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gels & Demons (Mass Market Paperback)
댄 브라운 지음 / Pocket Star Books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꼭두새벽, 예술사학자이자 기호학자인 로버트 랭던 교수는 곤히 자다가 난데없이 걸려온 전화에 깨어납니다. 말도 안 되는 헛소리라 일축하고 전화를 끊었지만, 팩스로 보내져 온 시체 사진을 보고 경악하여 제네바에 있는 과학연구소 CERN으로 날아가죠.  

가슴에 'Illuminati'란 화인이 찍힌 채 죽어 있는 천재 물리학자이자 천주교 사제. 이미 지상에서 사라졌다고만 여긴 반기독교 단체 일루미나티의 증거를 앞에 두고 랭던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여기지만, 곧 바티칸을 배경으로 벌어지는 종교와 과학의 전쟁에 말려들게 됩니다.

워낙 유명한 베스트셀러기에 The Da Vinch Code를 사서 읽기 시작했는데, 어째 주인공을 두고 ‘작년의 사건으로 유명해진’ 운운하는 모양새가 전작이 있는 분위기더라구요. 그래서 알아보니, 다행히 그전에 사둔 이 Angels&Demons가 ‘Robert Langdon`s first adventure'란 선전문을 달고 있더군요. 그래서 읽던 책을 덮어두고 이쪽부터 읽기 시작했습니다.  

작가 서문에서조차 The Da Vinch Code를 사랑해줘서 고맙다, 이 책은 그 전작이다 어쩌구 하는 걸 보니 뭔가 불쌍한 기분이 들려고 하네요. 너무 잘난 동생을 둬서 자기 자신만으로 평가받지 못하고 늘 동생의 후광을 업고 언급될 수밖에 없는 형을 보는 기분이랄까요?

그냥 스릴러 소설, 즉 픽션으로만 생각했는데, CERN이 실존하는 물리학 연구소란 사실을 알고 놀랐습니다. 반기독교 비밀단체 일루미나티는 영화 툼레이더에서 ‘광명파’란 엄한 자막번역으로 등장하는 걸 봤던 기억이 있어 새로웠고(아 그게 진짜 있는 거였네?), 바티칸의 등장은 민감한 소재일텐데 싶어 신기했죠.

일루미나티에 대한 역사적 사실과 반물질에 대한 물리학 강의가 이어지는 앞부분은 전문 용어와 내용이 난무하다 보니 좀 읽기 버거웠습니다. 물론 뒤에도 어려운 얘기들은 즐비하지만, 분초를 다투며 시를 단서로 삼아 로마를 사방팔방 뒤지고 다니는 상황이니만큼 속도감이 만만치 않아서, 가끔은 뒤에 어떻게 되는 건지 궁금해 죽겠는데 생각만큼 팍팍 나가지 않는 독서 속도가 답답하기까지 하더군요.  

로마를 실제 가보신 분이라면 더 재미있을 거예요. 여러 역사적 유적지들이 배경으로 펼쳐지거든요. 반물질이나 이런저런 예술품 속에 담긴 상징, 기독교에 스며들어 있는 다른 종교의 영향, 교황 선출 방식 등도 흥미로웠고요.

하지만 몇 가지는 아쉽군요. 쉴새없이 돌아가는 사건 속에서 캐릭터 묘사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건 인정하지만, 특히 몇몇 캐릭터는 너무 정형화된 게 아닌가 싶었어요. 숨막히게 이어져나간 중간 부분에 비해 후반부는 깔끔한 뒷맛은 아니었어요. 조금 무리하게 연결한 설정이 아닌가 싶기도 하고.

아무튼 The Da Vinch Code를 재미있게 읽으신 분이라면, 보셔도 후회하지 않을 만한 책입니다. 순서대로 읽는 쪽이 더 낫겠지만요.

[인상깊은구절]
From Santi`s earthy tomb with demon`s hole,
`Cross Rome the mystic elements unfold.
The Path of light is laid, the sacred test,
Let angels guide you on your lofty ques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림 역 어린이가 사는 집(...) 사진. 2009년 2월 사진입니다.)
영화 보고 돌아와서 배우들 관련 글들을 좀 뒤져봤습니다.
아역배우들이 슬럼 출신이라고 들었기에 근황이 궁금했달까...

