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프카의 서재 - 살아야 할 이유를 찾는 책 읽기
김운하 지음 / 한권의책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좋은 책이란 어떤 책일까.
'좋은'이라는 단어에 여러가지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겠지만 아마도 가장 좋은 책은 '공감'과 '다시금 읽고 싶어지게 만드는 매력'을 가진 책이란 생각이든다. 책을 정말 사랑하는 저자는 과연 공부는 언제했을까 의문이 들정도.
카프카의 작품이라고는 고작 두편의 단편을 읽은 것이 전부였지만 책을 통해 지금의 모습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는 솔직한 고백이 맘에 들어 읽게 되었다. 근래 단순히 책이 교육적, 인성적 효과를 뛰어넘어 삶 자체를 지탱해 주는 크나큰 역할을 해왔다는 작품들을 만날 수 있었는데 다른 작품은 안읽어봐서 모르겠지만 이런 내용이라면 역시나 '좋은 책'이라고 느껴질 것 같다.
똑같이 책을 사랑하다보니 묘하게 경쟁심도 생겨나고 이견도 생겨난다. 헌책방을 추억하고 종이책의 사라짐과 전자책의 대중화를 반기지 않는 저자와는 달리 언젠가 부터 헌책방 로망이 헌책방 '거부'상태라 새책이 좋고 심지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다 보니 전자책의 편리함도 결코 나쁘지 않다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연인이 머리맡에서 책을 읽어주고 구하기 어려운 희귀본을 발견했을 때의 기쁨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저자가 언급한 것처럼 이어폰을 나눠끼고 오디오북을 듣는 것도 제법 로맨틱하게 느껴진다.
이 책에서도 '책 그리고 도끼'가 등장한다. 요즘은 어딜 가나 '도끼'다. 카프카의 서재인데 이 문장이 언급되지 않을 수는 없었겠지만 '깨뜨리는 것' '나를 다시 재확인 시키는 것이 아니라 고민케 하는 것'을 좋아하는 저자의 말에 반은 공감하고 반은 역시나 또 주저하게 된다. 나를 재확인 하는 과정을 통해 고민하게 되는게 아닌가 하는 괜한 말꼬리 잡기식 감흥이 책 읽는 동안 계속되는게 이게 가장 큰 매력인듯.^^
뭐랄까. 책을 좋아하는 사람 사이의 밀당이라고나 할까.
책을 어렵게만 읽다가 한 자리에서 읽어서 그런지 리뷰도 참 리듬감 있게 적히는 것 같다.
아포리즘 투성이라 굳이 그 안에서 또 맘에 와닿는 구절을 찾아내는게 오히려 더 어려웠지만 몇 개의 문장을 발췌해보면,
'그러니 행복을 거창하게 과장하지도, 또 너무 집착하지도 말자. 그보다는 나 자신이 누구인지, 단 한번밖에 없는 삶에서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것을 위해서라면 위험과 시련에도 불구하고 열과 성을 다 바칠 결단력과 용기, 배짱이 있는지를 숙고해보는 것이 먼저가 아닐까?' p.101
언젠가 부터 이젠 성공도 아니고 자기만족, 스스로가 행복하다고만 느끼면 그게 성공이라는 말들을 한다. 이제는 '행복'자체가 고민거리가 되어버렸다. 남들과 비교해서 난 행복한데 이게 행복한건지 나태한건지 어느정도의 포기는 아닌지 헷갈리기 때문이다. 무언가를 해보고 싶다는 마음이 들다가도 실패하면 어쩌나, 지금보다 더 나빠질 것을 걱정하여 시도조차 하지 않는 대개의 '불안한 청춘'에게 저자의 제안은 설득력을 가진다.
출구가 없는 삶을 카프카의 '성'이란 작품을 통해 풀어내는 부분은 답답하지만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현실을 마주하게 만든다. 저자가 했던 고민을 내가 하고, 또 결국 세상의 모든 존재가 고민하게 된다. 도대체 이 미로와 같은 삶의 출구란게 과연 있는지, 아니 있다고 희망을 갖는 것 자체가 가당키나 한 것인지에 대해.
기억과 경험에 대한 저자의 물음에 역시나 답을 제대로 내리지 못한다. 좋은 기억을 상실하면 그것은 경험이 아닌게 되고, 경험이 아닌 것이 내게 과연 기억이라고 불릴만한 것이 될 수 있는지 고민 고민이다.
이 책을 서평 모음, 추천서적 리스트 참고용으로 생각했었는데 읽다보니 딱히 그가 제시한 문구들이 멋지긴 하지만 그보다는 저자가 제시하는 질문들에 대해 더 집중하게 되는 점이 좋았다. 때문에 저자의 바람과는 달리 내 자신을 재확인 시켜주는 과정, 그 과정속에서 끊임없이 자문자답할 수 있는 기회를 만나게 되어 '좋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