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쳐야 미친다 - 조선 지식인의 내면읽기
정민 지음 / 푸른역사 / 2004년 4월
평점 :
"세상에는 여러 종류의 사람이 있다. 한 번 척 보고 다 아는 천재도 있고, 죽도록 애써도 도무지 진전이 없는 바보도 있다. 정말 갸륵한 이는 진전이 없는데도 노력을 그치지 않는 바보다. 끝이 무디다보니 구멍을 뚫기가 어려울 뿐, 한 번 뚫리게 되면 크게 뻥 뚫린다. 한 번 보고 안 것은 얼마 못가 남의 것이 된다. 피땀 흘려 얻은 것이라야 평생 내것이 된다"(p51)
천재도 아닌 나는 죽도록 애쓰는 바보도 아니다. 그래서 미쳐야 미칠 수 있는 이들의 삶을 입 헤- 벌리고 바라보지만 내가 그런 삶을 살지 못하고있는가보다. 감탄을 하고 감동을 받지만 내가 그리 살지는 못하겠구나, 라는 자포자기 생각은 무엇인가.
옛사람이라고 하지만 불과 이백여년 전의 우리 고조 할아버지쯤 되는 분들의 삶이었네, 생각하면 지금의 우리가 얼마나 일회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는가 반성해보게 된다. 공공연히 오래된 이야기지만, 특히 규모가 커져버린 올해 수능부정 사건을 보면서 자신의 출세와 학벌을 위해 거짓을 행하는 많은 아이들을 생각하니 맘이 착잡해졌다. 그 아이들이 이 책에 나온 조상들의 생활을 본다면 정말로 '미친 짓'으로만 여기지 않을까?
"不狂不及"이란 말을 이해할까?
쓰다보니 내가 칼자루를 쥐고 칼 끝을 겨누는 것은 그 끝이 나 자신을 향해 있는 거구나, 생각이든다. 남보고 이렇다 저렇다 말할 수 있는 자격이 내게 있는가 말이다.
성실함도 오롯함도 없고, 눈은 자더라도 마음은 깨어있으라는 말에 선뜻 '네'라는 대답도 하지 못하는 내가 아닌가.
'그저 활자를 읽는 것만이 독서가 아니다. 글로 쓰는 것만 작문이 아니다. 글로 쓰여지지 않고, 문자로 고정되지 않은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안목이 있어야 한다. 그럴 때 천하 사물은 명문 아닌 것이 없다'(p298)
활자만을 읽는 독서를 하고 있는 나는 뭔가, 라는 생각을 해본다. 리뷰같지도 않은 리뷰를 써대고 있는 나는 뭔가, 라는 생각을 해 본다. 지금의 뭉툭한 나 역시 쓰고 쓰고 또 쓰다보면 조금씩 날이 서게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