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멩코 추는 남자 (벚꽃에디션) - 제11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허태연 지음 / 다산북스 / 2021년 9월
평점 :
품절


그 날은 어머니 기일이었다. 내려가는 기차여행의 동반자가 된 이 책은 정말 술술 읽혀내리는 필력이 있어 2시간 남짓의 짧은 시간에도 완독이 가능했다. 

소설의 모든 이야기는 작중 아버지의 시선에서 전개된다. 그러나 내가 궁금한 건 둘째 딸의 속마음이었다. 수강생에게 지나치게 세심하고 곰살맞았던 플라멩코 강사는 아니나 다를까, 둘째 딸의 연인이었다. 아버지의 건강과 패션을 챙겼던 건 실상 강사가 아니라 그를 경유한 둘째 딸이었을 거라는 꽤 강력한 심증을 가지게 된다. 어머니나 자신에게 참으로 무뚝뚝하고 무관심하며, 사랑을 물질적 여유로만 표현할 줄 알아 일에만 열중했던 아버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둘째딸은 아버지를 퍽이나 사랑하는 듯했다. 외동딸인 줄만 알았는데 사실은 둘째딸이라는 건 안 순간의 배신감은 과연 치유될 수 있을까. 끝내 큰 딸을 데리고 여행 가는 아버지에게 둘째딸은 한 푼이라도 여행경비를 대주고 싶었을까. 아버지가 기념품을 사오면 기꺼이 받았을까. 하필 어머니를 보러 가는 길이었기에 나의 상상력은 한없이 둘째 딸에게 투영될 따름이었다.

작가에게 살짝 원망하는 마음도 생겼다. 우리나라에 몇 없는 여성작가의 이름을 단 문학상 수상자인데 어찌 딸이 아니라 아버지의 시선에서 써내려갔단 말인가. 마구마구 투덜대다 다시 곰곰히 생각해보니 이게 이 작가의 진짜 영리함이구나 작은 깨달음이 왔다. 만약 둘째 딸 또는 첫째 딸의 관점에서 소설을 썼다면 이 나라에서 참 흔하디 흔한 소재, 뻔한 신파극 혹은 눈물 짜내는 드라마였을 것이다. 아버지의 입장에서 접근했기에 무거워지지 않고, 살짝 코믹이 감미된 가족주의 소설로 성공할 수 있었던 게다. 아마도 심사위원들도 그 영리함에 상을 내주기로 결정했지 않았을까.

어쨌든.

청년일지라는 이름은 아니지만 나름 버킷리스트를 이미 써봤던 나로선... 청결하고 근사한 노인 되기... 이 하나는 공감해주기로 한다.


※ 다산북스 서평단 지원을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용이란 무엇인가
신정근 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정근 선생의 '오십 중용이 필요한 시간'을 재미있게 읽었기에 좀 더 상세한 해설서를 기대하고 골랐는데, 아뿔사, 중용 연구에 대한 연구서이다. 전문적인 학술서라 범인은 감히 글을 읽을 엄두를 못 내고 글자만 읽었다. 그래도 몇 가지 건진 것은 있다.


- 중용에서 문득 문득 예송논쟁을 떠올린 건 중용이 예기의 일부였음에 기인했음을 알았다.


- 중용의 저자가 자희라는 건 가설이다.


- '오십 중용이 필요한 시간'이 갑자기 툭 튀어나온 'a를 하지만 b를 하지 않는다'는 말이 이 책에서도 나온다. 중용이 'a도 b도 한다'나 'a도 b도 안 한다'의 선택지가 아니라 'a를 하지만 b를 하지 않는다'는 적극적 行을 포함한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것임을 겨우 알았다.


- 중용에서 나오는 귀신이 문자 그대로 귀신일 수도 있다는 걸 이제서야 깨달았다. 귀신을 지나치게 상징적인 의미로 해석하는 건 오히려 과한 확대해석이지 않을까 의구심도 들었다.