어린 살림, 자말, 라티카를 연기한 배우들 중, 주인공 자말 역의 아이는 중류층 출신 아역배우였고, 나머지 둘이 슬럼 출신 아이들이라네요.
(이름치매라서 그냥 배역 이름으로 부르겠습니다;)

현재 아이들에게 지불한 출연료는 정말 그닥 많다고는 할 수가 없네요.
라티카 역이 500파운드(100만원)고 살림이 1700파운드(340만원).
이것도 말이 많은가봐요. 그쪽 기준으로는 상당한 돈이겠지만... 영국 기준으로야.;

대신 18세까지의 학비를 대고, 그애들이 어른이 되면 받을 수 있게 신탁 펀드를 개설했다고 합니다. 액수는 비밀.
이 영화가 잊혀지고 난 한참 후에도,그 애들에게 오래도록 도움이 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합니다.

IMDB 게시판의 어떤 사람은 그건 그 액수에 계약해버린 그 아역배우 가족들의 실수다, 라는데...
애들이나 부모가 몸값 마음껏 부를 수 있는 처지도 아닌바에야 그건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생각.;
없는 처지에야 저돈도 커보였을 테고, 막말로 걔들이 너무 튕기면 다른 애들로 캐스팅할 수 있는 상황이잖아요.

그런데 당장 가난한 처지인 가족으로서야... 내일 배부를 수 있다고 오늘 배고픈 걸 잊을 수는 없지요.
학비 댄다고 해도... 어른이 될 때까지 실제적으로 형편이 어려운데 학업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

살림 역 배우의 아버지는 "돈을 당장 받고 싶다, 내 아들은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는데 아직 빈민촌 생활이다, 대니 보일 감독이 내 아들 책임져야한다"라고 하셨다는데,
처지는 난감하지만 이건좀; 대니 보일이 왜 걔를 책임져야...;

아버지가 아이더러 집 앞에 서서 기자들에게 포즈 취하라는데 막 귀국한 애가 지치고 피곤해서 싫다고 하니 따귀를 때렸다는 흉흉한 얘기도 돌더군요.
헛소문이겠거니 했는데 기사에 이런 사진이...;


 

아무튼 나라의 이름을 널리 알렸다는 공로로 주택개발공사(?) 같은 데서 두 아이에게 주택을 제공하기로 했답니다.

이건 그래도 좋은 소식이었지만...음...

라티카 역의 아이는 5년 전 어머니가 부자와 결혼하겠다며 세 자식을 두고 집을 나가서 감감소식이었다고 해요.
그래서 아버지와 새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었는데, 공짜 집을 얻게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친어머니가 돌아오셨답니다.

그리고는 아이의 권리를 주장하고, 그 새 집에서 같이 살고 싶다고 했다네요...
남의 가정 사정이야 모를 일이지만, 아이는 어머니를 원망하고 아버지와 살고 싶다고 했다는데.;

대니 보일이 이 난장판을 어느 정도 예상하고도 슬럼출신 애들을 캐스팅한 거라면 용감한 바보고,
미처 생각지 못하고 그냥 저지른 거라면... 바보지만 용감했다고 해주렵니다. ㅠㅠ

가디언 지에 실린 라티카 역 아이의 말이 참 가슴아프네요.
할리우드 영화를 찍는 게 어땠냐고 물었더니 "참 좋은 사람들이었어요. 절대 날 때리지도 않고."라고 했다고.

...일단 두 아이 다 차기작으로 인도 영화에 캐스팅된 모양이니, 앞으로 잘 되기를 바랍니다.


* 여기 언급한 얘기들은 위키디피아 영문판 등을 둘러본 결과라... 지금은 상황이 변했을지도 모르겠네요.
위키는 이런저런 신문에 실린 소식들을 종합해 놓은 거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아노 튜너'를 '피아노 조율사'라고 하면 직업의 격이 떨어지기라도 하나요...?     

