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딴 통계를 보여주면 무서워서 책을 못 사지 않겠는가?

내가 이렇게나 책을 사들였다고? 말도 안 됨이다.

이건 통계 오류다!!!라고 생각했지만

4인가구가 23년간 책과 시디를 샀다고 생각하면 1인당 월 26,472원 정도 쓴 거니까

납득할 만한 금액이긴 한데...

3천만원을 안 넘기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싶어지지 않는가!


댓글(4) 먼댓글(1)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책 대신 뭘 살 수 있을까
    from 마로, 해람, 그리고 조선인 2022-07-20 16:31 
    내가 알라딘에 바친 돈을 물건으로 환산해보니 차 1대를 살 수 있다.난 뚜벅이 인생이니 소나타 따위 필요 없다.단양에 주말 농장할 수 있는 맹지를 살 수 있단다. 그러나 농사일과는 담 쌓았으니 기각.이름만 들어본 버킨백도 살 수 있단다.근데 난 2만9천원짜리 가방으로도 충분하다.(그나저나 버킨이 더 이상 자기 이름 붙이지 말라고 했다는데 여전히 버킨백이네. 좀 의아) 쌀을 산다면 백미 10kg 1천포 상당이 가능하단다. 좀 혹하긴 하는데 떡집할 건 아니
 
 
2022-07-19 14: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조선인 2022-07-19 16:04   좋아요 0 | URL
저희는 CD를 많이 산 영향이 아닐까 싶어요. 제가 13층에 사니까 *님 조금만 분발하시면 우리 집보다 높아질 거에요!!!

바람돌이 2022-07-19 17: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상위 0.034%
조선인님 바로 뒤입니다. ㅎㅎ

조선인 2022-07-19 17: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람돌이님. 우리 같이 정신 차려욧!!!
 

여러 뇌과학자들이 자기의 전문분야 관련 소론을 짜집기한 책. 가장 흥미로웠던 건 청각 편. 시각장애인보다 청각장애인들이 더 심리적 어려움을 느낀다는 게 놀랍기도 했고, 목소리가 주는 힘, 음악이 주는 위로를 생각하면 수긍이 가기도 했다. 헬렌 켈러가 시각장애는 사물로부터 나를 멀어지게 했고 청각장애가 사람으로부터 나를 멀어지게 했다고 토로했다니 더욱 납득이 간다.
어느 순간 시력과 청력, 후각과 미각이 모두 약화되어가는 걸 느낀다. 특히 지난 봄 코로나가 걸린 다음부터 지금껏 후각과 미각이 완전히 돌아오지 않아 이제는 그냥 노화가 아닌가 싶기도 했다. 시들어가는 감각 , 약해지는 능력들... 그동안은 눈이 점점 나빠지는 게 제일 두려웠는데 이제는 귀가 어두워지는 것도 무서워지기 시작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은빛 2022-07-12 2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느 과학자가 썼는지는 기억 안 나지만, 인간의 뇌는 달리기에 매우 적합하다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달리기 위해서는 시각 정보보다 더 먼 거리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청각정보가 중요하다고.

확실히 귀에 이어폰을 꽂고 달리면, 자꾸 뭔가 불안하고 사고가 날 것 같더라구요. 귀로 알 수 있는 정보량이 엄청나더라구요.

근데 조선인님, 코로나 후유증이 너무 심각하신 것 같아요. 후각과 미각이 아직도 돌아오지 않는다니.

귀가 어두워지는 건 정말 두려울 것 같아요. 누가 바로 옆에서 욕해도 못 알아들을테니까요.

조선인 2022-07-13 08: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예 냄새를 못 맡거나 맛을 모르는 정도는 아니구요. 원래 감각의 1/3 정도로 줄어든 느낌입니다. 덕분에 음식을 자주 태워먹고, 간 보기가 힘들다는 게 문제긴 하지요. ㅎ
 

