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폭력 대화
마셜 로젠버그 지음, 캐서린 한 옮김 / 바오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비폭력 대화(Nonviolent Communication, NVC)는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갈등을 평화롭게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쉽게 교환할 수 있는 대화 방법이다. 이는 이러한 대화를 순조롭게 이어갈 수 있게끔 상호관계를 형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분노를 자아내고 자존심을 떨어뜨리는 말을 피하고, 모든 사람이 공감하는 가치와 욕구에 초점을 두고 친선을 북돋우는 말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대화 방식이다.
NVC에서는 우리 행동의 가장 바람직한 동기는 두려움, 죄책감, 비난이나 수치심이 아니라 삶을 풍요롭게 하고 싶은 마음에서 나온다고 본다. 중요한 것은, 각자의 생활에서 스스로 책임지고 선택해서 행동할 것, 그리고 대인관계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 대화의 근본 목적이라는 점이다. 대화의 상대방이 이 대화벙법을 몰라도 효과를 거둘 수 있다. - 책에서 인용
이 책의 리뷰는 '비폭력 대화'는 어떠한 것이며 이러이러한 내용이 담겨있다, 라고 쓰면 안될 것 같다. 내가 어떠한 상태에서 책을 읽었고, 책을 읽은 후의 변화는 어떠한지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그래서 부끄럽지만 리뷰를 쓴다는 핑계로 나 자신을 되새김질 해본다.
언젠가부터 나는 말투가 거칠어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느긋하던 내 성격도 차츰 성격 급한 사람들과 사회생활을 하기 시작하면서 갑자기 행동도 거칠어져 버렸다. 안에 담겨 있던 말들은 조금 참으면 사라져가곤 했었는데 어느순간부터 안에 담겨 있는 것들을 참아내지 못하고 내뱉게 되면서부터 더욱 더 날카로워져버린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모르지.. 내가 원래 그랬었는지도.
책을 읽는동안 나는 조금이나마 변화되었을까?
동아리 활동중에 친구와 이유도 없이 소원하게 지내게 된 때가 있었다. 중개 역할을 하던 친구의 난감함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유없이 나를 멀리하는 친구와 할 얘기가 없다고 했었던 것 같다. 시간이 좀 더 흐르고 도무지 내가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납득시키는 데 성공한 친구는 나를 멀리하던 다른 친구에게 결국 그 이유를 듣는데 성공했다. 이유인즉슨 아침모임에 자기가 정성들여 준비한 나눔말씀을 들으며 내가 '쳇! 그건 아냐!' 라며 비웃는듯한 표정을 지었다는 것이다. 그 친구는 안그래도 내가 그 모임을 오랫동안 담당해왔었고, 그 분야에 대해 너무 많이 알고 있다는 생각에 내 눈치를 보고 있었는데 마침 내 표정이 그랬다고 느꼈으니 얼마나 마음이 상했겠는가...
이유를 알게 되고 나서 그 친구와는 어찌어찌 오해를 풀고 지금껏 친구로 지내고 있지만, 오해가 풀리지 않았다면 우리의 친구관계는 그것으로 끝이었겠지.
이 책을 읽는내내 그때의 일이 떠올랐다. 그리고 책을 읽는 동안 주위 사람들의 표정과 내뱉는 말을 보면서 내 생각으로 그 사람의 생각을 추측하는 습성을 버리려고 많이 노력했다. 아아, 쉽지만은 않았다.
오래전에 읽은 P.E.T교육에 관한 여러 이야기들도 떠오르긴 했지만 그 책들이 구체적인 실천에 관한 지침이라면 '비폭력 대화'는 대화를 함에 있어서 나의 생각과 느낌을 분리시켜 상대방에 대한 나의 선입견을 배제하기 위한 지침과 그에 따라 상대의 느낌을 공유해보는 연습이 담겨있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가장 많이 연습한 부분도 그것이었고.
내 친구도 이러한 것을 알았다면 그때 친구가 느낀 것이 진실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았을 것이고, 한때나마 어색하고 멀리했던 시기는 없었겠지...
생각해보면 나는 이러한 책을 오래전부터 접해왔었다. P.E.T에 관한 이야기가 담겨있는 '이 시대를 사는 따뜻한 부모들의 이야기'도 그렇고, 생활성서에서 연재되었던 같은 내용의 또 다른 이야기들도 읽었고, 특히 존포웰 신부님이 쓴 대화법이나 행복의 조건 같은 책도 이미 십여년 전에 읽었다.
이 책을 읽으며 새삼 그 책들을 꺼내보니 그 당시에는 '아~!'하는 감탄사와 함께 읽었으면서도 실생활에서 내가 행해야한다는 생각을 그리 깊게 하지는 못했었다. 왜 그랬을까?
어쩌면 내용은 비슷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비폭력 대화'가 이리도 와 닿는 것은, 내가 사회생활을 하면서 점점 더 내 안에 폭력성이 더 커져버렸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상대방을 이해하려 하기보다는 나의 생각과 나의 느낌이 먼저라야 되고 내 말이 우선 앞서야 하기 때문인지도 모르고.
책을 읽고 난 후 평소보다 예민해진 나는 급기야 '요즘 왜 그리 날카로워졌냐'는 얘기마저 들었다. 책을 읽어도 아무 소용이 없었나? 정말 낙심하고 있다가 생각을 바꿨다. 요즘 자주 내 느낌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그리고 이야기를 하며 상대방이 이렇더라, 라는식의 말이 아니라 상대방이 이러이러한 행동과 말을 했는데 그것이 내게는 꼭 이런 뜻을 담고 있는것처럼 생각되더라, 어떻게 해야할까? 라는 말을 하는 나를 발견한다.
그렇게 이야기를 하다보면 '아, 이건 단지 내 생각일뿐 상대방은 전혀 그런 의도가 없었는지도 몰라. 내가 괜히 스스로 오해하는거 아냐?'라는 말이 내 안에서 올라온다. 도무지 내 행동이나 말에는 변화가 없지만 내 마음속의 내가 이렇게 말을 걸어오는 것이 변화의 시작이 아닐까? 그렇게 나는 위안을 가진다.
그래서 이렇게 비폭력 대화는 나를 조금씩 비폭력적으로 변화시켜 가고 있음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