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도라의 도서관 - 여성과 책의 문화사
크리스티아네 인만 지음, 엄미정 옮김 / 예경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판도라의 도서관 한 줄 리뷰
책을 좋아하는 여성, 명화를 좋아하는 여성, 역사속의 독서변천에 관심있는 모든 사람들.

제목이 그럴싸하다. 판도라의 도서관이라니. 판도라하면 희망임과 동시에 절망을 뜻하기도 하다. 판도라의 도서관이라는 서명에서 책의 내용이 진행 방향을 대충 감잡을 수도 있을 것 같다. 여성에게 책은 고대에서 부터 중세를 거쳐 100년 전까지만 해도 교양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으로 굵직 굵직한 사건, 최초의 소설저술 등은 전부 여성이 그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말라고 하면 더 하고 싶은 충동이 일 듯 여성에게 있어 억압의 대상이었던 책도 그런 배경이 있었을 거란 생각이 든다. 뿐 아니라 최초의 시를 창작했던 사포, 겐지이야기의 저자 모두 부유층을 넘어선 귀족 계급이다. 예나 지금이나 '가진 자'들에게는 '예외'라는 게 존재했던 모양인지 그녀들에게 있어 책 그리고 창작은 오히려 시대에 반하는 기쁨을 더해 창작열을 돋구었던게 아닌가 싶다.
책을 읽으면서 지금 시대에 태어나서 다행이라고 거듭 느끼게 해주었는데 앞서 말한 것처럼 고대에서는 여성에게 독서행위 자체가 사회에 반하는 것이었고 중세에는 꼭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일단 귀족 계급이 아니면 읽기가 어려울 정도로 하나의 사치품으로 책이 통용되었기 때문이다. 그 시절 책을 맘껏 읽기 위해서는 종교에 귀속되었어야 했다. 지금도 읽고 싶은 책을 전부 살만한 경제능력과 사놓은 책도 제대로 놓아둘 공간의 협소함 때문에 괴로운 판에 아에 살 수 조차 없는 책...이라니..그런가 하면 중세시절의 책의 가격은 크기에 비례했다는 점도 재밌다. 19세기 이후부터 소설을 대표적으로 한 문학작품이 여성들에 의해 대중적으로 읽히게 되는 데 이는 조선시대의 양반가의 부인들이 담화집을 보던 것과 비슷한 것 같다. 물론 이시절에도 귀족의 지원을 받아야만 창작이 가능한 경우, 저자가 귀족인 경우가 많은데 내가 좋아하는 프랑켄슈타인의 메리W.셀리도 처음에는 시대적인 분위기 때문에 익명으로 출판했다가 나중에 밝혀져서 평론가들의 비판을 받아야 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전에 비해 가장 여성의 독서활동이 활력을 띄게 된 것도 이즘에 이르러서라 그림의 풍경도 사뭇달라진다. 좀 더 일상에 가까워진 여성들의 모습과 의상만 봐도 독립적이며 자존적인 여성의 모습이 많이 그려졌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그림이 다소 파격적인데 더이상 책을 읽을 수 있는 '계급이나 지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장소도 이제는 제각각인 데다 여성들이 읽을 수 있는 장르라는 것이 없다. 모든 잡지와 신문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제기할 수 있게 된 것이다.(슈피겔을 읽고 있는 여인) 책의 표지가 된 여성은 지노 세베리니가 그린 딸 지나 세베리니의 초상으로 제본술로 유명했으며 그런 그녀의 재능을 지노 세베리니가 아꼈다고 한다. 제본술의 발전은 독서의 대중화를 이끌었을 뿐 아니라 그로인한 여성과 하위계층의 신분상승도 함께 도모했던거라 생각된다.
책의 전체적인 내용은 상당히 맘에 들었다. 기대했던 바(책 읽는 여성의 역사, 명화속에 담긴 신분과 책을 읽는 여성의 변화 등)를 충족시켜주었으며 함께 실린 명화의 작품수도 넉넉해서 읽는 즐거움도, 보는 즐거움도 충분했다. 다만 책의 구성 상 내용과 연결된 그림을 페이지를 뒤로넘기거나 앞으로 되돌아와 다시 봐야한다는 점이 아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