어느새 고등학교에 들어간 아들이 추천하여 읽게 되었다. 아들이 권한 단편은 책 이름이기도 한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그 한 편. 추천할 만 하다 흐뭇하게 첫번째 단편을 맛있게 읽고 나니 그 다음은 죄다 소화하기 거북한 욕망 덩어리들이다. 저열하지만 한번쯤 남자들이 했을 뻔한 상상들이 활자가 되니 화사하게 여겼던 노란 표지는 이젠 누런 토사물같이 보인다. 내 취향은 아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2-07-05 14: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저는 이 책 막 낄낄거리면서 재밋게 봣던거 같은데.... 읽은지 오래 돼서 기억은 가물가물하네요. 둘째가 고등학생이군요. 여전히 꽃미남이겠죠? 그래도 간간히 조선인님 소식 올려주시니 좋네요. ^^

조선인 2022-07-05 18: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꽃미남은요. 여드름 덕지덕지입니다. 너무 간간히라 부끄러울 따름입니다
 

어려서 나는 봄을 싫어했다. 사춘기 시절에는 무서워하기까지 했다. 겨우내 죽은 듯 잠들어있던 나무들이 미친 듯이 꽃을 피워올리고 황무지인 줄 알았던 대지가 하루가 다르게 시퍼렇게 울창해질 때, 그 미친 듯한 생명력이 나를 두렵게 했다. 엘리어트가 괜히 4월은 잔인한 달이라 목멘 것이 아니라 믿었다.
언젠가 지구는 식물들에게 점령되고 말 거야. 우리 동물들은 다 저들의 양분으로 잡아먹힐 거야. 어쩌면 저들이 먹이로 삼기 위해 일부러 동물을 만들어내고 키우고 있는지도 몰라. 약간의 공상과학적 상상력이 더해져 식물이 떨어뜨려주는 과일 한쪽으로 간신히 연명해가며 덩굴에 묶여 오도가도 못하고 온몸을 뒤덮은 잔뿌리에 쪽쪽 내 몸이 빨려나가는 악몽에 사로잡히기도 했다. 초록색 물감에 독 성분이 있었기에 많은 화가들이 죽거나 아팠었다는 걸 읽은 뒤에는 이거야말로 멋모르고 나대는 인간에 대한 식물의 준엄한 경고라 여겼다.
대학교 교양으로 <환경과 인간>이라는 과목을 들은 건 반성의 계기였다. 수업은 정말 지루하고 재미없었지만 교재만은 매우 흥미로웠다. 인간이 지구의 다른 생명체에게 가하는 폭력에 대한 고발이 책장마다 선연히 이어졌고, 가이아 지구에 대한 강사의 신념이 서슬 퍼랬다. 연구는 열심히 하면서, 책은 잘 쓰면서, 왜 교수법은 엉망이냐 조금은 안타까워하며, 그 수업은 잠자는 시간이거나 다른 수업 과제하는 시간으로 유용했다. 그렇게 잊고 있었던 강사의 모습이 왠지 이 책의 저자와 닮은 꼴이라는 게 참 신기하다. 예삐꽃방을 비난하며 차라리 화분을 사라고, 아니면 아예 식물을 기를 생각을 하지 말라던 그녀의 당부가 이 책에서 느껴져 혹시 동일인물인가 작가의 나이를 슬쩍 확인해보기도 했다. 수업태도는 한없이 불량했으나 그녀 덕분에 환경운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는 걸 뒤늦게나마 전해주고 싶다.
다만 이 책은 그때 그 분과 목소리는 매우 다르다. 때로는 마이크에서 삑 소리가 날 정도로 쇳소리로 열변을 토하던 그녀와 달리 저자는 시종일관 차분하고 자분자분하다. 여러 번 접힌 자국이 있기에 인간이 어우러진 식뮬 풍경을 더 너그럽게 보고 계시는 건 아닐까 생각해본다. 조용하고 낮지만 더 힘있게 느껴지는 목소리가 울림이 있다.
뱀꼬리) 내 손으로 화분을 사진 않지만 어쩌다 선물 받으면 참 열심히 보살피는 편인데 항상 몇 달 못 가고 죽었다. 드디어 그 원인을 이 책 덕분에 알게 됐다. 난대 또는 아열대 지방에서 온 식물이 살기에 우리집은 항상 너무 추웠던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웃집 식물상담소 - 식물들이 당신에게 건네는 이야기
신혜우 지음 / 브라이트(다산북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90쪽. 접힌 채로면 또 어떤가. 접힌 모양으로 다른 걸 만든다면 더 멋진 무엇이 될 지 누가 알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