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의 방향

                         나이 20은 " 이십 세 " 라는 표현보다는 " 스무 살 " 이라는 어감이 더 어울린다. < 스무 > 라는 관형사에는 " smooth " 와 " sweet " 의 느낌이 나서 다방 커피 맛이 난다. 반면에 나이 30은 " 서른 살 " 이라는 표현보다는 " 삼십 세 " 라는 표현이 더 잘 어울린다.

스무 살이 달달하고 부드러운, 설탕과 프림을 넉넉하게 넣은 커피 맛이 난다면 삼십 세는 블랙커피 맛이다. 전자가 낭만에 빠져도 될 나이를 미각적으로 표현한 어감이라면 후자는 쓰디쓴 현실을 냉정하게 바라보고 직시해야 된다는 현실 인식으로 읽힌다. 그렇기에 < 스무 살을 지나 삼십 세에 도달한 사람 > 은 철이 든 사람이고 < 이십 세를 지나 서른 살 > 이 된 사람은  철분이 부족한 사람이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여 스무 살 낭만을 이야기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것들이 바뀌었다. 한국 교육은 10대부터 치열한 승자 독식의 사회에서 경쟁해야 된다고 가르친다. 네가 죽지 않으면 내가 죽는 베틀로얄인 것이다. 낭만 따위는 지나가는 민들레에게 주시라. 뭐, 이런 분위기'이다.

대한민국 청춘은 독고다이 인생인 셈이다. 독고다이가 " 죽을 때까지 홀로 간다 " 는 뜻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 독고 > 가 < 고독 > 으로 읽힐 법도 하지만 한국인은 고독과는 거리가 먼 민족성을 가지고 있다. 10대들은 또래 중 한 명이 " 튀 " 면 침을 " 퉤 " 뱉는다.  요즘 등골브레이커로 등장한 10대 롱패딩의 색깔이 모두 똑같은 이유는 튀는 색깔의 옷이 자칫 튀려는 수작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한국인은 독고다이의 경제학(이면서 동시에 경쟁학)을 숭배하면서도 막상 獨孤( : 홀로 독, 외로울 고)한 자는 왕따라는 집단 폭력으로 응징하려는 모순된 폭력성을 보인다. 독고한 자를 독거(獨居)라는 형태로 가두려는 짓이 바로 이지메'이다. 이러한 모순은 세대를 초월하며 아파트라는 주거 공간이 부의 기준이 되는 나라가 전 세계에서 대한민국이 유일하다는 사실에서도 여실히 보여준다.

서구에서 아파트는 실패한 주거 정책이지만 유독 대한민국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집단과 조직에 대한 열망이 주거 형태와 맞물리면서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아파트 입주민 회의에서 배달 노동자의 엘리베이터 사용을 불허하겠다는 방침을 놓고 토론을 진행한 예가 좋은 사례'이다. 이제 십 대는 이십 세를 거쳐 삼십 세에 도달해야 된다.  불행은 바로 그것이다.  삼십 세'가 빛나기 위해서는 스무 살'이라는 낭만적 성장통을 겪을 때에만 가능한 것인데 이 낭만성이 제거되다 보니 한국 사회는 빠르게 인간성을 잃고 있다.  골리앗이 다윗을 때리는 행위는 인정도 없고 사정도 없는 무자비한 폭력에 불과하지만 다윗이 골리앗과 싸우려 하는 행위는 무모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낭만적이다.

진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싸울 수 있는 용기는 낭만이다. 그런 의미에서 노무현은 낭만적인 사람이다. 그는 스무 살을 거쳐 삼십 세가 되어 어른이 되었지만 낭만을 잃지 않은 정치가였다. 투석(投石)의 방향에 따라 선함과 악함이 바뀐다. 다윗이 골리앗을 향해 던진 돌팔매는 선한 행위이지만 바리새인들이 간음한 여자를 끌고 나와 돌팔매를 하려는 짓은 악함이다. 남자들이 남혐이라는 이유로 여자들을 향해 돌을 던질 때마다 예수의 말을 빌려 말하고 싶다.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 그리고 노무현이었다면 이렇게 말했을 것이다. " 내가 사랑하는 여자에게 돌을 던지란 말씀입니까 ? "








