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끝의 언어 - 우리 삶에 스며든 51가지 냄새 이야기
주드 스튜어트 지음, 김은영 옮김 / 윌북 / 2022년 5월
평점 :
요즘 표고버섯이 제철인지 생표고가 많이 보여 자주 사 먹고 있다. 여러 요리에 넣고는 있지만 가장 좋아하는 건 별다른 양념없이 그대로 참기름에 살짝 볶아 먹는 것이다. 버섯이 익어가면서 나는 향이 가장 강하기도 하고 그 버섯향이 너무 좋아서 그러는데 음식의 향이 없다면 그 식감만으로 맛을 충분히 느낄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 책 '코끝의 언어'는 바로 그런 의문에 대해 정확한 대답을 던져주는 이야기라기보다는 그런 의문에 대해 다양한 냄새의 이야기를 통해 옛추억의 향수뿐 아니라 사회문화, 인문학적인 생각에 빠져들게 해주고 있다. '우리 삶에 스며든 51가지 냄새'라고 되어 있는데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향신료, 음식, 식물, 흙 같은 자연의 향에 더해 저자는 담배와 심지어 대마초의 이야기까지 하고 있다. 그런데 인상적인 것은 "이 책을 쓰기 전에는 어떤 냄새를 맡음으로써 얼마나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지 미처 알지 못했다"(150)라고 말하며 담배가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 사실 이것은 담배를 권장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이미 담배를 피우고 있는 이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을 말하려는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담배를 피우는 상사가 흡연실로 향할 때 항상 따라가 온갖 정보를 빼오는 직원을 볼때마다 농담처럼 우리도 담배를 배워야겠어! 라고 말하는데 저자는 그와는 또 좀 결이 다르게 "우리는 저마다의 세상을 품고 있으며 대화는 우리에게 그 세상을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주고 같은 하늘 아래 머물게 한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어 좋았다.
대마초에 대해서는 단순히 냄새만이 아니라 그에 얽힌 사회적인 인식들에 대한 이야기까지 이어진다. 어디서나 흔하게 잘 자라는 잡초같은 대마가 밧줄, 종이를 만들고 천을 짜고 심지어 차로 마시기도(241)하는데 꽃을 이용해 농축액을 만들며 많이 알려졌듯 진통제로도 쓰였지만 결국 그 중독성으로 인해 마약으로 규정되었는데, 미국에서 외래종인 것처럼 대마초를 마리화나로 부르며 금지했다는 것, 그럼으로써 흑인, 타국의 이주민이나 불법체류자들의 전용인것처럼 만들어 폭력적인 사람들로 낙인찍고 차별을 정당화했다는 이야기는 마약의 위험성과는 별개로 사회적 편견이 어떻게 정부조직에 의해 이루어진 것인지 생각해보게 된다.
한가저 더 언급해보자면 '돈'에 대한 것인데 새 돈의 냄새가 아니라 헌 돈의 냄새를 맡기 위해 헌 돈을 구하는 과정에서 돈의 흐름은 결코 가난한 동네에서 부자동네로 가지 않으며 어떤 돈에는 고달픈 인생사가 담겨있기도 한다는 이야기는 단순히 '냄새'에 대한 이야기만은 아닌것이 '코끝의 언어'를 더 깊이 읽게 하고 있다.
각 장의 사이에 엑서사이즈가 있는데 쉽고 간단하지만 독특하기도 하고 냄새에 집중하며 냄새를 맡아보는 여러 실행방법들이 제시되어있다. 눈과 귀를 막고 바닥에 엎디어 오로지 코로만 냄새를 맡아보라고 하는데 만약 그런 모습을 이상하게 쳐다보는 사람이 있으면 대학의 연구논문을 위한 실험중이라는 대답을 하라는 등 저자의 유머감각이 담겨있기도 해 전체적으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그리고 책을 읽는동안 쨍쨍한 햇빛에 이불을 널어 말릴 시기가 되었음을 떠올렸는데 햇빛에 말린 이불에서 나는 향은 딱히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포근함과 안정감을 주며 기분을 좋게하고 숙면을 취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을 갖게하는 그 좋기만한 것을 같이 떠올리게 한다. 책에서 설명한 과학적인 내용을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해도 말이다. 그리고 나 역시 건조기 반대론자가 아니라 빨래줄에 빨래를 너는 것을 더 좋아할뿐이기도 하고.
"냄새를 배울수록 세계를 더욱 다양하게 감각할 수 있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바람"(360)처럼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재미있게 읽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