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의 중요한 순간에 다시 물어야 할 것들 - 500만 리더들과 30년간 이어온 위대한 소통의 기록
존 맥스웰 지음, 김정혜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5년 7월
평점 :
서른 전에는 리더라고 하면 회사와 같은 단체나 그룹에서 영향력을
가진 사람이자 그룹원들을 이끌어나가는 사람만을 가리킨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1인 기업이나 일반 사원들은 리더십을 공부해야 하는 까닭을 제대로
알지못했다. 생각해보면 종교적인 부분을 제외하고 내 인생의 리더는 오직 나뿐이다. 아무리 사랑하는 가족이나 친구나 연인이라도 내 삶의 리더로 그
사람들을 대체할 순 없다. 때문에 목표를 확실하게 하고 혼란스러운 내 마음이나 주변상황을 제대로 따라주지 않는 그룹원이라고 생각할 때 제대로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라도 분명 개개인 모두 리더십을 공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질문은 발견과 혁신을 위한 첫 번째 고리이다.
27쪽
능력만 있다고 리더는 아니다. 오히려 늘 운이 따르고 능력마저
완벽한 사람은 오만해지기 쉽다. 저자 존 맥스웰은 리더가 가져야 할 여러가지 사항 중 겸손을 강조한다. 겸손하라는 것은 결코 자신의 능력은
저평가 하거나 부정하는 일이 아니며 자신의 약점을 솔직하게 드러내놓고 인정할 줄아는 것이라고 말한다. 겸손한 태도를 유지하는것과 함께 '경청',
그리고 '질문'을 주요사항으로 언급했다. 이 책의 타이틀[인생의 중요한 순간에 다시 물어야 할 것들]에 대한 핵심을 저자는 결말에 담지 않고
처음부터 강하게 표현한다. 저자 자신이 살면서 들었던 가장 중요한 열 가지 질문과 함께 타인과 스스로에게 던졌던 질문까지 공개한다. 이 부분을
읽을 때 잠시 책을 덮어두고 독자도 따라서 적어보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과연 나는 살면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나를 좌절시킨 최악의 질문들도
떠오를테지만 우선 나를 변화시키고 긍정적으로 이끌어준 질문들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되었다.
질문이라는 단어는 '묻다','찾다'를 뜻하는
라틴어 '콰이르에레'에서 파생했다. '탐구한다','탐색하다'를 의미하는 '퀘스트'도 질문과 어원이 같다. 28쪽
질문은 우선 상대방을 잘 아는 것이 중요하다. 중요하고 위대한
질문을 하기 위해 상대방을 이해하는 것 부터가 시작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이야기를 경청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경청과 질문은 함께 따라다닐
수 밖에 없다. 저자도 자신이 몸담았던 교회가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신임 목회자를 채용하면서 던졌던 질문들이 큰 힘이 되었다고 말한다. 초반에
자신이 도움받았던 리더들의 중요한 질문들을 차례로 하나씩 알려주는 데 그동안 다른 자기개발서를 통해 접했던 중요한 핵심 중 빠지는 것이 하나도
없었다. 아직 이른 평가일 수도 있겠지만 내가 읽었던 자기개발서 서적 중 실천적인 부분을 제외한다면 단연코 이 책은 자기개발서의 핵심을 다
담았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질문을 잘하기 위해서는 내가 바로서야 하는데 바로 이부분이 우리가 그동안 읽어왔던 자기개발서의 내용을 담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많이 듣고, 좋은 대화로 이끌고, 상대방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는 위대한 질문을 이끌어 내는 자질, 바로 이것이 리더가 가져야
할 자세이며 서문에서 언급했든 우리삶의 진정한 주인인 우리 스스로가 가져야 할 항목이었던 것이다.
인상깊은 구절
우리는 자신에게 지속적으로 영감을 주고 끊임없이 성장하도록
도와주는 사람이 필요하다. 49쪽
모든 두려움의 원인은 딱 두 가지 입니다. 능력이 충분하지
못하거나 충분히 가지지 못했다는 데서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지요. 21쪽
대화의 진정한 가치는 상대방의 의견을 무력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더욱 발전시키는 것이다. 26쪽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는 데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세상에서 자신의
강점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면 확실히 차별화되기 때문이다. 6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