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십자군 이야기 1 - 충격과 공포 ㅣ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 5
김태권 지음 / 길찾기 / 200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첫번째 책을 읽으면 그 다음이 미치게 기다려질 것만 같아서 둘째권이 나오기를 기다리고 기다리다 결국은 먼저 읽어버렸다. 그리고 책장을 덮으며 역시나 여전히 둘째권은 나오지 않았다는 것에 대해 쓸데없는 배신감까지 느껴져버릴 정도였다. 그렇게 이 책은 아쉬울만큼 너무 빨리 읽혀버린다.
하지만 둘째권이 이토록 늦어지는 이유가 이 책을 훨씬 쉽고 재미있게 만들어 친숙함을 느끼게 해 주신 저자 어머님께서 편찮으시기 때문이라고 하니 어머니의 빠른 쾌유를 빈다. - 단지 둘째권을 빨리 보고 싶어서 쾌차하시기를 비는 것만은 아니라는 건 모두 아시리라.
아니, 그런데 난 지금 리뷰를 쓰는 중인데 책의 리뷰와는 관계없는 이야기들을 늘어놓고 있다. 십자군 이야기를 읽으며 충격과 공포를 느껴버렸기 때문인가?
이 책은 십자군에 대한 이야기를 상세하게 자분자분 이야기를 풀어나가니 십자군 전쟁에 대한 흐름이 막힘없이 스며드는 것 같다.
옛날 고등학생이었던 나는 성당에서 신부님께 교리를 받고 있었는데, 무슨 생각을 했는지 중세 교회의 타락이 신앙심없는 세례와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냐는 질문을 했다가 신부님께 무시당하고 교리실의 많은 사람앞에서 망신 당하는 민망함을 느껴야 했다. 그때 내 고민은 정말 심각한 것이었는데 말이다. 세계사를 배우며 중세를 들여다보고 있으면 '신앙'이 무엇인지 의심스럽기만 했다. 내가 믿는 평화를 원하는 신과 그들이 믿는 전쟁의 신은 분명 다를것이다. 아니, 그들은 자신의 이익을 얻기 위해 타인의 죽음과 피를 원하는 미치광이들일뿐이다.
책을 읽고 어쩌면 미리 예상된 것들이기도 하기에 큰 충격은 없었지만, 여전히 되풀이되고 있는 거짓들. 악의 축을 무너뜨리고 선을 행하기 위해, 신의 이름을 걸고 전쟁을 외치는 미치광이들이 날뛰고 있는 세상을 생각하니 울컥 화가 치민다.
우리는 왜 역사를 배우고 과거의 일들을 기억하는가. 그건 어리석은 과거를 되풀이하면 안되기때문 아닌가. 이 세상에 당나라당 같은 정치가들과 당나귀같은 바보들과 십자가 들고 신의 계시를 받았다고 외치는 전쟁 미치광이들이 빨리 사라지기를 바란다. 똑똑한 우리와 우리의 후손은 이제 역사를 바로 배우고 잘못된 과거를 알게 되면서 평화흘러넘치는 세상을 만들 수 있기를 바란다.
그러고보니 역사시간의 배움책으로 이런 책을 택하면 안되나? 역사는 수능시험을 위한 것이 아니지않는가. 음... 이것부터 차츰 변화를 가져야하는거였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