 





■  본문과는 상관없는,


                                      영화는 볼 때마다 다르게 다가온다. 영화 내용이 변했을 리는 없으니 내 마음이 변한 것이 분명하다. 이처럼 그때에는 " 불변 " 이라 믿었던 마음이 지금에는 " 가변 " 이 되어 돌아온다. 영화 << 봄날은 간다 >> 에서 유지태가 이영애에게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_ 라고 말했을 때, 이 대사가 끔찍해서 이 영화를 싫어했었는데 지금 다시 볼 수 있다면 어쩌면...... 이 대사 때문에 이 영화가 좋아질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마음은 항상 가변이니까. 내 마음 속 영원불변한 불후의 명작이라 믿었던 영화가 어느 순간 촌스럽게 느껴지는 경우도 있다. << 아비정전 >> 이 그런 경우였다. 일종의 권태기가 찾아온 것이다.  장 비고 감독이 1935년에 연출한 흑백 영화 << 라탈랑트 >> 를 20년 전에 시네마떼끄에서 보았을 때는 아무 감흥이 없었다. 세계 걸작 고전을 본다는 의무감과 보았다는 쾌감만 남았던 영화였다. 이 영화를 다시 본 곳은 10년 전 낙원동 아트시네마였다. 그때도 이 영화는 내게는 지루한 영화였다. 그리고 어제 유튜브를 통해 다시 보았을 때 내 마음은 그 전의 냉정과는 사뭇 다르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매우 아름답고 섬세한 영화였다. 영화를 보는 내내 흔들렸다. 어느 장면에서는 울컥해서 한지에 스며드는 농도 옅은 먹물처럼 눈물이 눈가에 번지기도 했다. 감상의 기준이 그때그때 다 다르다면 그때그때 선택했던 행위도 새로운 평가를 받아야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랑하는 이가 내 바짓가랑이를 붙들고 애원할 때 냉정하게 돌아섰던 내 마음은 옳았는가. 다시, 내가 사랑하는 사람의 치맛자락을 붙잡고 애원했을 때 내 슬픔과 연민은 정확한 판단이었나 ?  판단은 늘 불확실해서 결정도 늘 옳은 것은 아니다. 십 년 후에 다시 << 라탈랑트 >> 를 보았을 때 지금 내가 느꼈던 이 설움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을까 ?  모를 일이다. 그때 나는 그 여자를 사랑했던 것일까 ? 모를 일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9-01-07 15: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1-07 15: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댓글저장
 

 

 

 

 



맛 에     대 하 여

                               처음부터 백종원이 " 밥맛 " 이었던 것은 아니다. 그 남자의 몸에서 낯선 여자의 향기가 아니라 쉬어 터진 밥맛을 느끼기 시작한 계기는 << 골목식당 >> 이었다. 골목식당은 성장 드라마를 흉내 낸 휴머니즘 소설로 시작했지만 언제부터인가 보다 강력한 빌런(악당)이 드라마를 이끌어가는 피카레스크 소설1) 로 변했다. 손수건을 옆에 두고 책을 읽었던 독자도 장르가 바뀌자 이제는 쇠꼬챙이를 옆에 두고 책을 펼치기 시작했다. 

 < 안  타깝다 > 는 마음은 사라지고 < ㅡ 티껍다 > 는 마음만 남았다.  지금 당신이 보고 있는 것은 악한이 주인공인 소설이니까.  특히 청파동 편은 두 명의 빌런이 등장한다.  독자는 로마 검투장에 입장한 로마인처럼 하늘을 향해 올렸던 엄지손가락을 바닥을 향해 내리꽂으며 외친다. 찔러, 찔러, 찔러 !  욕하면서 본다는 점에서 골목식당은 막장 드라마'가 된 것이다. << 백종원의 골목식당 >> 이라는 제목의 피카레스크 소설은 과연 해피엔딩으로 끝날 수 있을까, 이 소설의 끝을 다시 써볼까, 과연 골목식당에 출연하여 뜬 가게들은 그 골목길에서 오래오래 장사를 할 수 있을까, 방송 때문에 그 골목 상권의 임대료가 상승하여 이웃 가게들이 손해를 보는 것은 아닐까 ?