- 정약용은 정말 어디서든 불쑥 튀어나온다. 이 책에서도 캉유웨이 대신 정약용을 중심으로 다뤘으면 어땠을까 싶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십, 중용이 필요한 시간 - 기울지도 치우치지도 않는 인생을 만나다 내 인생의 사서四書
신정근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중용을 다시 읽어야겠다 작심한 건 절대 이 책 때문이 아니다. 잃어버린 지평선을 다시 읽고 이 구절이 중용에서 나왔구나 뒤늦게 깨달은 부분이 있어 다시 읽어야겠다 결심한 것이다. 대학 시절 읽은 책은 너무 낡고 한자가 많아 골치가 아팠고, 이현주 목사의 대학중용 읽기는 다시 읽어도 좋았으나 내게 너무 먼 하나님 말씀들이 간혹 치우친 해석을 의심케 했다. 이 기회에 새로운 중용 책을 하나 장만하자 싶어 검색하다가 책 제목을 보고 화들짝 놀랐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난 이 책을 제목 때문에 고른 것이 아니다.


이현주 목사의 책을 내려놓자마자 이어 읽다 보니 비교해서 보게 된다. 다만 중용의 장대로 책을 쓴 것이 아니라 본인의 의식의 흐름에 따라 주제를 뽑아 이리 저리 발췌하니 결국은 두 권 다 펼쳐놓고 대차대조표를 작성하며 읽어야 했다. 이현주 목사도 완역이 중심이 아니라 애 먹었는데 신 선생은 한 술 더 뜨시는구나 절로 한숨이 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용 독파가 목표가 아니라면 수이 읽히는 건 단연 이 책이라 추천하고 싶다. 특히 이현주 목사의 중용에서 TPO로 해석될 수 있었던 부분이 이 책에서는 보편성과 특수성에 따른 行이라 해석된 부분이 속이 뻥 뚫리는 기분이었다. 執其兩端의 해석에 있어서도 한쪽을 0이고 다른 한쪽을 1이라 했을 때 중용은 0.5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0<x<1 사이를 오가는 자유로운 관점의 이동이라 풀이하니 절로 무릎을 탁 치게 되는 것이다. 이현주 목사가 不偏不倚를 강조했다면 신 선생은 열린 사고를 강조한다 하겠다.

博學篤行에 대한 해석도 그 연장선상인데, 널리 배우는 것은 이것저것 두루 배운다는 것이 아니라 내가 배우는 것에 대한 외연의 확장과 연계라 하겠다.


이현주 목사와 강조점이 다른 대목으로는 庸도 들 수 있다. 이현주 목사는 주희의 해석대로 平常也만을 짚고 넘어가는 경향이 있는데, 신 선생은 이정의 해석을 끌어들여 '치우치지 않는 것은 中이요, 바뀌지 않는 것이 庸이라는 걸 거듭 짚어주는 느낌이 있다. '자기주도적인 군자는 조화를 이루어 어디로 휩쓸리지도 않으니 굳세구나 꿋꿋함이여, 가운데 서서 기울이지 않으니 굳세구나 꿋꿋함이여, 나라에 원칙이 통할 때 가난한 날의 뜻을 버리지 않으니 굳세구나 꿋꿋함이여 나라에 원칙이 통하지 않을 때 죽게 되더라도 지조를 바꾸지 않으니 굳세구나 꿋꿋함이여' 감탄사를 가득 담은 해석이 때를 기다리는 대목을 더 꼽은 이 목사와 확실히 다르다. 死以不厭을 죽음을 불사하는 勇으로 손 꼽으니 그 기세가 참 거침없다. 이 목사가 때를 기다리는 군자는 부끄럽지 않다는 대목에 치중한다면, 신 선생은 행운을 도모하는 소인을 강조하니, 소인에 가까운 나로서는 신 선생의 해석에 마냥 쏠린다. 知恥近勇도 덧붙이니 부끄러워할 줄 아는 것이 용기에 가깝다는 말이 청량제와 같다.


군자의 도를 서민에게 증거하는 것에 이현주 목사는 제왕학의 관점에서 검증 방도의 하나로 해석한다면, 신 선생은 군주의 관점에서 도를 세우기 보다 그 영향을 받을 주위 사람들의 관점을 더 강조하는 거 같다. 이는 易地思之일 수도 있고, 생산자가 소비자의 관점을 생각하는 것일 수도 있고, 나에 빗대면 사용자의 관점과 경험에서 UI를 기획해야 한다는 의미로서 UX의 중요성이기도 하겠다.


