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침묵은 여자가 되나니 - 아킬레우스의 노예가 된 왕비
팻 바커 지음, 고유라 옮김 / 비에이블 / 2022년 6월
평점 :
절판
낯설지만 낯설지 않은 이 느낌을 뭐라고 표현을 해야할지.
처음 이 책을 알게 되었을 때는 매들린 밀러의 키르케를 떠올렸었고 신화의 또다른 이야기,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 본 트로이 전쟁 이야기라는 가벼운 기대감이 있었다. 아, 그런데 책을 펼치면서 바로 나의 가벼움이 부끄러워졌다. 이 느낌을 뭐라 표현하기 어렵지만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라는 책을 떠올리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위대한 아킬레우스. 영민한 아킬레우스. 눈부신 아킬레우스. 신과 같은 아킬레우스..... 그를 가리키는 수많은 별칭들. 우리는 그중 어떤 것으로도 그를 부르지 않았다. 우리는 그를 '도살자'라고 불렀다."
'도살자'라니. 첫문장부터 심상치않게 다가온 이 소설은 소설임을 알고 있는데도 자꾸만 역사의 기록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호메로스의 일리아드가 신화이야기처럼 느껴지는 것과 달리 영웅 아킬레우스를 도살자라고 부르는 그녀, 브리세이스의 이야기는 전쟁을 바라보는 현실 인간의 날것 그대로의 시선을 느끼게 한다. 한 국가의 왕비였지만 패배한 나라의 남자들은 도살되고 여자들은 노예가 될 뿐이었다. 전쟁은 그런 것일뿐이었다...
알고 있는 트로이 전쟁의 이야기와 다르지 않지만 다르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그것이라 생각한다.
하나의 전리품처럼 아킬레우스의 소유가 된 브리세이스는 그의 노예가 되었고 그녀의 시선을 따라 보는 전장의 모습은 야만과 다르지 않았다. 부모형제, 남편과 아이들을 죽인 적군에게 노예로 끌려간 여인들은 자신의 가족을 죽인 이들의 시중을 들고 성적인 노리개로 전락하게 될 뿐인 것이다.
"어떤 여자들은 만약, 만약의 경우 트로이인들이 이긴다면 그들이 오래전에 잃은 여동생을 다시 만난 것처럼 자신을 환대해 주리라 생각하며 스스로를 안심시켰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우리를 적의 노예로 보고, 자기들 노예로 삼아 또 맘대로 하지 않을까?"(185)
슬프게도... 그 옛날 병자호란때 이 땅의 딸들을 지켜내지 못했다는 안타까움은 커녕 오히려 온갖 고난을 겪고난 후 고향을 찾은 여인들에게 환향녀라며 손가락질을 했고 그 말이 욕으로 전해졌다는 화냥녀의 어원이 떠올랐고, 오랫동안 고통속에서 침묵을 강요당했던 위안부 할머니들이 떠올랐다.
이 소설은 브리세이스의 시선만이 아니라 아킬레우스의 시선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지만 그것은 호메로스의 일리아드를 따라가기 위한 것의 의미이며 목적도 의미도 없는 전쟁의 현실이 무엇인지를 브리세이스의 일상에 대한 묘사와 대비되며 더 강렬하게 그 참상을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렇게 오래전 일은 아닞만, 처음에, 나는 아킬레우스의 서사에서 빠져나오려고 시도했고, 실패했다. 하지만 지금부터는, 나의 이야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