돌아가는 꼴을 보면 그리 낙관적이지는 않을 것 같다. 내가 백종원 현상을 비판하는 이유이다.

평소 백종원에 대해 비판적이다 보니 상대적으로 황교익에 대해서는 우호적일 것이라 생각2)하겠지만 나는 오래전부터 황교익의 집밥 타령을 달갑게 생각하지 않았다. 다음은 2015년 7월 13일에 작성한 글이다.




황교익과 백주부 :  집밥에 대한 환상


                                                           어머니는 다행스럽게도 음식 솜씨'가 형편없었다. 아무리 좋은 식재료로 요리'를 해도 맛은 항상 평균 이하'였으니까. 으하.  나는 그 사실에.....       감사했다. 왜냐하면 집 밖에서 먹게 되는 음식'은 우리 집 집밥 맛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았기 때문이었다. 만약에 어머니의 음식 솜씨'가 << 한식대첩 >> 에 나올 수준이었다면 나는 사람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했을 것이다. 밥그릇 싹싹 비우는 게 미덕인 사회에서  집 밖에서 깨작 깨작거리다가 밥을 남기면 까탈스러운 인간이란 소리 듣기 딱이니 말이다.  사람들은 식당에서 밥을 먹으면서 자주 " 집밥 " 을 찬양한다. 식당에서 나박나박 썬 무를 넣고 자박자박하게 조린 < 갈치조림 > 을 먹으면서 집밥을 찬양하다니 " 미틴 거 아니야 ? " 나는 사람들이 입에 침이 고이도록 칭찬하는 " 집밥 이야기 " 를 이해할 수 없었다. 내가 겪은 경험으로 축소해서 말하자면 < 집밥 타령 > 은 여성보다는 남성이 주류였고, 도시 출신'보다는 시골 출신'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들이 한결같이 말하는 집밥 예찬'에는 " 어머니 손맛 " 이라는 해괴한 논리가 자리 잡고 있었다. 어머니 손맛이 맛을 좌우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맛집 탐방 오락 프로에 등장하는 손님들이 내뱉는 말과 비슷했다. 그들은 한결같이 카메라 앞에서 " 그 옛날 어머니가 해주던 맛 " 이라고 강조했다. 정말 그럴까 ? 그들이 집밥과 밖에서 먹는 밥'을 분리하는 기준은 의외로 단순하다. 집밥은 어머니가 주체이지만 밖에서 먹는 밥은 아줌마가 주체이다. 여기에는 한국 특유의 << 어머니 찬양과 아줌마 경멸 >> 이 자리하고 있다. 그들이 보기에 밖에서 먹는 밥이 맛이 없는 이유는 사랑과 정성의 아이콘인 엄마가 아니라 아줌마가 음식을 한다는 데 있다.  " 옛날 어머니 손맛 " 이라는 해괴한 논리'는 대한민국 남성 중심 사고'가 낳은 착각'이다. 그들이 어머니를 호출하는 이유는 어머니'라는 존재가 " 보살핌의 아이콘 " 이라는 데 있다. 그 옛날 기억 속에 어머니는 자신을 보살피는 기계"다. 비 오는 날 김치전이 먹고 싶다면 김치전을 뚝딱 내놓고, 비빔국수가 먹고 싶다고 말하면 먹음직스러운 비빔국수가 나온다. 하지만 이 기억 속에는 절차가 생략되어 있다. 한여름 불앞에서 땀 흘리며 요리를 하는, 어머니의 무보수 노동 장면이 " 블랙 아웃 "  형태로 통편집된 것이다. 그럴 수밖에 없다. 그 과정을 본 적이 없으니 말이다. 또한 여기에는 집밥이 공짜'라는 인식도 자리하고 있다. 이 세상에 공짜 싫어하는 사람이 있을까 ? 공짜는 다, 맛있어요 !  남성 입장에서 보면 " 집밥 " 은 여러모로 환상적인 음식'이다. 그러다 보니 식당에만 가면 집밥 타령이다. 이제 집밥 타령은 그만했으면 싶다. 집밥에 침이 고이더라도 한여름, 불 앞에서 고생하는 아내(어머니)를 생각한다면, 경제적으로 그리 궁핍한 생활이 아니라면 일주일에 한두 번 정도는 외식'을 합시다. 집밥이 곧 사랑이라고 ?  글쎄, 정말 그럴까 ? 집밥은 아내 혹은 어머니의 노동'으로 만들어진 음식이라는 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당신이 집밥 타령을 하며 침이 고일 때, 누군가는 집밥 때문에 땀을 흘린다. 집밥은 사랑의 결실이며서 동시에 노동의 결실이다.



