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비밀을 알고 있다 - [초특가판]
씨네코리아 / 2003년 10월
평점 :
잘 알 지 도 못 하 면 서 :
성/관계는 없다
알프레드 히치콕이라는 이름'에서 " - cock " 은 누구네 아들'이라는 의미로 종합하면 히치콕은 " 히치네 아들 " 혹은 " 히치 2세 " 라는 뜻이다. 훗날, 영화사에 큰 획을 그은 알프레드 히치콕은 청과상으로 부를 쌓은 상인 히치 씨의 아들'이었다. 그는 사람들에게 자신을 소개할 때 히치라고 합니다 _ 라고 말하곤 했다. 그리고는 익살스럽게 뒷말을 덧붙이곤 했다. " 하지만....... 좆은 없습니다. ㅋㅋㅋ " 정확히 기술하자면 " 히치라고 합니다.
콕(cock)은 없습니다만 ! " 인데, cock이 속어로 페니스를 뜻하는 단어이니 말장난인 셈이다. 히치콕은 자신을 거세된 남자'로 소개하는 것이다. 이 농담은 가볍게 웃고 넘어갈 일이기는 하나 공교롭게도 히치콕이 영화에서 주로 다루던 주제가 < 거세될 위기에 놓인 남성 > 이다. 나는 항상 히치콕은 양성애자라기보다는 동성애자에 가깝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그는 비록 영화적 동지인 알마와 결혼해서 외동딸을 낳았으나 트뤼포와의 대화에서 결혼해서 아내와 섹스를 한 경우는 단 한 번뿐이었고 그것도 어디까지나 애를 가지기 위해서였다고 고백한 적이 있다. 이 고백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
영화 << 너무 많은 것을 알고 있는 사내 The Man Who Knew Too Much, 1956 >> 에서 제임스 스튜어트가 연기하는 미국인 의사는 제목과는 달리 똑똑이가 아니라 헛똑똑이'이다. 미국인 의사 부부 가족을 지배하는 것은 아내'이다. 일종의 모계 중심 가족인 셈이다. 이 가족은 해외 여행 도중 아들이 유괴를 당하는 일이 벌어진다. 이 균열을 어떻게 봉합할 것인가. 가장은 미국인 의사는 동분서주하며 악당과 싸우지만 먼저 선빵을 날린 적은 없고 악당이 훅을 칠 때 잽만 날리니 타격감마저 낮다. 조금 더 흉을 보자면 : 목 마르다고 우물에 가서 숭늉 찾는 성격이어서 겁은 많아 새 가슴을 간직했으나
고집만큼은 황소'여서 자존심은 높다. 그리고 속은 뒤틀려서 아내에 대한 자격지심이 크고 질투심이 강하다. 잘난 척은 다 하지만 하는 일마다 실투투성이'이니 요즘 유행하는 말로 " 맨스플레인 " 의 전형이다. 요약하자면 이 영화의 관람 포인트는 남자 구실을 못하는, 거세 위기에 놓인 남자는 과연 남근을 되찾을 수 있을까 ? 에 있다. 남자는 우여곡절 끝에 아들을 되찾아 집으로 귀환한다. 영화는 스릴러에 촛점을 맞췄다기보다는 분열된 가족이 어떻게 다시 복원되었는가를 중심에 둔 가족극이다. 해체된 가족이 재난으로 인해 다시 뭉친다는 의미에서 이 영화는 < 스릴러 > 가 아니라 차라리 < 재난영화 > 에 가깝다.
내가 이 영화에서 주목하는 대목은 음악 연주회 홀에서 외국 대사를 암살하려는 암살자를 연기한 무명 배우 레지 날더의 얼굴이었다. 그는 내가 무수히 목격한 영화 속 얼굴 중에서 손에 뽑힐 만한 압도적 아우라를 가진 절대적 얼굴이었다. 아, 이 남자 정말 맬랑꼴리하며 야리꾸리한 눈빛의 소유자로구나 ~ 그가 등장하는 엘버트 홀 시퀸스는 매우 흥미롭다.




이 장면에서 암살자는 붉은 커튼 뒤에 숨어서 권총을 꺼낸다. 이때 화면은 권총 총부리 때문에 불쑥 튀어나온 커튼을 관객에게 보여준다. 모든 현상을 성(性)과 연결을 시키는 내가 보기에 이 장면은 양복 바지 입은 남자가 발기했을 때 바지 천 위로 불쑥 솟는, 민망한 장면을 연상케 했다. 다음 장면은 총부리가 천을 뚫고 그 모습을 드러낸다. 거짓말을 한 피노키오의 코처럼 총부리는 점점 길어지는데 이 장면은 누가 봐도 남근이 발기하는 모습을 떠올리게 만든다. 이 모습을 목격한 미국인 의사의 부인이 놀라는 장면은 마치 바바리맨이 박쥐처럼 날개를 펼쳤을 때와 유사하다.
재미있는 사실은 암살자와 표적(정치인)이 둘 다 남자라는 점이다. 그러니까 이 장면은 동성애적 성적 함의로 읽을 수도 있는 대목이다. 자료를 찾아보니 감독은 이 장면을 찍기에 앞서 암살자 역을 연기할 배우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 자네가 죽일 표적을 말이야. 아름다운 여인을 황홀하게 바라볼 때의 표정으로 바라보라고, 사랑스럽게 ! " 그의 주문대로라면 히치콕이 연출한 엘버트홀 시퀸스는 명백하게 성적인 의미를 가지게 된다. 동성애가 이성과의 섹스에 실패하는 서사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영화 내내 흐르는 야리꾸리한 갬성은 " 섹스리스 " 이다.
암살자가 쏜 사랑의 큐피트 총, 얼마나 남근적인 오브제인가 ! 는 빗나가고, 의사 부부 또한 내내 섹스리스 상태였다. 아내는 여행 도중에 불만 가득한 표정으로 남편에게 우리 애는 언제 가질 것이냐고 묻는다. 첫째 아이 출산 이후로 관계를 맺지 않았다는 뉘앙스로 읽히는 대목이다. 영화의 결말은 히치콕 영화가 언제나 그렇듯이 급조된 해피엔딩이다. 그것은 검열을 피하기 위한 방법이기도 하고 관객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했다. 미국인 의사가 되찾은 것은 잃어버린 아이가 아니라 자신의 남근이었지만, 부부의 섹스리스가 과연 해소될지는 모르겠다. 라캉의 경구를 빌리면 성관계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