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월드컵 경기장에 걸린 현수막에 따르면 조만간 "내 인생의 노래"라는 공연이 있나 보다.
한때는 매 눈을 자처했지만, 이제는 겨우 1.5밖에 안 되는 시력인지라(이걸 염장으로 아는 사람도 있을 듯)
깨알같은 가수 이름은 도무지 알아볼 수 없지만, 콘서트 제목만은 그럴싸하여 마음이 동하는 중이다.
그런데 오늘, 매너리스트님의 "내 인생의 음악"이라는 페이퍼까지 보니 페이퍼가 먼저 동한다.
하긴, 산사모 결성 때부터 이런 페이퍼가 쓰고 싶긴 했다.
<내 인생의 노래>



초등학교 6학년 때.
마지막 어린이날이라고 잔뜩 기대했건만, 나들이도, 선물도, 맛난 음식도 없었다. 아침을 먹다 말고 서러워서 닭똥같은 눈물이 뚝뚝뚝. 영문도 모르고 어머니는 아침 밥상에 기집애가 눈물을 보인다고 혼을 냈고, 꾸역꾸역 억지로 아침을 먹고 설겆이를 끝내고 내 방에 들어가 있자 오빠들이 대체 왜 그러냐고 캐물었다. 아, 그리고 극적인 반전. 어머니는 미안하다고 선물 사라며 거금 5천원을 주시곤 가게에 나가셨고, 오빠들은 날 달래준다고 손끝조차 못 대게 하던 전축 사용법을 가르쳐주고 음반 2개를 골라 직접 틀어보게 했다. 그렇게 해서 들은 노래가 산울림의 '산할아버지'와 Pink Floyd의 "Another brick in the wall". 난 자상한 오빠들에게 감격하여 어머니께 받은 돈으로 잡지 "보물섬" 하나만 달랑 사고, 남은 돈과 저금통에 있던 돈까지 털어 오빠들이 보고 싶어하는 비디오도 빌리고, 치킨과 콜라를 시켜 나눠먹었다.



<그 날 이후>
오빠가 집에 없을 때면 종종 오빠 방에 들어가 전축을 틀어보곤 했다. 오빠의 선견지명처럼 산울림과 핑크 플로이드를 제일 좋아하게 되었고, 그 중에서도 "청춘"과 "노모", "The final cut" 앨범에 폭 빠졌다. 특히 청춘은 그때부터 지금까지 나의 애창곡이 되었다. (당시 오빠는 내가 청춘을 부르는 걸 무척이나 싫어했다. 생각해보면 초등학생 여동생이 흐느끼듯 청춘을 부르는 게 썩 좋아보이진 않았을 듯)
<대학교 새내기>
투쟁의 한 길로 - 강경대 열사 추모가
1.역사의 부름앞에 부끄러운 자 되어
조국을 등질수 없어 나로부터 가노라
풀 한포기 하나도 자유로울 수 없는
식민의 땅 아들아 어서 일어나거라
(후렴)
붉은 태양 떠올라 깃발이서면
탄압의 총소리 나를 부르는 함성
나서거라 투쟁의 한길로 산산히 부서지거라
그대따라 이내몸도 투쟁의 한길로
2. 힘들때 같이 웃고 슬픔은 나눠가져
우리모두 더불어 사는 새날위해 나가자
이땅의 청년들아 너와내가 하나되어
향그러운 우리강산 손잡고 달려가자
감히 말한다. 이 노래는 91학번의 노래이다. 강경대 열사 10주기 추모제 때 91학번의 자격으로 올라가서도 이 노래를 불렀다. 더 이상 이런 노래가 만들어지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추모가라고 하기엔 너무 가슴아픈 투쟁가...

<26살>
그 해 1월 명동성당 고개에서 옆지기는 나를 처음 만났다. 음, 나는 그를 그해 4월에 처음 만났다. 그 시간차도 문제였거니와, 그 해는 신기하게도 나 좋다는 남자가 둘이나 더 있었다. 그 중 1명은 술김에 나에게 강제로 뽀뽀를 시도하는 바람에 절교를 해버렸으니 더 할 말이 없다. (내가 홧김에 그 애 얼굴을 시멘트 벽에 갈아버린 뒤, 비탈길에서 발로 차 굴려버리는 바람에 사람들이 오히려 그의 편을 들었고, 이에 더욱 분기탱천하여 더더욱 그 애를 멀리 했다)
또 1명은 지금 생각해보면 친구와 연인 사이였나 보다. 정말 친한 친구였는데, 나도 그를 참 좋아했는데, 술 먹고 3번쯤 끈적하게 손도 잡는 등 친구에서 연인으로 넘어갈 뻔 했는데, 나의 보수성과 그의 우유부단함 때문에 그냥 흐지부지되었다. 그래도 나로선 옆지기 외에 유일한 추억인데, 가장 기억에 남는 건 그의 삐삐 음성사서함 음악. "산다는 건 다 그런게 아니겠니"였는데, 어느날인가 다른 것으로 바뀌었길래 아쉬워했더니, 다시 "산다는 건.."으로 바꿔놓았고, 그 해 가을 입대한 뒤에도 삐삐 음성사서함만은 계속 이 노래로 살려놓았다. 노래방에 가서 그가 이 노래를 불러준 적도 있고, 환송식 때도 그가 이 노래를 불렀다고 기억한다.
내가 좋아했던 대목은 "산다는 건 그런 게 아니겠니 원하는 대로만 살 수는 없지만 알 수 없는 내일이 있다는 건 설레는 일이야 두렵기는 해도" 였다. 이 대목이 내게 얼마나 힘이 되었는지, 그는 알았을까.




<30살~31살>
많은 이로부터 구박받은 사실인데, 마로의 태교음악은 Rhapsody, Dream Theater, Gobilin, Nightwish, Haggard 등이 맡았다. 아무리 아름다운 클래식 음악도 임산부 우울증이나 직장 스트레스를 날려주지 못했다. 스피드 멜로딕의 기타선율과 드럼의 강한 비트만이 날 도와줬다. 엄마에게 좋은 게 아이에게 좋다고 뻔뻔하게 우겼고, 다행히 모 육아서적에서도 비슷한 문구가 있어서 이를 증거자료로 삼았다. (그 산부인과 의사가 말한 건 클래식 대신 가요나 댄스음악을 들어도 된다는 것이긴 했지만) 다행히 마로에게 악영향을 미치진 않은 거 같은데, "The snow man"을 좋아하는 건 조금 의심이 간다. 히히

<지금>
나를 위해 마로가 불러주는 청소송, 자장가, "엄마, 아빠, 힘내세요", What is it" 아, 모두가 다 내 인생의 노래다. 소굼님 말씀대로 MP3를 만들어놔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