황교익은 틈만 나면 식당에서 파는 음식을 비판하면서 집밥이 최고야 _ 라고 엄지 척했지만  이 집밥 예찬에는 여성이 집밥을 만들기 위해 땀 흘린 가사 노동(력)은 지워져 있다.  설탕과 MSG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맛있는 우아미를 내기 위해서는 그만큼 더 많은 부엌력(부엌노동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황교익은 모르고 있다.  그러다 보니 음식은 정성이 맛을 좌우한다는 소리나 하고 있는 것이다. 나는 종종 황교익이 가족을 위해서 부엌에서 요리를 한 적이 있는지 궁금하다. 한여름에 불앞에서 요리를 한다는 것이 상당히 고통스럽고 짜증 나는 일이며 갓 지은 밥이야말로 가장 맛있는 밥맛이라는 남편을 위해 끼니 때마다 갓 지은 밥을 차리는 것이 바쁜 현대 사회에서는 사치에 가깝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까 _ 라는 그런 궁금증 말이다.


1일1식 5년 차에 접어들면서 내가 절실하게 깨닫게 되는 것은 시장이 반찬이라는 점이다. 하루에 한 끼만 먹다 보면 맛없는 음식도 배고프면 달게 먹는다.  음식 투정을 자주 부리는 사람은 주로 음식을 만들어야 하는 환경에서 손을 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남성은 물론이거니와 며느리에게 상을 받는 시어머니도 여성이면서 툭하면 며느리의 음식에 대해 타박을 놓는 이유는  음식을 만드는 노동 환경에서 벗어났기 때문이다. 식당의 음식 맛을 가지고 그 사람의 인성을 논하면서 " 빌런化 " 시키는 백종원과 그 추종자들도 마찬가지'이다. 음식을 만드는 데 소모된 노동을 귀하게 여기지 않을 때 우리는 함부로 음식에 대해 논한다.  맛이란 기본적으로 " 환상 " 이다.


바나나 우유에는 바나나가 없고, 초코 우유에는 초콜릿이 없고, 딸기 우유에는 딸기가 없다.  그리고 소고기 다시다에는 소고기가 없다. 식도락이 소확행'이라고 주장한다면 그 사람은 한갓 " 헛것 " 을 좇는 헛똑똑이에 불과하다.  포방터 돈가스 한 개 먹어 보겠다고 이른 새벽부터 텐트까지 치는 상황을 보면서 문득 허니버터칩 하나 먹겠다고 그 난리 부르스를 췄던 몇 년 전 일이 떠오른다.  한때 " 신이 선물한 맛 " 이라는 극찬을 받았던 허니버터칩은 지금은 마트 할인 행사 때 " - 떨이 " 로 팔려 나가고 있다. 허니버터칩의 거무추레한 몰락을 지켜보면서 골목식당의 거품을 지레짐작하는 것은 지나친 우려일까 ?


