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튜링 : 이미테이션 게임
앤드루 호지스 지음, 박정일 옮김 / 해나무 / 2015년 2월
평점 :
품절
영화를 본 사람이거나 이전에 튜링과 관련된 서적을 읽었다면 이 책이 전혀 새로운 버전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지난 해 이미 출간된 완역 판과 달리 이 책은 분량을 간소화 하여 출간된 것으로 튜링과 관련된 어느정도의 정보를 알고 있는 사람, 간략한 내용만 알려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소설화 시킨 다른 저자의 책처럼 스토리가 있는 것도 아니고 튜링게임의 탄생배경과 그 이후 학자들의 견해 등이 담겨져 있는데 분량을 축소하다보니 비전공자에게는 난해하기 까지 하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앤드루 호지스가 앨턴 튜링을 오랜 시간 연구해온 사람으로 700여페이지의 내용을 집필 한 후 직접 간추리 책이라는 점이다. 또한 핵심만 담았다는 점에서 불필요하게 장황한 설명을 읽지 않아도 되는 전공자들이나 앞서 언급한 것처럼 영화를 보기 전 대략의 지식을 원했던 이들에게는 좋을 수도 있다. 개인적으로 앨런 튜링을 알게 된 것은 별로 오래 전이 아니었다. 2차 세계대전과 관련된 정보를 찾으면서 접했고 애플의 사과 로고등과 관련된 일화는 영화개봉을 통해 접할 수 있었다. 이런 사적인 부분말고 도대체 앨런 튜링, 그가 대단한 수학자이며 컴퓨터의 아버지인 까닭이 무엇인지 책에서 발췌했다.
그리고 그는 생물학적 이론보다는 오히려 자신의 삶의 경험을 토대로, 행동의 조정은 학습하는 뇌로부터 학습하는 기계로 맞추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88쪽
책을 읽다보면 튜링은 철학자의 말을 인용한다거나 혹은 기존의 이론에 입각한 어려운 설명대신 쉽게 전달하는 방식을 택했다. 영화제목이 된 '이미테이션 게임(혹은 흉내 내기 게임'은 다름 아닌 논문이었다. 이 논문을 바탕으로 모형을 설정했고 이 기계가 다름아닌 튜링 기계가 된 것이다. 기계가 왜 생각할 수 없느냐고 했던 까닭은 인간이 실제로 어떻게 계산하는지를 관찰 한 후 기계에 적용, 말그대로 기계가 흉내내기를 통해 연산하면 인간이 생각에 의해 판단한 것처럼 기계도 그럴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마치 영화 페피에서 마음을 연산화 해서 다른 기계에 옮겨놓으면 새로 태어날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이 부분은 정확하게 그렇다고 말할 수는 없다. 내가 이해한 바에 의한 것으로 자세한 것 각자 읽어보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튜링은 인간이 실제로 어떻게 계산을 수행하는지를 관찰한 후, 계산의 본직절 요소를 추출하여 재구성함으로써 튜링 기계를 구성해냈기 때문이다. 159쪽
이 책의 장단점을 위에 나열한 것처럼 아쉽게도 이 책만으로는 제대로 이해할 수도 없었고, 영화에서 느꼈던 소설적 장치가 없어 난해한 면이 컸다. 무작정 두꺼운 책이 부담스럽거나 어느정도 이해를 한 사람이라면 충분히 만족할 수 있을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