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이파리 > 결혼 기념일과 선물

결혼 기념일과 선물...


1주년(지혼식) - 종이 제품 / 2주년(면혼식) - 면제품 / 3주년(혁혼식) - 피혁제품
4주년(서적혼식) - 서적류 / 5주년(목혼식) - 목제품 / 6주년(철혼식) - 철제품
7주년(동혼식) - 동제품,모직물 / 8주년(전기기구혼식) - 전기기구
9주년(도기혼식) - 도기류 / 10주년(주석,알루미늄혼식) - 주석,알루미늄제품
11주년(강철혼식) - 강철제품 / 12주년(견,마혼식) - 견,마제품 / 13주년(레이스혼식) - 레이스
14주년(상아혼식) - 상아제품 / 15주년(수정혼식) - 크리스탈제품
20주년(도자기혼식) - 도자기류 / 25주년(은혼식) - 은제품 / 30주년(진주혼식) - 진주
35주년(산호,비취혼식) - 산호,비취 / 40주년(루비혼식) - 루비
45주년(사파이어혼식) - 사파이어 / 50주년(금혼식) - 금제품
55주년(에메랄드혼식) - 에메랄드 / 75주년(다이아몬드혼식) - 다이아몬드

--------------------------------------------------------------------------------

  상업성 메일에 첨부되어 있던 내용입니다.  뭐 결혼 기념일날 자기네 제품 팔아달라... 모 이런 의도였겠지요. 그러나 선물 줄 사람은 커녕, 주고 싶은 사람도 없는 이파리는 배가 아파 데굴데굴 굴려야 했습니다.누구누구는 9주년인데도... 금붙이를 떠억하니 받았다는데... ㅜ.ㅠ

  각설하고, 이걸 요기 차력당에 올리는 이유는, 1주년과 4주년, 5주년에만이라도 책을 선물로 주면 좋겠다~하는 생각에서죠.(5주년은 나무제품이지만... 종이도 나무로 만드니... 우기믄 되지 않겠습니까?)

  이걸 기혼 남성분들이 보믄 갈수록 가격이 올라가는 선물에 가슴이 덜컹거리겠지만서두...^0^ 주고 싶은 사람도 없는 저보다는... 행복하다... 생각하세요~^0^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panda78 2004-06-04 12: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철제품과 주석, 알루미늄 제품이라.. ㅡ..ㅡ;;;
 

싸이에 있는 학교 게시판에 올라온 글입니다. 정말 제가 후배 하나 잘 뒀죠? 겨우 한 학번 차이 가지고 그때는 제가 무진장 어른인 척 했는데, 지금은 이 녀석이야말로 제 최고의 동지이자, 스승입니다.


전에 언니 어머니께서 돌아가셨을 때 우리 후배들이 참 열심히 일을 해주었습니다.
늘 일(!)을 마치고 갈 때면 형부께서 저희한테 해장국을 사먹던지, 택시비를 하라던지 하시며 용돈을 주셨더랬어요.
그래서 몇몇 친구들은 일당(^^;)을 받아갔는데, 그러고나서 돈이 5만원이 남더라고요.
이걸 어떻게 하나...하고 며칠을 고민했죠. 다시 돌려주는 것도 그렇고 나혼자 삥땅하면 겨우 돈 5만원에 제 양심이 팔리는 거 아닐까하는...ㅋㅋ
그래서 이 돈을 청학연대에서 룡천소학교를 돕는 모금을 하는 데로 이화90년대학번 이름으로 입금을 했습니다.
사실 90년대 학번들이 낸 돈이 달랑 5만원이라고 하면 우습죠.
하지만 다들 다만 얼마씩이라도 모금을 하셨으리라 믿습니다.
그러고도 돈이 남더라, 이런 돈이 남네하는, 일종의 돈자랑을 좀 한거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래도 난 돈자랑 좀 더 해야겠어 내지는 90년대 학번이름으로 내는 게 고작 5만원이란게 쫀심 상한다하시는 분은 저에게 연락을 주시면 제가 받아서 바로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미국이 룡천에 100만달러를 지원한댑니다... 한화로 약 1억원이죠.
1억내고 생색내는 양키놈들 코를 납작하게 해주기 위해 악착같이 모금하고 있습니다.
6월15일 전으로 모금이 끝난다고 하니까 혹시라도 모금에 동참해주실 분은 서둘러주세요.