황교익의 지적은 옳다.  설탕 적게 넣고 조미료 사용 자제하고 재료 본연의 맛을 살리기 위해서 양념을 과다하게 넣지 말라는 지적은 백 번 천 번 옳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말하는 태도에 있다.  그에게는 대중을 계몽하려는 말투가 깃들여져 있어서 바른 소리를 해도 싸가지가 없는 것처럼 들린다.  설탕과 MSG 그리고 갖은 양념의 과다 사용이 음식 맛을 떨어뜨리는 것보다 맛을 떨어뜨리는 결정적 요인은 배부른 투정'이다. 맛없다고 먹던 음식 함부로 뱉지 말고,  맛있다고 함부로 집밥 찬양하지 마라. 그리고 손님이랍시고 식당 가서 위세 떨지 마라. 가장 효과 좋은 향미와 조미는 뱃가죽이 달라붙을 정도의 허기와 상대를 사랑하는 마음이다. 






​                                 


1)  주인공이 악한이며, 그의 행동과 범행을 중심으로 사건이 진행되지만 결국에는 악한의 뉘우침과 결혼으로 끝나는 소설의 유형

2)  종종 백의 추종자들이 페루애는 남의 나라에서 내정간섭하지 말고 페루로 돌아가  라는 소리를 하던데 내 고향은 충청도유. 알았냐, 씹새야 ! 내가 왜 페루로 돌아가야 하냐, 응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레삭매냐 2019-01-06 21: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백 씨 주연의 막장드라마는 계속
해서 전편의 역대급 빌런을 능가
하는 빌런이 등장해서 숙명의 대결
을 펼쳐야 하는 오래전 만화 <손오공>
을 연상시킵니다...

언급해 주신 대로, 혀준 선생의 애티
튜드가 역시 문제인 것 같습니다.
꼰대 스탈이 이제 먹히지 않는 마당
에 그런 컨셉으로 쇼부를 치니 대중
에게 외면을 받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이미 알쓸신잡에서 내공을 보여 주셨
는데도 여전히 그대로시더군요...

곰곰생각하는발 2019-01-07 15:02   좋아요 0 | URL
황기백기 깃발 게임 같습니다.
황기 내려, 백기 올려.. 황기 내렸다 올리지 말고 당장 백기 들어.....
뭐,이런 느낌이라고나 할까요. 황 선생도 보면.. 참 꼰대에요.
혼밥하는 행위가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된다고 말하는 것을 보면 말입니다..
전 이 양반, 집밥 타령 좀 그만했으면 합니다...
만날 음식점 음식 맛 평론을 하면서 왜 수요미식회 같은 데 나갔는지 이해가 안 갑니다..
집밥이 제일 맛있는데 왜 식당 가서 밥 먹으며 맛 평론을 하나요 ?
댓글저장
 

 

 

 


​                           


헬   조   선    원    년   :



국가부도의 날, 2018



                                                                                                                  국가부도의 날에 술을 마셨던 기억이 난다.  술집은 한산했고 취객은 조용했다. 이 침묵은 앞으로 다가올 고통을 지레짐작할 수 없을 때 발생하게 되는 어떤 " 무지 " 이거나 " 증후 " 였다.

김영삼이 티븨에 나와 허리띠를 졸라매고 고통을 분담하자고 했을 때 여기저기서 욕지기하는 소리가 들렸다. 난감했다, 그날은 내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모인 자리였으니까 !  20년 전 일이라 세세하게 기억할 수는 없으나 아마도 어디선가 눈이 내리고 있었을 것이 분명하다. 그날은 절기로 小雪 이었다. 소설(小雪)에 소설(小說) 같은 일이 벌어진 것이다. 픽션이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 국가는 국민 탓'을 하기에 바빴다. 국민들의 과소비가 IMF를 불러왔다는 것이다. 국민 80%가 자신은 중산층이라 믿었던 시절에, 90년대 인기몰이 중이던 패밀리레스토랑에서 큰마음 먹고 생일 파티를 해본 경험이 있는 소시민이라는 누구나 죄책감에 시달려야 했다. 당시 MBC 9시 저녁 뉴스에서는 외국계 패밀리레스토랑을 취재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이곳의 음식은 대부분 수입 원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여기에 로열티까지 꼬박꼬박 달러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음식점을 통해서 우리의 달러가 물이 새듯 해외로 새나가고 있습니다. 엠비씨 뉘우스 ~ 송재익이었습니다. " 죄인이 된 국민은 외화를 모으기 시작했고 장롱 속 금을 내놓기도 했다. 20세기 초에 벌어졌던 국채보상운동이 21세기를 앞둔 끝무렵에 재현된 것이다. IMF 다음해, 9622명의 국민이 자살을 선택했지만 IMF 사태에 대해 1차적 책임을 져야 할 정치인과 경제 관료는 단 한 명도 없었다. 영화 << 국가부도의 날, 2018 >> 은 내가 허름한 술집에서 생파를 하던 날로부터 일주일 전을 다룬다. 딱 잘라 말해서, 영화는 < 설명 > 은 많은데 < 갈등 > 은 없다.

