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낙타의 눈 ㅣ 문학인 산문선 1
서정 지음 / 소명출판 / 2022년 11월
평점 :
"카자흐스탄의 초원에서 어린 낙타의 눈만큼 예쁜 것은 없다고 한다. 까맣고 동그란, 반짝이는 눈. 가장 빛나는 아이가 되리라는 부모의 염원이 담긴, 시원적 아름다움이 묻어나는 이름, 탄생의 빛과 죽음의 통곡이 묻어나는 이름. 뜨겁게 머물다 차갑게 떠나가는 방랑자의 이름. 이제 다시 찾은 오래된 새 이름"(33)
낙타의 눈,이라는 뜻을 가진 카자흐스탄의 그 이름은 '보타고즈'. 소비에트 시대의 마지막 세대이며 미국 가정을 꾸리고 사는 그녀는 "가족 구성원 사이에 흐르는 암묵적 가치 또한 소련과 미국 사이에서 널을 뛴다(32)고 하는데 사실 딱히 와 닿지는 않는다. 조선족이나 고려인을 보면 그저 낯설기만 할 뿐인데 내가 소련을 안다고 해도 그 시대를 살아간 소련인들의 삶을 어찌 알 것인가. 그런 생각의 한편으로 이 책에서 기억에 남는 글 중 하나가 자장가이다. "어떤 세대 혹은 시대를 이해한다는 것이 무엇일까? 김윤식 선생이 정지용의 예를 들어 '그것이 일본 것이니까 삼가야 한다는 것은 일종의 지적 폭력인지 모른다. 자장가를 불러야 될 자리에 저도 모르게 일본 군가를 불러버리는 경우도 사정은 같다. 그의 세대엔 유년기에 부른 노래가 그것밖에 없었기 때문이다"(80) 라는 글을 읽으며 어머니가 살아왔던 시대속에서 어머니를 이해하려 하지 않은 내 모습에 부끄러움이 느껴졌다.
낙타의 눈을 읽으며 가벼운 여행에세이라고 생각했는데 이 책은 여행지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단면을 통해 사유한 느낌을 적어내려간 글이다. 그래서 순간 멈칫 하게 되지만 낯선 듯 낯설지만은 않은 이야기들이 또 다른 사유를 하게 만들어 좋다.
러시아 연방과 그 국경지역의 독립국가, 유럽뿐 아니라 남미의 곳곳을 다니며 우리에게는 낯선 미술가의 이야기도 좋았는데 특히 핀란드의 화가 헬레네 쉐르벡의 그림들은 인상적이었다. <성모마리아 엘 그레코를 기리며> 라는 작품은 간결해보이지만 자꾸 눈길이 간다. "슬픔에 빠져 있지만 강인한 생명력으로 삶을 수놓는 여인들의 모습이 그녀의 그림 속에서 빛난다"(134)
핀란드는 화가 이야기만이 아니라 공공건축가 등 예술가들의 이야기가 있지만 그래도 역시 언급하지 않을 수 없는 이야기는 공공도서관, 특히 동네 도서관이다. 지역 주민들의 요구에 의해서일 것이라며 여러 언어로 된 외국어 도서가 상당수 비치되어 있다는 것은 살짝 부러운 이야기이다.
그러고보니 벨라루스인가 카자흐스탄에서인가, 러시아인가. 한국에서는 공무원의 비리가 횡령을 통해 형편없는 화장실을 만드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그곳에서는 화장실을 만든다고 돈을 받지만 화장실의 실체는 없다던가. 어디를 가나 물질적인 욕심과 그에 희생당하는 것은 힘없는 이들뿐임을. 그런데 실체조차 없는 것보다는 형편없지만 그래도 화장실이 있는 것이 나으려나? 이런 생각을 하고 있으니 어이가 없기는 하네.
벨라루스에서 시작해 러시아, 핀란드를 지나 남미에서의 여행은 문화유산뿐만이 아니라 역사와 경제와 문화가 맞물리는 이야기를 풀어놓고 있어서 흥미로웠다. 특히 쿠스코의 검은 예수 이야기. 볼리비아의 마녀시장에서 이루어지는 원주민의 신년축제 알라시타, 완전한 물질의 축제에 대한 이야기들 역시 체 게바라가 추구한 이상향과는 상관없이 자본주의 사회에 시장논리로 이용되고 있는 것과 같이 여러 생각을 하게 한다.
여행 산문집 낙타의 눈은 한꼭지 한꼭지 읽다보면 많은 생각에 빠져들지 않더라도 또 다른 그곳의 모습과 사람들의 삶과 그들을 바라보는 저자와 그를 통해 보게 되는 또 다른 나 자신의 모습이 슬며시 나오게 되는 그런 이야기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