중용에서 가장 어려운 誠의 대목에서는 이 목사가 안과 밖으로의 誠을 거듭 강조한다면, 신 선생은 內省不疚라 하여 안으로의 성찰을 좀 더 강조하는 느낌이다. 그렇다고 신 선생이 밖으로의 誠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 겉으로 드러남에 있어서는 言顧行 行顧言과 愼獨을 잊지 않고 챙기시니 중용의 겉과 속을 다 이해하도록 어루만져 주신다.


사람을 성인, 대현, 하등으로 나눈 이 목사의 해석에 대해 신 선생은 왈가왈부한 적 없지만, 내 멋대로 이 목사가 틀리고 신 선생이 옳다고 필기한 대목에 밑줄을 쫙쫙 긋기도 했다. 生知, 學知, 因知를 깨달음의 깊이로, 安行, 利行, 勉强行으로 실천의 높이로 삼으니 타고나지 못한 어린 중생조차 문득 용기가 생기는 것이다.


나를 위로해주는 글귀도 있었다. 이현주 목사도 공자의 입을 빌어 중용을 이루기 어렵다 말하긴 했지만, 白刃可蹈를 콕 짚어주며 중용을 지키는 것보다 서슬 푸른 칼날을 밟는 것이 더 쉽다 편들어주니 어찌 고맙지 않으랴.


다만 딱 하나 이 해석이 뭔가 갸우뚱한 대목이 있었는데 曲能有誠을 부분에 간절하면 진실해진다는 말이 썩 와닿지 않는다. 이 목사는 이 대목을 곡진하면 능히 誠하게 된다고 해석했는데, 부분보다 매사로 해석하는 게 더 맞지 않나 싶다. 


내가 아예 이해를 못한 대목은 淡而不厭인데 중용의 미학에 대한 찬양이라기 보다 a를 하지만 b를 하지 않는다는 행동 양식으로 해석하는데 그 뜻이 사뭇 연결되지 않아 결국 포기했다. 德幼如毛 또한 여전히 모르겠다. 덕은 새털처럼 가볍다니 그 무게가 가볍다는 뜻이 아니라 놓치기 쉽다는 어려움으로만 내게 다가온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04-11 13: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조선인 2022-04-11 16:56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
 
이현주 목사의 대학 중용 읽기
이현주 지음 / 삼인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 '기쁨, 노여움, 슬픔, 즐거움이 아직 겉으로 나타나지 않는 것을 中이라 하고, 그것들이 나타나 제 마디에 들어맞는 것을 和라 하니, 中이란 천하의 大本이요, 和란 천하의 達道'라는 해석을 보면 중용은 道의 本이다. 또한 그 앞 부분만을 집중해 나타내지 않고, 나타낼 때 들어맞추는 것만을 크게 보면 처세술일 수도 있다. 길인지 방법인지 여전히 어리석은 나는 알지 못 하지만, 후자로 본다 해도 나는 中을 이룰 수는 있어도 和는 이루는 건 평생 요원할 거 같다. 

'마디에 들어맞는다(中節)는 말은 감정을 밖으로 드러내는데 지나치거나 모자르지 않는다는 뜻이다. 아랫동네 여자가 죽었는데 자기 어머니가 죽은 것처럼 슬퍼한다든가 반대로 자기 어머니가 죽었는데 아랫동네 여자가 죽은 것처럼 슬퍼한다면 슬픈 감정의 발로가 中節을 이루지 못한 것'이라니 INFP인 우리 딸은 단박에 반박할 이야기다. 엄마는 감정이입을 너무 못 한다고, 공감능력이 부족하다고 늘 나를 비판하는 딸은 아랫동네 여자가 죽어도 슬피 울 거라 생각되는데, 이 와중에서도 中節에 禮를 잘못 입히면 딱 예송논쟁이 되겠다 싶다.


- '中庸이란 치우치지 않고 기울지 않고 넘치지 않고 모자르지 않아 언제나 고르고 한결같음(平常)을 뜻한다'는 구절만 보면 중용은 내가 지금껏 바라온 삶의 자세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군자는 중용을 실천하기 때문에 그 움직임과 멈춤이 때에 들어맞는다'는 구절을 보면 딱 반박하고 싶어진다. 때에 맞추어 산다는 것이 노자의 無爲自然이 아님이 분명하니, 事勢에 맞춰 처신하는 것으로 여겨질 따름이고, 때를 앞당기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강변하고 싶어지는 것이다. '쉬운 것은 中庸이다. 天命을 기다리는 사람은 자기 분수에 마땅히 얻을 만한 것을 기대한다. 그런 까닭에 원망도 탓하는 마음도 없다. 어려운 것은 反中庸이다. 요행을 바라는 자는 이치상 얻지 못하게끔 되어 있는 것을 구한다. 그런 까닭에 원망과 탓하는 마음이 많다'라는 구절 또한 오해의 소지가 많다. 무리하지 말고 분수에 맞춰서 기다려야 한다는 것인가? 

