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람의 열두 방향 ㅣ 그리폰 북스 3
어슐러 K. 르 귄 지음, 최용준 옮김 / 시공사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당신은 전설과 사실을 구분할 수 있는가? 진실에서 진실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p18)
책에 대한 확실한 정보도 없이 덜컥 사버린 책. 많은 사람의 추천도 있었고 '바람의 열두 방향'이라는 제목이 특히 더 맘에 들어 덜컥 구입은 했지만 막상 도착한 책을 보니 선뜻 읽히지는 않았다. 책을 받고 나서야 단편임을 알아챈 이유도 있고 어렴풋이 반지전쟁 비스무레한 책으로만 여겼던 내 탓은 더 컸다.
소설은 분야를 가릴 것도 없이 주어지는 대로 읽는 나지만 그래도 선호하는 분야는 나름대로 있기에 평소에 내가 즐겨 읽는다고는 할 수 없는 SF를, 그것도 60-70년대 쓰여진 책을 읽는다니...
한달은 넘게 처박아 두기만 했던 것 같다. 지금까지 나열한 이러저러한 이유로.
연휴즈음 인사를 다니기 위해 장시간 차를 타고 밖에서 대기하고 있는 시간이 길것이라 예상된 날, 서둘러 가방을 챙기다 짧게 읽을 수 있는 책, 작고 가벼워서 작은 가방에 담을 수 있는 책을 급히 고르다 바람의 방향이 내게로 불었는지 이 책을 손에 잡게 되었다. 가볍게 읽어봐야지, 라고 생각하면서.
하지만 가볍게 읽으려는 내 마음은 어디론가 슬그머니 사라져버렸다. 샘레이의 목걸이를 읽을때까지만 해도 '어? 이건 뭐냐?'라고 멈칫했지만 파리의 4월, 명인들... 이름의 법칙....땅속의 별들..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 점점 더 묵직한 무언가가 나를 짓누른다. 인간에 대해, 탐욕과 이기주의에 대해, 고독에 대해, 삶에 대해.. 행복에 대해... '본질'에 대한 질문을 자꾸만 던지는 것 같아서.
나는 도저히 그 광범위하고 깊이있는 르귄의 글에 대해 뭐라 표현할 수가 없다. 삽십년도 더 전에 쓰여진 그의 글들이 지금 읽어도 강한 에너지를 뿜어낸다는 광고문구가 허튼말은 아니라는 것만은 말할 수 있다. 노트에 빽빽하게 옮겨적은 문장들을 다시 읽어보니 이렇게도 다양한 주제들을 이야기했었나, 새삼 또 감탄하게 된다. 그런데 지금 눈에 번쩍 띄는 문장은 왜 "보잘 것 없는 인간 하나하나의 뇌가 별과 은하의 형태를 인식해 사랑으로 번역해 내쟎아요(372)"일까. 여러 이야기가 담겨 있지만 결국은 '인간'에 대해 느꼈고,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읽은 느낌이어서 그런걸까?
아니... 정말 잘 모르겠다. 나는 이미 바람의 열두 방향으로 끝없는 길을 나서버린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