모두들 건강하세요.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4-06-04 1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하....선배같은 후배라는 말이 맞을겁니다...그런데..왜? 용천이 아니라 룡천인지...조선인님 말씀대로라면 1년 선배시니 89학번이 되스는군요. 용천 모금을 위한 ARS에 열번 정도 전화를 했으니....되었겠죠? 이 전화 저 전화로 전화하느라 애도 먹었었는데...

조선인 2004-06-04 1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90년대 학번이에요. 91됩니다. ^^

호랑녀 2004-06-04 13: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아름답습니다. 가슴 한켠이 뿌드~ㅅ 하군요.
 

중산복이라고 하지요.

중산복은 중국의 쑨원(=손문)이 고안해낸 것으로 활동성을 높이고 남녀노소 누구나 입을 수 있도록 만들었다고 합니다. 즉 그 복장에는 평등사상이 내포된 것이라 할 수 있죠. 하기에 중국에서 공산당이 집권한 뒤 중산복을 이어받아 인민복으로 애용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공식 예복'으로 삼게 되었죠. 하기에 서양에서는 마오쩌뚱(=모택동)의 이름을 따서 Mao-Look이라고 부른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도 중국에서 항일무장투쟁을 했던 이들이 변장 또는 활동성을 위해 중산복을 즐겨 입었다고 하고, 그 영향으로 북한도 중산복을 '인민복이자 예복'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모스포츠신문에 실릴 지식인 답변 2번째.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4-06-04 1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양복쟁이가 없어서 못 만들어 입는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군요...^^~~~

마태우스 2004-06-04 12: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게 평등을 말하는 거군요. 감사합니다.
 

종로에는 시전이 있고, 한강에는 난전이 있죠.

종로는 조선시대의 시전중에서도 육의전이 있던 곳입니다. 육의전이란 공식적인 시장인 시전중에서도 반드시 나라의 허가를 받아서 판매하는 물품, 즉 비단, 무명, 종이, 명주, 모시, 어물 등 6가지의 점포를 말합니다. 조선시대에는 상인이 양반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육의전을 운영하는 상인은 나라의 권세를 등에 엎고 상당히 위세를 부렸다고 합니다. 요새로 치면 공기업이 국가기관인 양 하는 꼴이겠죠.
반면 한강은... 그중에서도 지금의 마포, 노량진, 서강 등은 물길을 이용해 전국의 물물이 서울로 들어오는 입구입니다. 그 영향으로 비공식적인 시장, 즉 난전이 형성되었습니다. 난전은 애초 불법이지만 서민들을 위해 묵인을 해주곤 했지만, 중요한 물품의 암거래나 난전의 지나친 성장을 저지하기 위해 때때로 단속을 하곤 했답니다. 지금으로치면 평소에는 묵과하다가 한번씩 노점상 단속을 하는 것과 비교될 수 있겠죠.
즉 종로에서 뺨맞고 한강에서 화풀이 한다는 것은 종로의 시전에서 흥정끝에 위세높은 상인과 시비가 벌어져도 암소리 못하다가 한강의 난전에 가서 힘없는 노점상(?)에게 화풀이하는 거죠. 