'부귀에 처해서는 부귀를 누리고 빈천에 처해서는 빈천하게 살며 오랑캐들 틈에서는 오랑캐로 처신하고 환난을 당해서는 환난을 겪으니 군자는 어디를 가든지 그 곳을 자기 자리로 삼는다'는 구절 역시 TPO를 따지는 게 무슨 道인가 싶다.

'中庸의 길은 자기 분수에 맞추어 살아가는 것이다. 할 수 있는 일은 하고 할 수 없는 일은 하지 않는다. 그런 일을 할 만한 위치에 있어도 덕이 없으면 하지 말아야 하고 덕이 있어도 그런 일을 할 위치에 있지 않으면 또한 하지 말아야 한다'는 말 역시 위치가 아니면 행하지 말라는 얘기로 곡해되기 딱 좋다.

가장 논란이 될 문구는 역시 27장이다. '나라에 도가 있다는 말은 다스리는 자가 도를 지킨다는 말이다. 그럴 때에는 말을 해서 자기 뜻을 이룬다. 그러나 다스리는 자가 도에서 어긋나 있을 때에는 침묵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 事勢를 잘 알고 앞일을 밝게 보아 자기 몸을 잘 지키는 것이 곧 군자의 삶'이라니 춘추전국 시대상을 고려한다 해도 부끄러움은 알아야 하지 않겠는가?

이현주 목사 역시 하느님이 선악과를 둔 것은 당신을 거역할 수 있는 힘까지 인간에게 준 거라고 하지 않았는가? 즉 인간은 때를 당기는 힘을 힘껏 써야 한다.

'知는 사람의 길을 잘 아는 것이요, 仁은 그것을 몸으로 실천하는 것이요, 勇은 굽히지 않고 나아감'이니 中庸은 重庸이어야 한다. 그러니 군자라면 용감하게 때와 장소와 위치를 만드는 것이 마땅하다. '곡진하면 능히 誠하게 되니 誠하면 꼴을 갖추게 되고 꼴을 갖추면 드러나게 되고 드러나면 밝아지고 밝으면 움직이고 움직이면 변하고 변하면 化한다'라니 誠을 다해 변화를 꾀하자.


- '반드시 中庸을 배워 학문이 깊어지면서 義가 精하고 仁이 熟하여 참으로 자기를 이길 수 있게 되어 사사로운 모든 욕심을 모두 버려야 中庸을 얻는다'라 하니 '남의 악을 숨김은 그 품이 크고 넓어서 능히 받아들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남의 선을 드러냄은 그 빛이 밝아서 아무것도 감추지 아니함을 보여준다'는 말이 남의 부정부패를 눈감아주고 남에게 아부하는 간신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내 사사로움으로 남을 악하다 평하지 말고 내 사사로움으로 남의 선을 감추려 들지 말라는 공명정대함임을 알겠다.


- '중심에 서서 어디에도 기울지 않는다는 말은 어느 한 쪽을 편들어야 할 경우 지나치지도 않고 모자르지도 않게 편을 든다는 말이다. 누구를 끌어내려야 할 경우에도 그를 끌어내려야 할 만큼 지나치지도 않고 모자르지도 않게 끌어내린다'는 말은 그 시대상에 맞춰 해석하자면 정의 실현=악인의 죽음으로 도식화되던 당시의 과한 형벌에 대한 경계일 것이다. '德이 비록 모든 사람이 함께 얻는 것이라 하나 혹 誠하지 못한 자가 있어서 억지로 겉을 꾸미기만 한다면 知는 술수로 흐르고 仁은 질식하여 마르고 勇은 지나친 폭력으로 바뀌어 德이 아니게 된다'는 말 역시 일맥상통한다. 어쩌면 죄형 법정주의의 근간이 중용일 수 있고 진실하고 성실한 中庸이 외교전에서 反戰을 꾀할 수 있겠다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근혜의 사면은 너무 이른 게 아닌가 싶어 혀를 차게 되고, 푸틴같은 또라이에게 국제사회의 誠이 과연 통하겠는가 싶기도 하다.


