음이 가지 않는 지. 심지어 어제는 '노경은'이 투수였는데도 제대로 쳐내질 못해서 엄청난 점수차로 졌으니. 아이구야. 머리가 아프다. 날도 더운데 속에서 불이 나는구나.

 

뭐 야구 가지고 그러세요. 이길 때가 있으면 질 때도 있는 거지.. 라며 비웃으실 지도 모르지만, 제 취미가 야구 관람 및 분석, 두산 응원이라는 것을 생각할 때... 취미가 지금 위협받고 있다는, 제게는 상당히 큰 문제입니다.. 라고 말씀드리고 싶다. 매일 야구 보는 재미로, 호쾌한 두산 야구 보는 재미로 지내고 있는 나에게 이건... 시련이다.

 

오늘은 제발.. 연패의 사슬은 끊어주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책을 원서로 읽겠다 생각한 건, 그냥 충동적인 것이었다. 처음 나온 게 몇 년 전이었던 것 같은데, 그저 그런 사랑 이야기 - 심지어 사지마비 환자인 남자와 그를 돌보는 여자와의 사랑 이야기라니 - 라는 생각에 진부하다 여기고 쳐다 보지도 않았었다. 그러다가 우연히 최근에 영화가 나온 걸 알게 되었고, 우습게도 포스터가 마음에 들어서 - 왜냐고 묻지 말라. 그냥 여주인공의 빨간 드레스가 눈에 들어왔다.. - 다시 쳐다보게 되었다는 거고, 이 정도면 영어로 읽어도 되겠다 싶어서 원서를 집어든 것 뿐이었다. 그러니까 요는, 그닥 기대하지 않고 보기 시작했다는 말을 하고 싶은 거다... 서두가 길었다. 나는 항상 이게 문제다..ㅜ

 

이 책, 다 읽고 나니 권하고 싶어진다. 대단한 이야기가 담긴 건 아니다. 하지만 그냥 사랑 이야기는 아니다. 가족의 이야기이고, 꿈을 빼앗긴 사람의 이야기이고, 이제 꿈을 찾아가는 사람의 이야기이고, 그렇게 더불어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무엇보다 영어가 쉽다. 영어로 읽었다고 자랑하는 게 아니라 (요즘 이게 무슨 자랑거리겠는가..ㅜ) 정말 쉬워서 이 느낌을 제대로 받으려면 영어가 좋겠다는 생각이다.

 

나는, 주인공인 Louisa가 마음에 든다. 그 감정의 선이 자연스럽고 어디에서나 당당하게 자신일 수 있는 성격이 좋고, 무엇보다 자신의 감정에 충실한 면이 좋다. 그녀의 말과 행동을 따라 책을 읽어나가다 보면, 마음이 밝아지는 걸 느꼈다. 남자 주인공인 Will이 정말 그녀를 보면서 인생의 마지막을 즐겁게 보낼 수 있었겠다고 감정이입이 될 만큼.

 

결말을 다 알고 이 내용을 쭈욱 따라가는 건, 사실 쉬운 일은 아니었다. Louisa가 열심으로 하는 이 일들이 결국 Will의 결심을 되돌리기엔 역부족이리라는 걸 알기에 애처롭기도 하고 혹시 하는 말같지도 않은 공상에 빠지기도 했다. 하지만, 그것은 Will의 선택이었고... 아... 마지막 스위스에서의 회동은... 눈물이 나서 손바닥으로 연신 닦아가며 보아야만 했다.

 

He gave me a small smile, almost an apology.

'Clark,' he said, quietly. 'Can you call my parents in?' (p473)

 

그의 마지막 말. 이 부분에서는 흐느끼기까지 한다, 비연. 안락사라는 것. 자신이 스스로 자신의 죽음을 결정한다는 것. 살아있는 자신을, 어느 시간대에 끊어낸다는 것. 그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게 가능한 일일까. Will처럼.. 이건 내가 원했던 삶이 아니며, 앞으로는 더 나빠질 것이며, 그렇게 살기에는 "Louisa의 사랑만으로도 충분하지 않다"는 Will. 나는 이 "I'm sorry. It's not enough." 라고 말하던 Will의 마음이 이해되어졌다.

 

'It's not enough for me. This - my world - even with you in it. And believe me, Clark, my whole life has changed for the better since you came. But it's not enough for me. It's not the life I want.' (p425)

 

신파적인 스토리였다면, 어쩌면, 여자가 남자를 진심으로 사랑하게 되었고, 그래서 남자가 그 사랑을 받아 삶에 대한 의지를 불태우게 되었으며, 결국 마지막은 모르겠지만, 남자는 결심을 되돌리고 둘이 빛나는 미래를 꿈꾸었어요... 가 되었겠으나, 이 소설은 냉정하다. 현실적으로 남자에게 있어 사랑이 그의 마음을 되돌릴 만한 것이냐, 그것은 삶과는 별개의 것일 수 있다, 라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이 소설이 더 인상적인 지도 모르겠다.

 

So this is it. You are scored on my heart, Clark. You were from the first day you walked in, with your ridiculous clothes and your bad jokes and your complete inability to ever hide a single thing you felt. You changed my life so much more than this money will ever change yours.

Don't think of me too often. I don't want to think of you getting all maudlin.

Just live well.

Just live.

Love,

Will. (p480)

 

Will이 Louisa에게 남긴 마지막 메세지이다. 마지막 말들, 마음이 저릿해지는 글귀들이다. Just live. Just live.... Will 같이 용감한 사람이 된다는 건, 멋진 일이기도 하지만 슬픈 일이기도 하다는 걸 문득 느끼게 된다.