한때... 네이버 지식인에 폭 빠져 살았던 적이 있다. 잘난 척하고 싶다는 욕망을 한껏 만족시킬 수 있었기에. 지금은 딸랑구 미니홈피와 알라딘 나의 서재에 폭 빠져 발을 끊었다. 그러나 모스포츠신문에 네이버 지식인 답변이 연재되기 시작하면서 지금껏 2번의 행운이 있었다. 이건 처음으로 실렸던 내 답변. 당시 네이버에서는 등재에 동의할 경우 모종의 사례를 하겠다고 정중한 메일을 보냈었다. 난 행여나 모스포츠신문 1년 정기구독권 같은게 날라올까봐 걱정했는데 2달만에 배달된 건 문화상품권 2장.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4-06-04 1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달만이라도 100만원 짜리 문화상품권이 두 장이라면 10년이라도 기다릴텐데...그런데..얼마짜리 상품권이라는 말씀은 없으신지요? 만약 5000원 짜리 상품권이었다면 아마도 "---(중략)---2달만에 배달된건 문화상품권 달랑 2장" 이라고 쓰셨을것 같은데요?

조선인 2004-06-04 1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00만원짜리 문화상품권도 있나요.
가난한 저는 5000원짜리 상품권밖에 몰라서... ^^;;

panda78 2004-06-04 1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5000원 짜리 문화상품권 두 장이면 벼르던 책 한 권 살 수 있잖아요.. ^-^
쓰잘데기 없는 물건보다 훨---씬 좋네요! (그런데 정말 100만원 짜리 문화상품권도 있나요? 그런 거 받으면 오페라도 로얄석에서 보고.. 발레도... @.@ )
 

스승 : 음악에서 무엇을 구하는가?

제자 : 슬픔과 눈물을...

제자 : 마지막 가르침을 주세요.

스승 : 첫번째 가르침이지. 난 알리고 싶어. 음악은 언어를 초월한다네. 인간적인 것을 넘어서지. 음악은 왕을 위한 게 아니라네.

제자 : 신을 위한 거죠.

스승 : 아냐, 신도 말을 하지... 귀를 위한 게 아니라네.

제자 : 돈을 위한 건가요? 아니면 명예? 침묵을 위해?

스승 : 침묵은 언어의 이면이지.

제자 : 경쟁자를 위해? 사랑? 사랑의 슬픔? 방황을 위해?
          ...
          과자 부스러기인가요?

스승 : 부스러기란 공허라네. 볼 수도 맛볼 수도 없지.

제자 : 모르겠군요.
          ...
          죽은 자를 위해 잔을 남겨야겠죠.

스승 : 이제 알아듣는군.

제자 : 음악은 지친 자를 위한 휴식이죠. 길잃은 아이를 위한... 구두장이의 망치소리를 잊기 위한... 우리가 태어나기전 생명도 없고 빛도 없던 때를 위한...


수수께끼님의 글을 읽고 저도 다시 보고 싶다는 생각에 검색해봤습니다. 일일이 대사를 받아적어 창고에 리뷰를 올려주신 mccha625님께 감사드립니다.

http://www.changgo.com/changgo/n_review.cust_list?a_cust_id=mccha625&a_genre=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다연엉가 2004-06-02 17: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왔다 갑니다.^^

비로그인 2004-06-02 17: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창고는 처음 가보았는데...정말 창고더군요. 실은 저는 영화는 죽어도 안보는 편인데(꼭 볼게 있다면 비디오나 DVD로 보지만 그마저도 영화는 안보는 편입니다) 이 영화는 꼭 봐야 하겠어요....특히 mccha625님께서 대사까지 상세히 적어 두셨다니요... 창고를 알게 해 주시고, 영화가 어떤 영화인지를 찾아주신 조선인님께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꾸뻑~~

조선인 2004-06-02 17: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냥 우연히 제가 좋아하는 영화였기 때문에 알 수 있었을 뿐인걸요.
그리고, 창고는, 알라딘 사람들이 보면 좀 미안하지만, 제가 가장 애용하는 음반사이트입니다.
품절된 앨범도 전화로 부탁하면 구해준답니다.
리뷰면에 있어서 도서는 알라딘, 음반은 창고가 최고가 아닐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