- '道는 사람한테서 멀지 않으나 사람이 道를 행한다면서 사람을 멀리 하면 그것은 道라고 할 수 없다'는 말에 난 또 대학 시절 나를 친절한 ATM기계라 비판했던 친구를 떠올린다. 중용이 한 발 떨어진 관조가 아니라 세속의 道여야 한다는 것이 좀 감동적이다.

'군자의 道는 뿌리를 자기 몸에 두어 서민에게 증거하는 것'이라니 크게는 국민의 소리를 듣는 것이고, '가까운 사람의 인정을 얻지 못하느 채 멀리 있는 사람들로부터 칭찬을 듣는다면 그것은 군자의 길이 아니다'는 것처럼 내 곁의 변화를 일구는 것이다.

 

- 대체로 하나님의 사랑으로 무장하신 목사님의 중용 해석은 한없이 따스하나 이게 맞나 싶은 해석도 있다. '上等 인간은 禀氣가 淸明하고 義理가 밝게 드러나므로 가르치지도 않아 스스로 안다 (중략) 그 다음 가는 사람은 사물의 당영한 理에 淸이 많고 濁이 적어 반드시 배운 뒤에야 안다 (중략) 下等 인간은 禀氣에 濁이 많고 淸이 적어서 고생을 많이 한 끝에 비로소 알고자 하는 마음을 낸다'는 구절에서 인간이 타고 나기를 聖人이면 편안하게 행하고 大賢이면 이로우니까 행하는데, 누구는 애를 써서 행하지만 행하여 功을 이루고 보면 모두 일반이다라는 것은 싸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도 갱생의 여지가 있다는 말일 수도 있지만, 하등한 일반인이 굴하지 않고 용감하게 애를 쓴 것이 그 功이 더 크다 해야 하지 않을까.  


- 뜬금없는 사족인데 '군자의 길은 겉으로 보아 검소하고 화려하지 않지만 아무리 걸어도 싫증나지 않고 속에 비단옷이 있어서 보면 볼수록 무늬가 아름답고 겉으로는 부드럽지만 속에는 조리가 반듯하다'는 글을 보고 무릎을 탁 쳤다. 우리의 전통 미의식이 딱 중용에서 나온 것이 아니던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이가 들어 어릴 적 읽은 책을 다시 읽는 건 때로 기묘한 체험이 된다. 판타지와 영화로 기억되었던 책이었는데 이제는 중용이 무엇인가 고민하게 된다.
지나친 과도함을 피하는데, 덕 그 자 체의 과도함도 피한다는 게 무엇인가. 어느 정책은 완전히 옳고 어느 정책은 완전히 그릇되어 있다는 말이 그 지지자에게 충격이 된다는 충고는 극단주의와 흑백논리에 대한 경고문이라는 것을 이제야 알겠다.
작가가 살던 냉전 비극의 시대를 생각하면 그 누구도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샹그리라가 낙원임을 알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래 산다는 것에 대한 나의 거부감이 샹그리라를 받아들이고 싶어하지 않으니 이 또한 중용을 버림인 것일까. 좀 더 두고 볼 문제인 듯 싶다 라는 것이 지금 내가 할수 있는 최대의 양보인 듯 하다.

뱀발.
내 기억속엔 분명 계곡을 빠져나가다가 여자가 급속히 늙어가는 모습을 보고 놀란 멜린슨이 추락하고 이를 구하려다 콘웨이도 원치 않게 계곡을 벗어나게 되는 장면이 있었는데 책에는 없다. 영화에서 본 건지 내 상상인지 구별이 안 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2-03-13 0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랫만에 오신 조선인님 반가워요. ㅎㅎ 오늘은 굉장히 철학적이군요. 나이가 들수록 모든 사건과 사물들에 이면이 있을 수 있다는걸 깨달아가긴 하는데 그럼에도 중용의 태도를 가지는건 여전히 어렵네요. 제 몸만 늙어가지 마음은 별로 안 깊어지나봐요. ㅠ.ㅠ

조선인 2022-03-26 2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랜만이에요. 바람돌이님. 잘 지내시나요. 이 책을 계기로 중용을 공부하고자 하나 정말 어렵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