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아있는 우리 신화 - 우리 신들의 귀환을 위한 이야기 열두 마당
신동흔 지음 / 한겨레출판 / 200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분명 처음 접하는 내용은 아니다. 어디선가 들었던 내용들, 귀에 익숙한 이름들. 한편으로는 한여름밤 무서움에 떨면서도 이상하게 재밌어하며 지켜보던 전설의 고향 같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지루하고 졸린 수업시간에 우리의 시선을 잡아두기 위해 술술 풀어주던 선생님의 옛날 이야기 같기도 하고...그래, 분명 많은 부분들이 수업시간에 듣던 옛날 이야기들이 맞은거 같애.
신부님께서 미사 강론시간에 뜬금없이 '제주도에 (잡)신이 얼마나 되는지 아는사람?' 하셨었다. 음... 한 오백여개 되나? 하고 있는데 ... 삼만이 넘는다던가? 몇달전에 들은 얘기를 어찌 기억하겠냐. 정확하지 않은 얘기는 이쯤에서 그만두고. 하여튼 뭔놈의 조상신과 잡신들이 그렇게 많은지. 온갖 신이 다 있는데다가 당집은 또 왜그리 많았을까. 내가 다녔던 중학교 터 역시 당집이 있던 곳이었다. 교가에도 나온다. 서운당~ ㅋㅋ(그런데 나는 그걸 학당의 이름으로 알았었다. 아무리 중학교 1학년 꼬맹이였다 해도 그리알고 교가를 불렀었다니 너무 단순한거 아니었나? ㅡ.ㅡ)
어쨋든우리의 많은 귀신들을 보면서 왜 이리 많냐고 투덜대지만,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으며 '뭔놈의 신이 그렇게 많냐'라는 생각을 해 봤을까? 어릴적부터 양놈들의 귀신은 신화라면서 줄기차게 읽어제끼고 이름을 외워대면서 누가 어떻고 이것의 유래는 어떻고... 사실 그들의 신화이야기는 그저 방탕한 제우스로 인해 생겨난 수많은 자식들의 이야기와 신들의 시기, 질투, 탐욕...기타등등. 머..그런 얘기들이었지 않나?
그럼 우리 신은 어떤가.
서양의 귀신들처럼 심심풀이로 내기를 하거나 인간하고 겨루거나 인간을 질투하는 그런 쫌스런 신이 아니다. 이승세계와 저승세계의 구분이 있는 것처럼 인간과 신의 구분이 있지만 결국에 가서는 인간이 죽어 조상신으로 모셔지고 부모를 위해 제 목숨을 버리고 원수를 갚더라도 상대방을 완전히 매장시켜버리는 행위는 없다. 그리고 대부분의 이야기들에서 인간 삶의 존재와 죽음에 대한 지혜와 삶의 방식이 담겨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더구나! 우리 조상신들은 우리를 위해 제 목숨을 바친분들이 많다!
이 책에는 양이목사 이야기가 나왔는데 그러한 일화가 또 엄청나게 많지 않은가. 그 유명한 김녕사굴에 얽힌 김녕사또의 이야기는 어릴때부터 얼마나 많이 들어왔는지.
바리데기, 자청비 이야기만이 아니라 옛날 이야기처럼 친숙하게 들어왔던 영등할망 이야기도 곰곰이 짚어보면 섬사람들에게 중요한 고기잡이를 위해 풍랑과 날씨를 알게 해주는 삶의 지혜가 담긴 이야기 아닌가.
이제 우리의 신화이야기를 읽자. 그 속에서 우리 조상들의 삶의 지혜를 읽도록 하자. 시험에 찌들리고 더운 여름날에도 교실에서 땀 삐질거리며 수업을 받아야 했던 우리들에게 숨통 트이게 해주었던 선생님의 구수한 옛 이야기에서 살아나는 우리들의 신화이야기를 이제 우리가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들려주도록 하자. 정말 멋진 이야기들이 얼마나 많은가!
이제 미의 여신이라고 하면 아르테미스를 먼저 떠올리지 말자. 사과 하나 차지하려고 전쟁을 일으키고, 용서가 없는 냉혹한 서양의 귀신이 아니라 자신을 버린 부모를 위해 서역만리 저승까지 기나긴 여행을 하고 돌아온 우리의 어여쁜 누이 바리데기를 떠올리자. 바리데기야말로 진정 우리의 누이같은 아름다운 여신이 아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