이 영화에서 핵심 축이라 할 수 있는  한시연(김혜수 분)과 윤정학(유아인 분)은 관객들을 향해 경제 강의를 늘어놓는다. 문제는 두 등장인물 모두 내적 갈등이 부족하다는 데 있다. 우선, 한시연과 팀원은 서민 편에 서서 IMF 구조 금융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유가 입체적으로 와닿지 않는다. 감독은 이 문제를 의식했는지 영화 끝에 가서 김혜수와 허준호가 " 남매간 " 이라는 반전을 준비했는데 이 촌수寸數 반전'은 너무나 뜬금없어서 촌스러운 반전처럼 보인다. 그리고 유아인이 연기한 윤정학은 있으나 마나 한 캐릭터'다. 영화 << 빅쇼트 >> 에서의 마이클 버리(크리스찬 베일) 캐릭터를 그대로 카피한 윤정학은 염치없게도 그 유명한 대사도 그대로 훔친다.

마이클 버리와 윤정학의 차이점은 마이클 버리는 " 갈등하는 캐릭터 " 이고 윤정학은 " 갈등하는 척하는 캐릭터 " 라는 점이다. 이 차이가 캐릭터를 입체적으로 만들기도 하고 납작하게 만들기도 한다. 갈등은 보이지 않고 설명만 늘어놓다 보니 김혜수와 유아인이 연기한 캐릭터는 모두 입체적이지 못하고 납작한 캐릭터가 되었다. 이 영화에서 캐릭터를 가장 쓸모 있게 사용한 예는 조우중이 연기한 재정국 차관이다. 그 또한 갈등 없는 인물이기는 마찬가지이지만 이 캐릭터가 생생하게 살아남을 수 있었던 데에는 악마는 원래 갈등이 필요 없는 존재라는 데 있다. 인간은 갈등하지만 악마는 갈등하지 않는다. 그때나 지금이나 변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국민의 과소비가 국가를 망하게 만들었다는 주장은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나라 망하게 생겼다는 지금의 주장과 닮았다. 국민소득 3만불 시대에 30년 넘게 일한 제화공의 월급이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100만 원 남짓이라면 그런 나라는 망해야 한다. 1997년은 헬조선 원년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9-01-05 14: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1-05 14: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댓글저장
 

 

 

 

샘 스미스의 << 아임 낫 더 온리 온 >> 가사를 정성스럽게 번역해 보았습니다. 명색이 " 작사가 " 라는 타이틀을 보유한 사람으로서 가급적이면 번역에 충실하되 부득이 의역을 할 경우에는 한글 특유의 서정적인 가사를 쓰도록 매우 노력했습니다. 바람피는 남성에게 버림받는 여성의 마음을 남성 가수가 부르다 보니 감정 전달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바, 이번 번역 작업에서는 여성의 속마음에 가깝게 번역해 보았습니다. 바람과 버림은 전혀 다른 차원이니까요. 함께, 이 노래를 들으며 울어봅시다.




You and me, we made a vow

우리 손가락 걸고 맹서했잖아요
For better or for worse

기쁠 때나 슬플 때나 검은 머리가 파뿌리가 될 때까지 사랑을 나누자고....
I can't

하아, 개뿔 !

believe you let me down

널 믿은 내가 개년이다, 내가 개년 ~
But the proof is in the way it hurts

지금 내 속이, 속이 속이 속이 속이 말이 아니야, 소야 ㅠㅠ
For months on end I've had my doubts

음메, 설마가 사람 잡는다고
Denying every tear

눈물만 하염없이 주르륵
I wish this would be over now

도장 찍어, 이 개호로시방새야
But

하지만...

