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렌드 코리아 2018 (10주년 특집판)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18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7년 11월
평점 :
매년 소비트렌드를 읽어주는 <트렌드 코리아>
이번 2018년에는 WAG THE DOGS로 분석해봅니다.
황금 개의 해, 꼬리가 몸통을 흔들다.
2017년의 혼란스러웠던 여러 파동들을 넘어,
이번 2018년은 어떻게 소비트렌드가 펼쳐질지,
특별히 10주년 특별판인 경영도서를 통해,
올 한 해의 소비트렌드 경향 예측을 읽어봅니다.
트렌드라는 것에 대해 대략은 알지만
그래도 이렇게 책으로 한 번 정리해봅니다.
트렌드는 경제, 기술, 인구의 동인이
어떻게 메가트렌드에
영향을 미치고, 그 메가트렌드는 다시
어떻게 트렌드로 나타나는가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트렌드를 읽는 나침반인 메가트렌드,
지난 10년간 <트렌드 코리아>는 매년을 짚어왔다죠.
이번에는 특히 10주년 특별판으로서,
쭈욱~ 정리를 해주는 코너가 더해졌어요.
작년과 올해, 다른 것 같지만
신기하게도 한 해를 돌아보면 조금조금 달라요.
트렌드를 읽어주는 경영도서를 통해
지난 10년간의 우리사회 소비자경제 특성을 봅니다.
매년 트렌드코리아의 구성이 그렇듯,
10년간의 분석과 더불어 이어지기를,
먼저 2017년 CHICKEN RUN을 살펴보는데요.
2017년 트렌드코리아에서 짚어준대로,
저는 공유경제로의 진화가 상당히 눈에 뜨였다죠.
또한, 내 멋대로 '1코노미'도 눈에 2017년의 특성인데
공유경제와 1코노미는 맞물리는 현상이다 싶었어요.
필요이상의 몸집을 키우지 않는다고나할까요.
공유경제와 경험 중심의 활동도 또한 엮여보여요.
최근에 읽었던 돈에 관한 책에서도
절약이 무조건 미덕이지만은 않은 건,
기꺼이 지불해서 나를 채울 경험이 중요해서라고.
재화 소비처럼 써버리고 모르겠다 관점이 아닌,
다음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경험'
2017년, 경제가 어려운 상황의 배경 덕인건지
뭔가 좀 더 실속 차리는 소비자 트렌드 추세로 읽힙니다.
2017년 세계 경기에는 훈풍이 불었다고.
그리하여 2018년에도 세계 경제 성장률 예상은
상향 조정되었다고 하는데,
한국 입장에서는 환경상 꼭 그렇지만도 않게도,
국내 경제 성장에 영향이 크던
건설 투자 전망이 그리 밝지 않고,
미국과 중국 정부와의 관계를 보건데 그리...
그렇다 하더라도, 분명 소비자 경제는 여전 있으니,
2018년 개의 해를 예상해 보건데.
● WAG THE DOGS
첫번째' W':
What's your small but Certain Happiness?
소확행, 작지만 확실한 행복.
무라카미 하루키가 만들고 널리 알린 이 개념은,
작지만 확실한 시각을 말하고 있지요.
행복? 그거 별거야? 할지 모르지만,
삶에 대한 밝은 에너지는 분명 동기가 될거에요.
워낙 휙휙 변화하는 세상을 보건데,
이제는 작더라도 확실한 행복,
누가 뭐래도 나만의 관점의 소소한 행복추구는
일상에 에너지를 불어넣고 있지요.
기업에 있어서는 이러한 추세에 대해
뭐든 집에서 해결하려는 '홈루덴스'를 공략하게 되겠고요.

두번째 A도 또한 주목해야 할 개념이었습니다.
Added Satisfaction to Value for Money:
● 가성비에 가심비를 더하다: '플라시보 소비'
이제 소비자들은 기능만을 추구하는 이성에만 집중하지 않고
더불어, 심리적인 면까지도 더해서 소비를 결정하게 됩니다.
가심비란 가격대비 심리적만족의 비율을 뜻합니다.
모두가 이야기하는 가성비를 넘어,
내가 스트레스가 풀린다는 심리적 효과가 있다면
기꺼이 지갑을 열어볼 수 있다는 의미.
그렇다면 기업에게는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가?
소비주체의 감성을 어루만지는 고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
가심비 중심의 소비 패턴은 소비가 더 이상 결핍의 충족이라는
평면적인 기능을 넘어 소비 주체의 감성을 어루만져야 하는
고차원의 단계에 들어섰음을 시사한다. (p.290)
독자의 입장에서 한편으로 생각해보건데,
초연결 시대에서는 기술을 토대로 기계도 사람도 정보도 워낙 이어지니
이제는 진정 제대로 만족시킬 상품과 서비스가 살아남을 수 있으리 싶습니다.
물론, 가심비는 가성비보다 더 어렵게 '심리'는 주관화 성질이 강하여,
기업 입장에서는 좀 더 세밀한 고심이 필요할 수도 있겠죠.
경영도서 트렌드 코리아2018은 이렇게
꼬리가 몸통을 흔드는 시대 WAG THE DOGS를
키워드를 중심으로 차분히 풀어나가는데,
꽤 흥미로운 분석이다 싶었습니다.
2017년과 비슷한 듯 하지만 조금 더 진화한 소비경제시장.
느낌이 뭐랄까....
'자아를 찾고 있는 소비자'랄까요?
경영도서임에도 은근 우리사회의 소비자 각각을 이해하는
교양도서마냥 유익하면서도 흥미로운 책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