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폰을 개통하시겠습니까? - 제22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고학년 부문 대상 수상작 창비아동문고 292
박하익 지음, 손지희 그림 / 창비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hestia0829.blog.me/221244355193

 

 

제목이 무척이나 생소하고 요즘 아이들과는 왠지 어울릴 것 같지 않아 보였지만, 아이들의 반응은 엄청 흥미로워 했답니다.
스마트폰 이야기같은데 도깨비가 나온다니 아이들의 예감은 유해한 영상이 나오면 도깨비가 튀어나와 물리치는 그런 이야기같다고 예상했지만 과연 스마트폰에 영웅담이 실려있을 것 같진 않았어요.

하지만 생각했던거와는 다르게 우리의 옛전설에 나오는 귀여운 도깨비들의 활약과 주인공 지우는 누구를 탓하는 것보다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찾아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겨나가는 당당한 모습을 보여주었답니다.

우연히 학교 도서관에서 스마트폰을 발견한 지우는 이상하고도 괴상한 도깨비 폰이였어요. 신기하게도 이 스마트폰은 특별한 어플을 내장하고 있는데, 자신의 기운을 나누면 원하는 어플로 숙제도 척척 풀어내고 영어말하기도 유창하게 할 수 있었지요. 게다가 밤이 되면 도깨비 소굴에서 신나게 노는데 잠을 자지않아도 피곤하지 않게 만드는 먹거리도 있었어요.

이렇게 신나는 경험을 하던 지우는 자신이 스마트폰에 중독되었다는 것을 모르고 있었지요. 어느날 친구 수진이에게 도깨비폰을 들켜버렸고 결국 수진이도 함께 도깨비 소굴로 들어가게 되지요.
하지만 수진이의 상태가 안 좋아지자 그때서야 지우는 위험에 빠졌다는걸 깨닫게 됩니다.

판타지 스타일의 이 동화는 옛이야기와 현대의 기계문명을 이어 흥미롭게 스토리를 꾸며나갔는데요. 도깨비폰의 유혹에서 헤어나오는 방법 또한 무척 기발하게 해결합니다. 아이들이 꿈꾸는 세상 또한 지우지 않았거든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우개 똥 쪼물이 - 제22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저학년 부문 우수상 수상작 신나는 책읽기 51
조규영 지음, 안경미 그림 / 창비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hestia0829.blog.me/221243382941

 

 

최근 우리아이의 손에는 새까만 지우개 똥 하나가 항상 따라다니고 있었어요. 관심을 가지고 물어봤더니 무척이나 재미있고 멋진 놀잇감이란 듯이 자랑을 하더라구요.
일부러 공책에다 연필로 색을 입힌 다음 지우개로 힘을 주어 지우면 지우개 똥이 꽤나 많이 나오지요. 지우개가 부족하면 지우개 따먹기 게임을 해서 쪼그마한 지우개도 쓸어모았던 추억도 생각났답니다.

아이와 엄마가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지우개 똥은 서로 즐겁게 이야기할 소재를 제공하고 웃을 수 있는 기회도 주는 재미있고 스릴 넘치는 책이였어요.

한 문제만 틀려도 울보 도장을 찍어버리는 선생님의 학급 아이들은 한숨만 나온답니다. 우울한 마음을 달래기 위해 유진이는 지우개똥을 만드는데, 그것을 본 친구들도 하나씩 만들었지요.
지우개 똥 친구들 쪼물이, 짱구, 딸꾹이, 헐레이... 이렇게 네 친구는 친구들의 기분을 달래주기 위해 무지막지한 울보 도장을 물리치기로 다짐합니다.
지우개 똥 친구들은 아이들의 웃음을 찾아줄 수 있을까요? ^^