I know that I still need you here

나.... 당신이 아직은 필요해요, 다알링 ~

You say I'm crazy

그래요, 너님 말대로 나 개년이야.
Cause you don't think I know what you've done

네가 지난 밤에 한 일을 내가 모를 줄 알았지 ?
But when you call me baby

내 귓구멍에 콧바람 넣으며 우리 아가 _ 라는 지껄이는 소리를
I know I'm not the only one

다른 년들에게도 속삭였다는 사실 !

You've been so unavailable

넌 늘 내 곁에 없었어
Now

와우 !

sadly I know why

존나 슬프지만 이젠 알아
Your heart is unobtainable
Even though Lord knows you kept mine

네가 개호로쌍놈의노른자위를이쑤시개로터트릴새끼라는 걸,

넌 진짜 사랑을  알기에는 인간 됨됨이가 졸라 글러처먹었어. 이 똥물에 튀겨죽일개놈아. 널 펄펄 끓는 기름에 튀겨주마. 오, 주여 ~

You say

적반도 유분수지

I'm crazy

내가 개또라이라고,라고,라고, 라고라 ?
Cause you don't think I know what you've done

네, 네네네네네 !  넌 내가 당신이 지난 밤에 떡치고 돌아왔다는 거 모를 줄 알았쥬, 그쥬 ?
But when you call me baby
I know I'm not the only one

댓 발 나온 그 주둥이로 다른 년들 귓구멍 후벼파는 소리나 하고 다녔니 ?

I have loved you for many years

나... 오랫동안 널 사랑했었다
Maybe I am just not enough

그런 내가 너에게는 칠칠이 팔팔이 여자 구봉서였니 ?
You've made me realise my deepest fear

고마워, 너 때문에 내 야리꾸리한 마음을 깨닫게 해줘서
By lying and tearing us up

아, 하염없이 눈물이 박연폭포처럼 흐르누나.
 



샘 스미스 선생의 < 그려, 이 낫이 내가 풀 베던 그 낫이여 ! > 였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라 2019-01-10 03: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멋짐 폭발, 역대급 번역 ㅋㅋㅋ
댓글저장
 

 

 

 

 

 

 

 


 

청파동을 아는가 ?






너의 목소리가 쇠꼬챙이처럼 나를 찔렀고

그래, 나는 소리 없이 오래 찔렸다

ㅡ 청파동을 아는가, 최승자

 



                                                                                                             수 영화에 등장하는 괴물은 성격이 대부분 샤이(shy)하다. 네에, 부끄럽고요.                 부끄러움을 많이 타다 보니 처음부터 관객 앞에 모습을 드러내는 일은 없다.

고작, sky 하늘을 우러러 shy 부끄럼 한 점을 스크린 테이블 앞에 선보일 뿐이다. 일단 입가심으로 맛만 보세요 ~              괴물의 시점 - 샷'이나 그림자로 스쳐 지나가거나 거대한 발자국을 남기는 정도'다. 관객 입장에서 보면 < 감질맛 > 이 나서 애를 태우지만 그것이야말로 크리쳐물(괴수영화)만이 가지고 있는 < 감칠맛 > 이다. 중간에 괴물이 꼬리 치는 장면이 나오기라도 하면 관객은 자지러진다. 괴수영화는 신체의 일부분(페티시즘)으로 시작해서 세미누드로, 그리고 종극에는 올 누드로 끝을 맺는다는 점에서 클래식한 에로 영화를 보는 맛이 있다. 관객은 알몸을 보고 싶어 한다. 얼마나 단단한 물건인지, 얼마나 딱딱한 물건인지, 얼마나 거대한 물건인지, 도대체 저것은 무엇에 쓰는 물건인지......

