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밤중의 아이
츠지 히토나리 지음, 양윤옥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3년 3월
평점 :
'냉정과 열정 사이' 작가 츠지 히토나리의 장편소설,이라는 것이 이 소설에 대한 가장 큰 호기심을 갖게 하는 문장일 것이다. 나 역시 그렇기는 하지만 사실 나는 냉정과 열정 사이를 읽은 적도 그 유명한 영화를 본적도 없다.
'한밤중의 아이'라는 소설은 연애소설을 잘 쓸 것 같은 작가의 글이지만 내용은 사회문제를 담고 있다는 것에서 더 이 책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정말 오랫만에 따뜻하게 사회문제를 이야기하고 있는 소설을 읽었다. '따뜻하게'라고 했지만 사회제도의 헛점과 제도밖에서 방황하는 아이들에 대한 현실적인 모습 역시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한밤중의 아이'라는 의미 자체가 유흥업소에서 부모가 일하는 동안 돌봐주는 사람없이 밤거리를 혼자 돌아다니는 아이를 일컫고 있음을 생각하면 그에 따른 부차적인 이야기들을 떠올릴 수 있다.
한밤중의 아이,인 렌지는 유흥업소에서 일하는 부모가 있지만 출생신고가 되지 않은 무적자이다. 부모는 렌지의 생활과 교육에 무관심할뿐만 아니라 때로는 폭행까지 서슴지않고 행한다. 더구나 밤에 일을 나가면 어린 렌지는 돌봐주는 사람없이 길을 헤맬수밖에 없다. 그래도 다행히 유흥가 나카스에는 어린 렌지를 돌봐주는 다정한 어른들이 있다. 아이 한명을 키우기 위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은 이런 상황에서도 해당이 되는구나, 라고 생각하면 마음 한쪽이 쓸쓸해지는 기분이지만.
어린 렌지는 나카스를 자신만의 왕국이라 생각하고 그 안에서 나름대로 잘 지내려고 애쓰는 모습도 짠해지는 기분이지만, 사실 그런 상황에서도 꿋꿋하게 살아갈 수 있었다는 것이 비현실적이라 생각했다. 소설을 읽으며 비현실이라는 생각을 한다는 것 자체가 아이러니한 느낌이지만 잠시 더 생각을 해 보면 비현실로 느껴질만큼 놀라운 일이지만 공상이 아니라 현실속에서 존재할 수 있는 이야기라는 생각에 더 많은 생각에 빠져들게 된다.
집이 없어 거리를 헤매는 아이와 집이 있지만 거리에 살고 있는 어른, 유흥업소에서 일을 하지만 아이에게 무심한 부모와 달리 자고 있는 아이를 깨워 어린이집에 맡겨야하는 것을 미안하게 생각하는 부모가 있고 삐끼를 하고 깡패로 사람들을 협박하고 폭행하며 생계를 유지하지만 한밤중의 아이에게만은 친절한 어른도 있다. 물론 또래 여자친구도 있고 전통 지역축제에 함께 한 친구들도 만날 수 있다. 한밤중의 아이는 극과 극의 어른들 틈바구니에서 좋은 방향으로 살아가고 있는 렌지의 모습을 보는 것은 좋았지만 결국 터져나오는 렌지의 분노와 폭력도 이해할 수 있는 이야기의 흐름은 이제 비현실이 아닌 현실로 다가오게 된다.
한밤중의 아이 렌지의 이야기,라고 조금은 가볍게 생각한다면 쉽게 읽히는 드라마같은 이야기지만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경찰 히비키를 통해 법제도의 헛점속에 희생되는 아이들, 학대와 폭력속에 방치되는 아이들을 생각하게 되고, 그런 어려운 현실에서 아이들을 구해주려는 사람들의 존재는 우리의 역할이 무엇인지 고민해보게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