아이의 학교에서도 선생님의 특별스티커가 있는데 이것도 무척 스트레스고 속상한 일도 생긴다고 하더라구요. 꼭 받고 싶어서 조금 더 노력해보려고 하는데 잘 되질않아서 속상하고 해도 안되니 자꾸 자신없어진다는 아이의 말에 정말 오랫동안 안아주고 수고했다고 토닥여 주었어요.
앞으로도 이런 저런 상황들을 헤쳐나갈 아이의 삶에 부모가 관여할 수도 있겠지만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현명한 방안을 함께 찾도록 길을 열어주는 것 또한 부모의 역할이기 때문에 항상 귀와 마음을 열고 우리는 네 편이라는 든든한 디딤돌 되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지우개 똥 쪼물이'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 몰래 응원하고 뒤에서 힘내는 누군가가 존재함에 소중함을 느끼게 해주는 따뜻한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처럼 아름다운 수학 이야기 - 최신 개정증보판
김정희 지음 / 혜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hestia0829.blog.me/221242506806

 

 

수포자였던 소설가가 들려주는 아름다운 수학 이야기라는 제목에 무척이나 끌렸다.
오히려 나 자신은 수포자가 왜 있는지 이해가 안됐었던 한 사람으로 꽤나 자만에 빠져서 살았던 기억도 있고 아직까지도 왠만한 문제는 쉽게 풀어나갈 자신이 있기때문이기도 했다. 하지만 허걱 소리가 날 정도로 내 머릿속에는 지우개가 있었던 듯 이 책을 읽기 중반부터 내 머릿속은 새하얘지기 시작했다.
초반에는 너무 재미있게 풀어나간 수학자와 공식들이 줄지어 있을때의 쾌감은 과히 웃음을 자아내기도 했지만 갈수록 어려운 난제에 빠져 인터넷에서 공식을 찾고 책 속의 수학공식을 한참을 바라봐야 했다.

사실 여지껏 살아오면서 인생은 사칙연산으로 끝나는가 싶었고 더이상의 공식을 필요없을 줄 알았다. 하지만 책 속에 들어 있는 인간관계에 대한 공식이 수학과 연계해 나오는 순간... 이 책은 더이상 지식책이 아니라 수학으로 삶을 이야기하는 소설책이였던 것을 깨닫게 했다. 소설은 허구라고만 생각한 내 자신이 조금은 부끄럽게 느껴진 시간이기도 했다.
허구속에도 인생이 있었고 풀어나가야 할 당연한 숙제도 있었던 것이고 이를 해결하기위한 워밍업도 은근슬쩍 내비친다.

책 중간에 나오는 워밍업 수학 문제도 흥미를 주기에 무척이나 도전의식을 불사르게 했다.
읽는 내내... 문제를 푸는 내내... 어쩐지 도전장을 받은 것처럼 적극적으로 임했던 것도 참으로 오랫만이여서 다시금 수학이란 재미에 푸욱 빠지게 했다.
수많은 풀이식을 써내려 가고 그 끝에 정답을 썻을때의 쾌감은 역시나 느껴본 자만의 여유라고나 할까...
간만에 빠져 본 수학의 세계는 역시나 재미있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소 끝에 철학 - 쓸고 닦았더니 사유가 시작되었다
임성민 지음 / 웨일북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hestia0829.blog.me/221241317362

 

쓸고 닦아서 사유가 됐다는 표지의 글과 그외에  수많은 청소도구 속에 끼워져있는 부처님과 꽃한송, 그리고 어울리지 않는 아이콘을 보며 왜 그 속에 있는지 알것 같아 풋웃음을 짓게 했다.
봄을 맞이하며 스스로 다짐한 것들을 확고하게 못박아 정의 할 수 있을 것 같은 기대감이 무척이나 컷다.

 

 

프롤로그의 직설화법으로 벌써부터 펜을 들게 했던 책은 정말 오랫만이다. 세상에 더렵혀진 무념무상의 나 자신을 말끔하게 청소해 내면 타인과의 어우러졌던 '나'가 아닌 진정한 '나'를 발견할 수 있다는 프롤로그의 한 구절이 그동안 쌓아왔던 인생의 해법을 찾은듯 너털웃음을 짓게 만들었다.