 

 

 

 

 '콜드 문' 말고 '차가운 달'로 해도 충분히 분위기 사는 거 같은데.    

 

 

  

 

 

 

세상에, '어필'이 뭐야, '어필'이. -_-  

저게 법률용어로 항소란 뜻이라고 척보고 알 사람이 몇이나?  

(아직 이 책 안봐서 모르겠는데, 내용상 뭔가 중의적 의미라도 있는 겁니까...?)  

 

 

'트와일라잇' 시리즈까지만 해도 참았어요... '호스트'가 뭐냐고요. 호스트가. ㅠㅠ 책 내용소개를 읽어보니 기생 외계인의 '숙주'라는 뜻인가 본데, 호스트라고 하면 다 술따르는 호스트 생각하지 않겠어요? ㅠ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해한모리군 2009-03-03 09: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필!!은 정말 문제군요.

빠삐용 2009-03-03 19:48   좋아요 0 | URL
괜히 있어보이려고 별거 다 갖다붙이는 제목짓기도 안 좋아하지만,
원제 그냥 갖다붙이기보단 좀더 고민을 해주었으면 싶어요.

하이드 2009-03-03 1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콜드문이 차가운 달인가요?
호스트..라고 해도, 술 따르는 호스트 생각 안 나는데요;

빠삐용 2009-03-03 19:47   좋아요 0 | URL
기억이 가물거리지만 내용상 꼭 콜드문이라고 표기해야 하는 고유명사는 아니었습니다.

...호스트는 제가 썩어서...;
 



19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이클립스- 나의 뱀파이어 연인
스테프니 메이어 지음, 윤정숙 옮김 / 북폴리오 / 2008년 12월
14,000원 → 12,600원(10%할인) / 마일리지 7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09년 03월 30일에 저장

말괄량이 패티
진 웹스터 지음, 이선혜 옮김, 한현주 그림 / 을파소 / 2008년 12월
9,800원 → 8,820원(10%할인) / 마일리지 490원(5% 적립)
2009년 03월 26일에 저장
품절

누가 울새를 죽였나?
마사 지음, 나노 그림 / 학산문화사(만화) / 2009년 3월
5,000원 → 4,500원(10%할인) / 마일리지 250원(5% 적립)
2009년 03월 25일에 저장
품절
조선 기담- 왕조실록에서 찾은 조선 사회의 뜻밖의 사건들
이한 지음 / 청아출판사 / 2007년 11월
12,000원 → 10,800원(10%할인) / 마일리지 600원(5% 적립)
2009년 03월 23일에 저장
품절



19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 히스 레저가 르웰린 모스 역으로 얘기가 오갔으나, '잠깐 휴식을 취하기 위해' 물러났다.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라는 영화 원작 소설 제목은 예이츠의 시 <비잔티움 항해>에서 따왔다.

- 대부분은 예산상의 이유로, 영화는 거의 라스베가스에서 촬영되었다. 토미 리 존스는 코엔 형제를 설득하여 몇몇 장면은 웨스트 텍사스에서 촬영하게 했다.

- 대부분의 원작소설이 있는 성공한 영화들과 달리, 영화의 상당수 액션은 코맥 맥카시의 소설 그대로 벌어졌으며 게다가 사건 진행 순서도 같다. 예를 들어 벨의 영화상 마지막 연설 장면은 책의 마지막 페이지에 실려 있다.

- 쉬거가 차를 폭파시킨 후 들어간 약국 이름은 마이크 조스 약국이다. 이것은 코엔 형제가 젊은 시절 즐거운 시간을 보냈던 미네아폴리스의 마이크 조스 약국에서 따온 것이다. 코엔 형제는 또한 자신들의 제작 회사를 마이크 조스 프로덕션이라 이름했다.

- 코엔 형제는 특수 제작된 가짜 혈액을 런던에서 촬영지까지 1갤런에 8백달러나 주고 사들였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옥수수 시럽으로 만든 가짜 혈액을 쓸 경우 당분에 이끌려 몰려들 벌레와 동물들에게 사막에 몇 시간이나 누워 있어야 하는 엑스트라들이 시달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였다.