80년대 가요무대 피날레를 장식하는 것은 언제나 조용필이었고 90년대 피날레를 장식하는 것은 < 서태지와아이들 > 이었듯이, 괴수 영화에서 피날레를 장식하는 것은 괴물(의 헤어누드)이다. 그것이 바로 장르의 법칙이다. 몸값이 워낙 비싸다 보니 몸통보다는 꼬리를 살짝 보여주는 것이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묘수이기도 했지만,  그보다는 관객의 호기심을 점진적으로 확장하기 위한 술수이기도 했다. 시작부터 헤어누드로 등장하는 것은 포르노이지 에로영화는 아니지 않은가 !  90분짜리 에로 영화를 스킵 없이 감상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90분짜리 포르노 영화를 스킵 없이 전편 관람하는 것에 애로 사항이 많다. 에효 !    

임성한의 막장 드라마도 마찬가지이다. 드라마 생명은 " 연속성 " 이다. 일일드라마 같은 경우는 더더욱 그렇다. 시청자 입장에서 보면 드라마 시청을 하루라도 놓치게 되면 맥락이 끊어져서 재미가 반감되고 결국에는 시청을 포기하게 된다. 그래서 임성한 작가는 자극적인 오늘의 미끼를 던진다. 임성한 작가는 여러분에게 미끼를 던진 것이고 당신은 미끼를 확, 물어분 것이여 ~             당신이 미끼를 물어버린 이상, 주도권은 막장 드라마 작가에게 있다. 낚싯대를 쥔 것은 작가이니깐 말이다. < 오늘의 미끼 > 는 < 어제의 미끼 > 보다 항상 먹음직스럽다. 그것이 막장 드라마의 윤리 없는 도덕률이자 법칙이다. 

내가 << 골목식당 >> 을 성공한 싸구려 괴수영화 시리즈물'이라거나 막장 드라마'라고 폄하하는 이유는 시청자의 호기심을 붙잡기 위해서 미끼의 싸이즈'를 키운다는 데 있다. 여기서 미끼는 미운오리새끼의 준말이면서 빌런을 의미한다. << 골목식당 >> 은 회를 거듭할수록 전편보다 더 강력한 빌런이 등장한다. 역대급 발암 캐릭터라는 홍탁집 아들은 청파동 피자집 사장에 비하면 천사에 가깝다. 그리고 오늘의 빌런은 언제가 방영될 내일의 빌런에 비하면 천사라는 소리를 들을 것이 분명하다. 왜 ? 그것이 바로 장르의 법칙이기 때문이다. 성공한 영화 속편이 내용과는 관련 없이 사이즈만 키우다가 몰락하고 말듯이(트랜스포머 시리즈를 보라. 이 영화는 외양은 로봇 영화이지만 따지고 보면 괴수 영화에 속한다),

막장드라마가 날마다 시청자를 붙들기 위해 내용과는 상관없는 자극적인 미끼만을 던지듯이 골목식당은 보다 국민 욕받이 캐릭터를 찾기 위해 제작진은 오늘도 죽은 상권을 찾아 하이에나처럼 어슬렁거릴 것이 분명하다. 골목식당 제작진이 욕망하는 것은 착한 상인이 아니라 나쁜 빌런이기 때문이다. 잘 키운 빌런 하나 얌전한 상인 열 명 부럽지 않다. 막장 드라마에 대한 정의가 욕하면서 본다는 의미라면 골목식당은 막장 드라마'다. << 골목식당 >> 이라는 프로그램은 멘티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성장 드라마라는 애초의 제작 의도와는 달리 멘토가 주인공인 성장 드라마로 변질되었다. 이제는 멘티가 멘토를 공격하는 행위는 역린으로 취급되고 있다.

시청자인 당신은 힘들게 살아가는 이 시대의 자영업자를 응원하기 위해 << 골목식당 >> 을 보는 것 같지만 속마음은 빌런을 구경하기 위해서이다. 당신은 자영업자 눈물을 닦아줄 손수건이 아니라 쇠꼬챙이를 옆에 두고 티븨 앞에 앉는다. 그리고는 빌런이 등장할 때마다 로마 전투장을 찾은 로마인처럼 하늘을 향해 세운 엄지손가락을 바닥을 향해 내리꽂으며 자비롭게 외칠 것이다. 찔러, 찔러, 찔러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9-01-04 13: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1-04 13: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