 

이 책 이후에도 책이 나온 것 같지만, 난 후속편은 읽지 않겠다. 여기까지. 이 마지막 글귀를 마음에 담아 두고 이 책을 기억하고 싶기 때문이다. 누군가가 떠나고 난 다음의 빈자리를 '설명'하는 건 때때로, 아니 자주 충분치도 않고 감동적이지도 않다. 예전 <러브스토리>라는 영화의 후속편을 보고 나서 느꼈던 그 실망감이 다시 되살아날까 두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좋은 시를 발견했다. 많은 이들이 사랑한 시였다는데... 모르고 있었다.

 

 

만약...

 

- J. 러디어드 키플링

 

모든 사람이 이성을 잃고 너를 비난해도

냉정을 유지할 수 있다면

모두가 너를 의심할 때 자신을 믿고

그들의 의심마저 감싸 안을 수 있다면

기다리면서도 기다림에 지치지 않는다면

속임을 당하고도 거짓과 거래하지 않고

미움을 당하고도 미움에 굴복하지 않는다면

그런데도 너무 선량한 체, 현명한 체하지 않는다면

 

꿈을 꾸면서도 꿈의 노예가 되지 않을 수 있다면

생각하면서도 생각에 갇히지 않을 수 있다면

승리와 재앙을 만나고도

이 두가지를 똑같이 대할 수 있다면

내가 말한 진실이 악인들 입에 왜곡되어

어리석은 자들을 옭아매는 덫이 되는 것을 참을 수 있다면

네 일생을 바쳐 이룩한 것이 무너져 내리는 걸 보고

낡은 연장을 들어 다시 세울 용기가 있다면

 

네가 이제껏 성취한 모든 걸 한데 모아서

단 한 번의 승부에 걸 수 있다면

그것을 다 잃고 다시 시작하면서도

결코 후회의 빛을 보이지 않을 수 있다면

심장과 신경, 힘줄이 다 닳아버리고

남은 것이라곤 버텨라! 라는 의지뿐일 때도

여전히 버틸 수 있다면

 

군중과 함께 말하면서도 너의 미덕을 지키고

왕들과 함께 거닐면서도 오만하지 않을 수 있다면

적이든 친구든 너를 해치지 않게 할 수 있다면

모두를 중히 여기되 누구도 지나치지 않게 대한다면

누군가를 도저히 용서할 수 없는 1분의 시간을

60초만큼의 장거리 달리기로 채울 수 있다면

이 세상 모든 것은 다 네 것이다.

무엇보다 아들아, 너는 비로소 한 사람의 어른이 되는 것이다!

 

 

IF

 

- Rudyard Kipling

 

If you can keep your head when all about you
Are losing theirs and blaming it on you;
If you can trust yourself when all men doubt you,
But make allowance for their doubting too:
If you can wait and not be tired by waiting,
Or, being lied about, don't deal in lies,
Or being hated don't give way to hating,
And yet don't look too good, nor talk too wise;

If you can dream---and not make dreams your master;
If you can think---and not make thoughts your aim,
If you can meet with Triumph and Disaster
And treat those two impostors just the same:.
If you can bear to hear the truth you've spoken
Twisted by knaves to make a trap for fools,
Or watch the things you gave your life to, broken,
And stoop and build'em up with worn-out tools;

If you can make one heap of all your winnings
And risk it on one turn of pitch-and-toss,
And lose, and start again at your beginnings,
And never breathe a word about your loss:
If you can force your heart and nerve and sinew
To serve your turn long after they are gone,
And so hold on when there is nothing in you
Except the Will which says to them: "Hold on!"

If you can talk with crowds and keep your virtue,
Or walk with Kings---nor lose the common touch,
If neither foes nor loving friends can hurt you,
If all men count with you, but none too much:
If you can fill the unforgiving minute
With sixty seconds' worth of distance run,
Yours is the Earth and everything that's in it,
And---which is more---you'll be a Man, my son!

 

심지어, 키플링이 직접 시를 읽어주는 목소리가 녹음된 사이트도 있었다.                                                

http://www.poemhunter.com/poem/if/ 

 

***

 

이 시를 쓴 사람은 우리가 아는 그 키플링이다. <정글북>을 썼고 그 문학적 성과로 노벨문학상까지 받은 사람이다. 영국인이었으나 인도에서 나고 자랐고 정서적으로는 인도인에 가까왔던 그는, 항상 주변인 경계인으로서의 위치에서 머물러야 했다. 노벨문학상을 타고도 우쭐대거나 대단한 척 하지 않고 칩거하며 이 시를 썼다 한다. 아들에게 주는 시.

 

승리와 재앙을 만나고도

이 두가지를 똑같이 대할 수 있다면...

 

이런 글을 쓸 수 있는 사람이라면, 아마 사람들이 말하는 세속적인 성공에서 자신을 발견하는 짓 따위는 하지 않았으리라 믿어본다. 간디가 가장 좋아하는 시였고, 그 외의 많은 사람들이 힘들 때마다 마음을 다지며 스스로의 평정을 찾아가기 위해 찾았던 시라고 한다... 나 또한 참.. 감동을 받아 요즘 매일 이 시를 읽고 있다. 가끔, 절렬한 키플링의 육성도 들어가면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08-07 15: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키플링은 제국주의자였습니다. 조지 오웰이 키플링을 ‘역겨운 배타적 제국주의자’로 비판할 정도였습니다.

비연 2016-08-07 16:28   좋아요 0 | URL
예.. 조지 오웰이 그런 말을 했다는 것도 알고 있어요... 다만 시가 좋다는 얘길 하고 싶었던 거구요. 그런 제국주의자의 시를 간디가 가장 사랑했던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