- 조엘 코엔과 에단 코엔은 조쉬 브롤린의 영화 오디션을 하지 않으려 했고, 그래서 그는 로베르트 로드리게즈 감독에게 오디션 테이프 촬영을 도와달라 청했다. 로드리게즈가 찍고 퀜틴 타란티노가 감독했으며, 촬영은 95만달러짜리 디지탈 카메라로 했다.

- 안톤 쉬거가 쓰는 무기는 가축용 피스톨이다. 주로 가축을 도살하기 전 기절시키기 위해 쓰인다.

- 영화 속에서 음악은 아주 드물게, 배경 속으로 미묘하게 섞여 쓰였다. 벨의 오프닝 나레이션, 쉬거의 동전 대사, 후반부 모텔 총격 후 벨이 나타날 때, 그리고 크레딧 부분 등에서 나온다.

- 조엘 코엔과 에단 코엔은 한 인물(이 경우에는 두 명이지만)이 네 개의 오스카 후보에 오른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오손 웰즈가 <시민 케인>으로 이룬 기록과 동급이다. 코엔 형제는 최우수영화상(제작자로), 최우수감독상, 최우수각색상, 최우수편집상 부문 후보에 올랐다. 웰즈는 최우수영화와 감독상 및 각본상, 남우주연상 후보로 올랐었다.

(슬슬 귀찮아지고 있음)

- 영화의 편집감독 로더릭 제인스는 코엔 형제의 가명으로, 그들 형제의 모든 영화 편집을 맡았다. 이는 길드 협회에서 한 영화에 공동 편집감독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만들어낸 인물. (그뒤의 어쩌고 저쩌고는 설명 생략)

- 텍사스의 마파에서 촬영중, <데어 윌 비 블러드>가 근처에서 촬영중이었다. 어느 날 풍경을 와이드샷으로 촬영하던 중, 엄청난 시커먼 연기가 화면에 들어오는 바람에 감독 코엔 형제는 촬영을 중단해야 했다. 알고 보니 이 연기는 폴 토마스 앤더슨이 불타는 유정 장면을 테스트하느라 난 것. 코엔 형제는 연기가 다 가신 다음날 촬영을 재개해야 했다. 이 영화와 <데어 윌 비 블러드> 두 편 다 일 년 반 후 아카데미상에서 경쟁자로 접전을 벌이게 된다.

- 소설속에서(영화에서는 아님) 벨 보안관은 마약상들에게 '일전에 산 안토니아에서 그들이 총을 쏴 연방 판사를 죽였지'라고 말한다. 맥카시는 이야기 배경을 1980년으로 잡았다. 1979년, 산 안토니아에서 연방 판사 존 하울랜드 우드는 찰스 해럴슨이라는 텍사스 자유계약 청부살인자에 의해 라이플 총을 맞고 죽는다. 영화배우 우디 해럴슨(영화속 칼슨 웰스)은 그의 아들이다.

- 하비에르 바르뎀은 원래 쉬거 역을 사양하며 코엔 형제에게 이렇게 말했다. "난 운전도 못하고, 영어도 엉망이고, 폭력을 싫어합니다." 여기에 코엔 형제는 "그래서 당신을 부른 거죠."라고 답했다.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1961년) 이후 두 감독을 둔 최우수작품상 수상작은 처음이다.


이 아래는 스포일러라 흰 글씨 처리했습니다. 보실 분만 긁어서 보세요.
- 코엔 형제는 종종 작품 속에서 스탠리 큐브릭을 기념한다. 이 영화에서는, 르웰린 모스가 114호실에서 살해당하고, 이는 큐브릭의 영화 속에서 반복적으로 나오는 숫자다.

- 세 명의 중심 인물 모스, 벨, 쉬거는 같이 나오는 장면이 없다.


사족> 그나저나 trivia는 우리말로 뭐라 옮기면 좋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