이른 아침 남편은 부지런히 회사에 가고 티격태격 전쟁을 치르듯 아이들까지 학교에 보내고 나면 어김없이 늦은 아침을 먹는 나는 버릇처럼 설겆이를 하고 창문을 활짝 열어 환기를 하면서 청소를 한바탕 한다. 하지만 요즘같은 미세먼지가 가득한 날은 마음껏 문을 열지도 못해서 물걸레로 대충 닦은 다음 다시 청소기를 돌리고 또 다시 물걸레질을 한다.
이렇게 해야만 속이 후련해 지지만 이게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라는 거다.

삶을 살아감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자연스럽지만 뭔가 꺼림칙 한 적도 있고 청소기의 입구가 닫지 않았던 부분은 먼지가 그대로 있는 것처럼 사람에게도 조금 소홀해지면 인간 관계 속에서도 먼지가 쌓이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어수선한 관계도 청소 끝에 나를 찾고 관계속에 힘들었던 상처도 아물게 된다는 게 저자의 청소철학이다.

걸레는 청소도구로 더렵혀진 것을 닦기위한 도구이다. 걸레는 자신이 더러워질 지언정 자신을 희생하여 빛을 발하듯 독자들도 간절히 자신의 빛을 잃지 않길 바라는 작가의 마음이 들어가 있었다.
유쾌하면서 그럴듯한 청소철학의 재미에 자연스럽게 빠져들어 나 자신이 한 꺼풀씩 벗겨지는 듯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이라는 보통명사
조소담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hestia0829.blog.me/221238363004

 

 

작가는 예전 리트머스 종이처럼 어떤 것이든 몸을 적시며 세상이 변해가는 것을 바라보았다고 한다. 무척이나 의미심장한 말이였고 혹시나 현재의 나도 그렇게 살아가고 있으면서 힘들어하고 지쳐있는지 다시금 기억을 되새겨야 했다. 하지만 되새겨봐야 이미 지나간 일은 어쩔 수 없기에 바로 고개를 저으며 지금의 나를 생각했다.

표지의 그림이 무척 암울했다.
어떤 이는 붉은 불구덩이에서 헤엄쳐 나오고 싶지만 헤어나오지 못하는 것 같고 컵 속에 갇혀있는 이는 꽃도 메말라버려 좌절에 빠져 네거티브현상을 보는듯 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책속의 내용은 그렇게 암울하지만은 않아 다행이란 생각이 들었다.

정말 오랫만에 만난 산문집이라 기대를 많이 했었는데 마음 한켠을 끄집어 내어 보여줄 수 있는 구절들이 꽤나 많아서 너무나 좋았다.
일상을 그저그렇게 보내면서 늦은 귀갓길에 맥주한캔을 따다 근처 놀이터에 앉아 한모금 들이키는데 무심코 마주친 고양이와의 만남은 무척 따뜻하고 부드럽게 위로가 되기도 했다.
흔한 일상인것 같음에도 이렇게 서정적이고도 은은하게 써내려가니 하루를 마무리하는 그 시간이 너무나 소중히 느껴졌기 때문이라 생각이든다.

책의 제목인 '당신이라는 보통명사'는 약 150자 정도되는 아주 짧은 분량의 글이다. 저자가 왜 이 글을 제목으로 삼았을까 의아했는데 책의 마지막까지 읽다보니 그때서야 이해가 갔다. '나'와 '당신'이라는 존재가 자기 자신을... 또는 상대가 나의 인생 어느 한 순간을 기억한다는 그런 존재한다는 것에 대한 소중하고 부드러운 메세지를 전달했기 때문이다.

복원되지 않을 인생이지만 누군가에게서 기억되는 삶의 한 순간들이 내가 아는 나, 내가 아는 당신, 당신이 아는 나에게 희망을 본 것은 아닐까 한다... 참으로 따뜻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