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화의 맨살 - 하스미 시게히코 영화 비평선 ㅣ 시네마 4
하스미 시게히코 지음, 박창학 옮김 / 이모션북스 / 2015년 8월
평점 :
부드럽지만 강단 있는 비를 섭외하게나 :
왜 슈퍼맨은 항상 새옷일까 ?
내가 좋아하는 영화는 4,50년대 헐리우드 영화'다. 다른 식으로 말하자면 스튜디오 시스템으로 만들어진 미국 영화'다.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 작가와 고다르는 스튜디오를 거부하고 거리로 나와 맨살의 영화를 생산했지만, 나는 스튜디오 시스템 아래 만들어진 엄격함을 좋아한다.
카메라 동선은 검약을 미덕으로 하고, 빛은 정확한 계산 아래 다양한 각도로 투사되며 조율된다. 현대인은 현대 영화에 비해 4,50년대 영화가 기술적으로 뛰어나지 못하다고 생각하는데, 사실은 정반대'이다. 4,50년대 만들어진 미국 고전 영화는 공룡과 아바타를 컴퓨터로 그려내는 영화보다 기술적으로 뛰어나다. 아닌 게 아니라 요즘 카메라는 동선의 우아함 따위는 개나 준 지 오래이다. 무조건 스피드로 승부를 보려고 한다. 제구력 형편없는 투수가 무조건 스피드로 승부를 보려는 것처럼 말이다. 편집도 마찬가지'다. 호흡이 너무 짧다. 현대 영화는 마치 ADHD 환자 같다.
처음에는 지독한 만연체 때문에 학을 떼다가 점점 빨려들 게 되는 평론가 하스미 시게히코도 같은 말을 한다. 그는 현대 영화 감독이 " 눈을 찍는 방법 " 을 모른다고 지적한다. 일리 있는 지적이어서 무릎 탁, 치고 아, 하게 된다. 아, 하고 나서 무릎 탁, 치면 어색하니 말이다. 비나 눈이 오는 장면은 로케이션 촬영으로 찍어야 한다는 믿음은 멍청한 생각이다. 설령, 실제로 눈이 내리는 장면을 야외 로케이션으로 찍었다고 해서 최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눈이 내리는 장면에서 주인공은 눈(雪)이다. 만약에 눈을 선명하게 보여주지 않으면 그 촬영은 실패한 촬영이다.
눈 하면 생각나는 영화 << 러브레터 >> 는 공교롭게도 눈 내리는 장면을 형편없이 찍은 영화에 속할 것이다. 이 영화에서 눈은 많이 내릴 뿐, 세세한 눈의 묘사에는 실패한다. 그저 무더기로 내릴 뿐이다. 비빔밥의 생명은 낱낱이 독립적인 밥알이듯이 눈 내리는 장면에서 중요한 것은 뭉쳐진, 떡진, 무더기로 내리는 눈이 아니라 눈송이 하나하나가 생생한 눈이다. 그런 점에서 << 러브레터 >> 의 설경은 실패한 촬영이다. 눈도 제각각 다른 결정체를 가지고 있듯이 성격도 가지가지'다. 훌륭한 감독은 영화 줄거리에 맞는 캐릭터(雪)를 원한다. " 어이, 조감독 ! 이 장면에 필요한 눈은 말이야.
부드럽지만 강단이 있고, 약간 성격이 급한 녀석으로 섭외를 하시게. 지나치게 얼굴이 허연 놈은 사절이야. 약간 잿빛이 도는 놈으로 섭외하라고. 탄광 출신으로 구하라고. 데려올 때 녹지 않도록 조심하라고..... " 그렇다, 눈도 제각각 성격이 있는 것이다. 하스미 시게히코의 전언에 의하면 일본에서는 특기부라는 부서가 있어서 비나 눈을 찍게 되면 이 사람들이 달려와서 그 작품에 어울리는 비나 눈을 내리게 했다고 한다. 스튜디오 시스템이기에 가능했다. 스튜디오 시스템을 정작한 영화사가 1년에 만들어내는 작품이 많기에 철저한 분업화가 이루어진 것이다. 그렇기에 비나 눈만 만들어내는 기술자가 존재했던 것이다.
서당개 3년이면 풍월을 한다는데 비와 눈을 만든 지 어언 40년이면 도통했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 ? 스튜디오 시스템으로 돌아가던 고전 영화에서 눈이나 비가 내리는 장면을 자세히 보면 광장히 아름답게 만들어졌다는 사실에 놀라게 된다. 무더기가 아니라 송이 송이 눈꽃송이 하나하나가 아름답게 재현되어 있는 것이다. 하지만 스튜디오 시스템이 붕괴되면서 이러한 기술자들도 모두 사라졌다. 장인이 사라진 것이다. 그렇기에 이제는 눈이 오면 실제 눈이 내리는 장면으로 만족한다. 그런 눈은 아름답지 않다. << 러브 레터 >> 에 등장하는 설경을 보고 아름답다고 말하는 것은 죽이 된 비빔밥을 보며 맛있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
리처드 브룩스 감독이 연출하고 콘래드 홀 촬영감독이 촬영한 << 인 콜드 블러드, 1967 >> 는 지금까지 내가 본 < 비 > 가운데 가장 입체적이고 선명한 비'다. 사형 선고를 받은 사형수가 비오는 창밖을 보며 지난 일을 후회하는 장면에서 보여지는 비는 탁월한 연기자'였다. 이 장면에서 비는 개성이 있다. 한 방향으로만 흐르지도 않는다. 빨리 떨어지는 빗방울이 있으면 유리에 붙어서 느리게 떨어지는 비도 있고, 액션에 반응하여 사선으로 튀는 리액션도 보여준다. 그뿐이 아니다. 사형수의 얼굴에 반사된 비는 필름이 열기에 녹는 것 같은 느낌도 전해준다. 이토록 입체적인 비를 본 적이 없다.
무엇보다도 사형수의 얼굴에 반사된 비는 이제 곧 죽어야 하는 사형수의 마음을 형상화한다. 기가 막힌 장면이다. 또 한 가지 불만은 실내 장면이다. 모든 가전과 가구가 새것으로 번쩍거리는 모델하우스를 보는 듯하다. 세월의 흔적을 찾을 수 없는 실내 공간은 실패한 공간이다. 훌륭한 미술 감독이 실내 공간을 만들 때 가장 신경을 쓰는 곳은 손잡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손때가 많이 묻은 곳이 손잡이니 손잡이를 보면 그 집의 세월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마도 스튜디오에 소속되었던 기술 팀이라면 손잡이에 세월을 창조했을 것이다. 나는 종종 미국 슈퍼영웅들의 슈트가 지나치게 깨끗하다는 점에서 절망하게 된다.
언제나 새옷이다. 김치 국물 자국도 있고, 케첩 묻은 흔적도 있고, 다른 단추와는 달리 색깔이 다른 실로 꿰맨 단추도 하나쯤은 있어야 하는 것 아닐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