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중마감, 오늘도 씁니다 - 밑줄 긋는 시사 작가의 생계형 글쓰기
김현정 지음 / 흐름출판 / 2025년 3월
평점 :
이 책은 방송작가 김현정의 글쓰기와 관련된 에피소드를 엮은 에세이이다. 이렇게 쓰고보니 이 책의 설명에 대한 결이 약간 어긋나있는 느낌이 든다. 글쓰기와 관련된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에피소드 중심이 아니라 글쓰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작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설명해주고 있는 글쓰기의 기본을 알려주고 있는 책이다.
사실 방송작가의 일이란 무엇인지 생각해본적이 없어서 그들이 하는 일이라는 것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 잘 몰랐다. 솔직히 이 책을 다 읽고난 후에도 방송작가에 대해 명확히 설명할수는 없을 것 같다. 대본, 섭외, 시나리오, 기타등등 많은 것들을 구성하고 다듬어나가는 작업을 하는, 생각보다 더 광범위하고 방송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직업이라는 생각도 하게 된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생업을 위한 글쓰기,라는 관점이 더 컸었는데 딱히 그 말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글을 쓰면서 생업을 이어간다는 쪽이 더 가까운 느낌이 든다.
수많은 이야기들을 읽으며, 그냥 글을 잘 쓰는 작가가 아니라 지금에 이르기까지 - 아니, 작가는 지금도 여전히 수많은 실패와 좌절을 겪으며 날마다 새롭게 시도하고 노력한다고 말하고 있는데, 글쓰기라는 것이 어느날 갑자기 실력이 늘어나거나 잘 쓰게 되는 것이 아니라 끈기와 성실함으로 날마다 노력해야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는데 선배 작가님들의 이야기에서 또 감동과 그들의 변함없는 모습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글을 읽으며 앵커브리핑에서의 에피소드는 당시 직접 봤었던 기억이 떠오르기도 해서 자꾸만 손석희님의 그 어투가 재생되는 느낌이 들었고, 자신의 글에 대한 손석희님의 짤막한 반응에 대한 작가의 해석을 읽으며 웃어대다가 잠시 당시 작가가 느꼈을 그 마음을 떠올리니 뭔가 애잔한 느낌이 들기도 했다. 책을 읽으며 정말 맛나게 글을 쓴다고 느꼈는데 그 기나긴 세월동안 끊임없이 노력한 결과물일 것이라 생각하니 그 또한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기도 하고.
그래서 이 책에서의 강조점은 '오늘도' 씁니다,일 것이고 글을 쓰는 자세와 배우는 자세, 나도 모르게 표절을 하는 것은 아닌지 자신을 검열하고 안일한 생각으로 넘기는 것 없이 철저히 확인을 해야하는 것이 작가의 기본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작가님의 6강이라는 표현은 정말 본인은 쥐구멍에라도 들어가고 싶은 심정일 것 같은데, 그런 기본적인 실수들을 통해 더 세세한 부분까지 확인을 하는 자세를 배우게 되는 것은 글쓰기만이 아니라 우리 삶의 모습에서도 배울 부분인 것 같다.
훌륭한 성과물은 어느날 갑자기 툭 떨어지는 것이 아니다. 많은 이야기들이 마음에 남고, 하나하나 새겨가며 읽을 이야기들이지만 그냥 그 하나의 에피소드로 감동을 느꼈던 글이 있다. 수많은 시간 생각을 하고 좋은 표현을 기록해두고 기억하고 있었기에 나올 수 있었던 글이 아닐까 싶다. 다시 읽어도 뭔가 뭉클해지는 글이다.
마음을 다한 선물을 전하고 싶었다. 무언가 근사한 방법이 없을까... 한참 썼다 지우기를 반복한 끝에 언젠가 보았던 다큐멘터리의 제목을 떠올렸다. <반짝이는 박수소리> 표현이 아름다워 저장해둔 문장이었다.
‘반짝이는 박수 소리‘. 이런 표현,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청각장애인들은 박수 대신 두 팔을 이렇게 반짝반짝 흔들며 축하와 격려의 마음을 전합니다.
오늘은 제2회 한국수어의 날입니다. 눈과 손으로 전하는 우리만의 언어를 기념하는 날인데요.
(수어와 함께 멘트) 서로 조금씩 다른 모든 사람이 수어로 다 같이 반짝이는 날을 기대하면서, 오늘 9시 뉴스 마무리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KBS <뉴스9>, 2022년 2월 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