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직범죄 대책과 시라타카 아마네
가지나가 마사시 지음, 김은모 옮김 / 나무옆의자 / 2023년 3월
평점 :
초등학생 레이나 유괴 살인사건,에 대한 이야기가 언급되어 있어서 작가의 다른 작품 이야기에서 이어지는 또 다른 연쇄살인 사건인 줄 알았는데 이 사건은 아마네가 이후의 경찰생활을 하면서 반드시 사건을 해결하고 범인을 잡아 더이상 피해자가 생기지 않게 하겠다는 결의를 다지게 해 주는 것이었다.
그런 아마네가 근무하는 무사시노서 관할의 한 공원에서 대낮에 피에로 복장을 한 사람의 시신이 발견된다. 수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공원에서 발견된 시신은 테트로도톡신이라는 복어독에 중독되어 사망했으며 그의 얼굴에는 1/TTX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의심의 여지없이 TTX는 테트로도톡신임을 확인하지만 숫자 1에 대해서는 그 명확한 의미를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아마네는 직감적으로 숫자 1의 의미가 연쇄살인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챈다.
얼마지나지 않아 아마네의 예측대로 2/TTX라는 글자가 새겨진 두번째 시신이 발견되고, 테트로도톡신에 중독된 이들의 특징은 사망직전까지 몸을 움직일수 없는 마비상태가 되며 호흡곤란으로 사망하게 되는데, 의식만큼은 또렷해 자신의 죽음과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한 인식은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만큼 잔인한 살해방법이기도 하며, 도대체 범인은 왜 그렇게 잔인한 방법으로 살인을 저지르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범인이 피해자들에게 죽기 직전까지 보여주려고 했던 것은 무엇일까.
더구나 몸이 마비된 피해자를 사람들이 오가는 공공장소에 두기 위해 범행이 발각될지도 모르는 위험을 무릅쓰면서까지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이동시킨 이유가 무엇일까.
사건은 범인을 찾기는 커녕 오히려 미궁속으로 빠져들어가는데...
매의 눈,으로 사건의 핵심을 파고들어 해결하는 아마네는 사실과 검증을 통해 사건을 해결하기 전에 테트로도톡신 독이 사람에 따라 다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에 착안을 해 범인이 피해자들을 실험대상으로 삼았을지 모른다는 추측으로 사건 조사의 방향을 찾아내고 그 결과 뜻밖의 사실을 알게 된다.
이렇게 사건이 해결되는 듯 하다가 범인이 쳐 놓은 덫에 아마네가 걸려들게 되고...
사건은 아마네의 억측에서 풀려나가며 해결이 되는 듯 전개되고 있지만 그 억측이라는 것이 타당성이 있고 사건에 대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는 것에서, 나는 아마네의 추론을 억측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대부분 사건의 해결은 유기적인 사고방식에서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어떤 측면에서는 반전이 있다고 할수도 있고 독자로 하여금 전혀 모르겠어,가 아니라 소설 속 경찰과 같이 추론을 해 보며 이야기속에 빠져들어 책장을 넘기게 되는 이야기이기도 해 부담없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