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의 도쿄
김민정 글.사진 / 효형출판 / 2014년 7월
평점 :
[엄마의 도쿄]딸로 태어난 당신에게 추천하고 픈
책.

엄마와 도쿄를 여행했던 세번 중 단 한번도 나는 엄마와 걸었던 그 길이
그리워질거라 생각하지 않았고, 실제로 노트나
블로그에 옮겨적지도 않았다.
더군다나 사진을 찍었던 것은 엄마의 예쁜 모습을 소유하기 위해서지 엄마를 위한 것이
아니었으니까. 책을 읽기전에도 엄마와의 도쿄가 아닌 도쿄에서 오랜시간 머물었던 언니, 그리고 언니와 손잡고 걸었던 길을 떠올리기 위함이었다.
엄마의 도쿄를 읽기 직전까지 내 머릿속에 엄마는 '부재'였다.
첫장을 읽는다. 프롤로그에서 짐작했어야했다. 내가
울겠구나하고...
첫 챕터는 엄마와 함께 다녔던 음식점 혹은 음식에 대한 그리움이다. 이후에
중복되는 부분이 없지 않지만 신경쓰이진 않았다. 오히려 이 음식, 그 음식점에 더 가고픈 맘이 들었다. 커피를 좋아하던 작가의 엄마는 스타벅스를
좋아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단 한번도 스타벅스의 커피를 마시지 않았다고 했다. 커피라는 것은 마시는이를 위한 정성이라 느꼈기에 그랬단다.
엄마는 스타벅스 커피를 절대로 마시지 않았는데, 이유는 간단하다. 다맵를 피울
수 없고, 모든 게 셀프서비스이기 때문이다. 엄마에게 커피는 누군가가 정성 들여 내리고, 따르고, 가져다 주어야만 의미가 있는 것이었다.
30
난 반대의 이유로 스타벅스 커피를 좋아한다. 모든 것을 '셀프'로 하는 그
점이 좋아서 스타벅스에 간다. 음료를 제조하는 과정만 빼면 철저히 나혼자 즐길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이 좋았다. 누군가가 날 위해 정성을 선물하기
보다는 어딜가도 혼자이기 싶지 않은 공간에서 철저히 혼자이길 원하는 마음이 컸기 때문이다. 나도 나이가 들어 점차 혼자있게 되는 순간이 찾아오면
아마도 그녀처럼 스타벅스보다 진하고 진한 커피한잔을 날 위해 제조해주는 듯한 그런 느낌의 카페를 찾게 될지도 모른다.
마흔전에 남편과 사별한 엄마를 바라보는 모범생 작가의 넋두리는 차분하고
정겹지만 내 마음은 불편하고 서글퍼졌다. 생계를 책임지는 그래서 담배와 커피를 떼어놓을 수 없는 엄마를 위해 고작 할 수 있는 일이 공부였기에
사고치지 않는 것이기에 그정도만 엄마를 위했다는 그녀. 고작 공부하는 것으로 온갖 생색과 유난을 떠는 보통의 나와같은 이들은 자신의 엄마에게가
아닌 모범생 작가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결혼을 하고 엄마가 암투병으로 고생하던 때도 그녀는 묵묵히 일상을 지키는 모습이 놀랍도록
대단해보였다. 지난 해 외할머니가 많이 아프시던 때 나의 엄마도 그랬다. 외할머니가 서울에 거주하고 엄마는 시골, 버스도 하루에 두번밖에 다니지
않은 시골에 살면서도 일주일에 세번식 꼭 외할머니를 방문했고 병원가는길을 동행했다. 그래서 더 대단해보였다. 그것이 얼마나 고단한지를 옆에서
보았기에 알 수있었다. 지금의 나보다 어쩌면 어렸을지 모를 나이에 그녀는 그런일들을 했다는 것이 엄마라는 존재가 그녀에게 얼마나 큰 존재였는지
알 수 있었던거다.
나는 무서우니까 빨리 나오라고 재촉한다. 엄마는 괜찮다고 엄마가 여기 있다고
말한다.
"엄마가 있다"는 한 마디면 모든 근심이 사라지고 희망이 샘솟던 시절이 가슴
시리도록 그립다.
173
이제 그녀의 하늘이었던 엄마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녀가 들려주는 도쿄의
음식점, 옷가게 그리고 해변의 이갸리르 들려줄 때 내곁에 함께 숨쉬는 것 같다. 작가인 딸이 이야기를 들려주면 그녀의 엄마가 코멘트를 해주는
것처럼 내가 앉아있는 양옆에서 조금도 소란스럽지 않게 두런두런 이야기를 들려주는 식이다. 애초에 언니와의 도쿄를 추억하기 위해 읽었는데 책을
다읽은 지금 곁에는 엄마만 남았다. 엄마가 아직 내 곁에 살아계시다는 그 한가지만큼은 내가 작가보다 더 '운이 좋은' 것에 감사하고 싶다.
하지만 진짜 운이 좋은지는 내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느냐에 달려있음을 잘 알고 있다.
마지막 에필로그를 읽을 때 까지 간신히 울음을 참았나. 난 아직 울자격도
시기도 만나지 않았은까. 엄마의 도쿄를 읽고 나서 무언가 달라지진 않을 것이다. 그치만 난 이책을 언니에게 그리고 '딸'로 태어난 또다른
누군가에게 권하지 않을 수 없다. 이처럼 감성적인 사모곡은 쉽게 만나지는게 아니니까.
글을 쓴다는 것은 그의 뒷모습을 기억하고 기록하는 일이
아닐까?
누군가에게 누군가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어서, 평범하게 살아가는 이들의 일상을 기록하고 싶어서 글을 쓴다고 나는 호스트 파더에게 굳이 이야기 하지 않았다.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