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치에 대하여 :
1. 김성주
mbc 오락 프로그램 << 아빠, 어디 가 >> 가 선풍기도 아니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을 당시에, 나는 이 프로그램이 " 아동 노동 착취 금지 협정 " 을 어겼다고 어깃장을 놓은 적이 있다. 자식을 앞세운 아비들의 앵벌이라는 격정적 표현도 사용했다. 내 글에 대한 반응은 대동소이했다. 뜯다 뜯다 헐뜯을 게 없어서 이런 걸로 시비냐, 쑥이나 뜯어 이 새캬 _ 라는 댓글이 대부분이었지만,
내가 보기에 이 프로그램은 어린이판 << 체험, 삶의 현장 속으로 >> 였다. 새벽 일찍 일어나고 싶은 아이가 어디 있을까 ? 오지를 돌아다니며 갯벌 체험을 하거나 한겨울에는 산속 깊은 곳에서 빙어 낚시에 동원하기도 했으며 밤 늦게 촬영이 끝나는 것은 예삿일이었다. 오, 맙소사 ! 지저스 크라이스트. 라스베가스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다. 실제로 헐리우드 영화 공장은 아역 배우들의 노동 시간에 대해 매우 엄격하다. 촬영은 대부분 나인 - 투 - 파이브 안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부득이 야간 촬영을 해야 하는 경우는 부모와 아역 배우의 자발적 동의 없이는 밤에 촬영이 진행될 수 없다.
만약에 이를 어기면 법적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그것은 헐리우드 영화 공장이 아동 노동 착취 금지 협정을 철저하게 준수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린이판 << 체험, 삶의 현장 속으로 >> 는 ?! 이 오락 프로그램의 중심에는 김성주가 있었다. 내가 김성주를 콕 짚어서 말하는 이유는 다른 출연 가족과는 달리 부자 관계'가 곰살궂지 않았다는 데 있다. 부자 간 애착 형성 과정에 실패한 가족 같았다. 다른 아빠 - 들'이 아이와 함께 " 체험 " 을 하고 있었다면, 김성주는 아이와 함께 " 체험 학습 " 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그는 카메라를 의식해서 친절한 아빠 역할에 충실하고자 노력했지만
몇몇 장면에서는 애써 화를 삭이고 있는 얼굴 표정이 역력했다. 나는 그 친절함이 불편했다. 이웃들에게는 웃으면서 착한 아들이라고 소개하지만 이웃이 보이지 않으면 냅다 아들의 등짝을 후려치는 부모처럼. 최근에 주진우 기자는 김성주를 거론하면서 김장겸이나 김재철 같은 인간도 역겹지만 김성주 같은 인간도 패주고 싶다는 말을 한 모양이다(자세한 내용은 다들 아시리라 믿고 생략한다). 나는 사람들이 그가 맡고 있는 프로그램에서 하차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동의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그를 지지할 생각도 전혀 없다. 그는 염치없는 사람이 맞다.
2. 최영미
종종, 술자리에서 한국인은 교양 수준이 떨어져서 순수 문학이 팔리지 않는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그리고는 작가들이 글만 써서 먹고 살 수 있겠냐 _ 며 한숨을 내쉬고는 한다. 그가 내뱉은 한숨에는 그래도 나는 교양인이어서 순문학 졸라 많이 읽었지롱 _ 이라는 행간이 숨어 있어서 웃음이 났다. 순수 문학이 팔리지 않는 것은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세계 어느 나라나 똑같다. 고진의 말처럼 근대 문학(순수 문학)은 죽었다 ! 글만 써서 먹고 살기 힘들기는 마찬가지인데, 프랑스 작가들은 글만 써서 먹고 살 수 있다. 프랑스 문화 예술 지원 정책 때문이다.
프랑스 교육 문화 예술 지원 정책은 빈민가 아이들이 원하기만 한다면 좋은 스승 밑에서 바이올린을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렇기에 프랑스 예술인은 국가 지원(국가에서 제공하는 일자리)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그런데 한국인은 예술인을 베짱이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끼니를 굶은 아이에게 바이올린을 가르치다니 ! 이런 식'이다. 하지만 예술이라는 것은 대대로 돈 많은 부자의 후원으로 발전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바그너는 오토 베젠동크의 경제적 후원을, 니체는 마이젠부르크의 경제적 후원을, 릴케는 베르너 라인하르트라는 후원자가 있었기에 창작을 할 수 있었다.
그때나 지금이나 순수 창작만으로 밥을 먹고 살기 힘들기는 마찬가지였던 것이다. 하지만 어느 누구도 바그너에 대해, 니체에 대해, 릴케에 대해 놀고 먹는 염치없는 베짱이라고 흉보는 사람은 없다. 내 개인적 취향을 고려하자면 최영미 시인의 시와 글은 질색(특히, 페이스북에 올린 글은 한심하기는 하지만...)이지만 문화 예술 생산자로서 후원자의 지원을 바라는 마음을 염치없다고 비판할 생각은 없다. 순수 예술인은 창작만으로는 밥 먹고 살 수 없지만 그렇기에 오히려 더 밥 먹고 살 수 있게 지원을 해야 한다는 마음에서 그를 지지한다. 그에게 전망 좋은 방이 생기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