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의 거짓말 - 당신이 몰랐던 건강검진의 불편한 진실
마쓰모토 미쓰마사 지음, 서승철 옮김 / 에디터 / 201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건강검진은 아주 단순하다

피검사,요검사 엑스레이 수치를 보고 정상, 비정상 판정만 내리면 된다.

전반적인 몸상태는 체크를 못할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엑스레이 그까짓거 좀 덜 찍어도 되는데 일년에 한번씩 찍으라고 한다.

일년에 한번씩 찍는다면 방사선 피폭량이 상당히 된다고 계산이 되는데 왜 굳이 찍으라는 건가...

물론 건강검진을 할때 우연히 암이 검진되서 1년안에 돌아가실 분이 수십년을 더 사시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그 반대의 경우도 종종 있다고 하니..

건강검진이 어찌보면 정말 복불복인거 같다 ^^;;;;

내가 지금까지 봐왔던 일본의사들이 써온 책을 보면 ...대강 내용이 이렇다고 보면된다.

 

~약먹지 말라

~건강검진 너무 많이 받지 말라

~의사를 너무 많이 만나지 말라

~좀 혈압이 높아도 괜찮다

~검사 결과가 좀 안좋게 나와도 괜찮다

~엑스레이 좀 안찍어도 된다

~의사가 CT찍자고 하면 자세히 물어봐라..

~생활습관이 가장 중요하다..생활습관부터 바꿔라

 

저번에 미국 소아과 의사가 쓴 현대의학의 문제점에 대한 70년대 명저를 읽은 적이 있는데..

미국도 무조건적인 검사, 맹목적 치료로 많은 환자들이 몸살을 앓았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안 그러하냐...???

우리나라도 그렇다.

 

아무튼 중요한것이 제도..이런거 보단.. 교육체계..가 더 중요한듯하다.

의사들의 마음가짐..정성 이런게 더 중요한것 같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8-26 00: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8-26 11: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카스피 2016-08-26 22: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뭐 아무래도 의사 수입탓이 아닐까요.요즘 문제가돠는 갑상선암 역시 의사들의 과잉 진료가 문제가 된다고 하더군요ㅡ.ㅡ

sojung 2016-08-27 17:23   좋아요 0 | URL
그러기도 하겠죠
의료계가 좀 권위적이고 보수주의적인 분위기가 너무 강해서 더 그런게 아닌가 싶어요
 
자유 의지는 없다 -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지배하는 자유 의지의 허구성
샘 해리스 지음, 배현 옮김 / 시공사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자유의지가 없다고 감히 단언할 수 있을까?

단언할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샘 해리스이다.

자유의지가 없다면......

도대체 이게 무슨말인가?

불과 5년전만해도 나는 자유의지가 없다는 말이 뭥미? 하던 사람이었다.

그런데 자유의지가 없다는 것이 주로 물리학개념에서 나온다는 것을 알고 대경하였다.

자유의지가 있냐 없냐 하는 문제를 의사인 나로써는....

신체의 시스템, 신체의 대사를 공부하면서도 깊이 궁구할 수 있는 문제이다.

어쨋던간...

 

과학쪽에서 말하는 '자유의지는 없다'라는 개념은...

미래가 정해져 있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마치 미래가 셀수 없는 빛의 스펙트럼같은 것이아니라 미래는 어떤 가지치기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짧은 책의 제목부터 단호한 '자유의지는 없다'라는 말은...

즉...

인간의 사고방식이 배경..그러니깐 그날아침 먹은것 때문에 속이 뒤틀렸다든지..

그날 아침 마침 친구랑 싸웠달지..

해서 다음날 가출한다든지..직장에 안 나간다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background가 즉..자유의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자유의지가 없다는 것이다.

(이 background에는 뇌종양, 간질, 정신분열등 유전적 정신질환을 포함한다)

인간의 신경 시스템은 그만큼 한계가 있다.

신경시스템도 두뇌의 크기 한계때문데 대체로 정형화된 방식이 있다고 본다.....

그래서 자유의지는 없다고 하는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렇게 자유의지는 없다고 단호하게 말하는 것도 너무 완고하지 않나 이런 생각이 든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08-22 20: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어려운 책을 어떻게 읽었는지 기억이 안 납니다. 다시 읽고 싶지도 않고요.. ㅎㅎㅎ

sojung 2016-08-22 21: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많았어요...나름 흥미있는 주제이긴 했어요

샤카천사 2016-11-26 0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의식이 두뇌활동의 결과라고 인정한다면... 두뇌 즉 신경시스템의 작용으로 우리의 의식활동이 벌어진다는 것이고 신경의 메카니즘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의식도 없는 거겠죠

그대로 물리적 입장에서 본다면 신경 메카니즘은 온전히 인과적 작용으로 작동하는 것인데 그러한 인과적 메카니즘에서 벗어나 온전히 자율적인 자유의지라는걸 상정할수 없으니 제목그대로 자유의지를 인정할수없게 되는 것이죠..

sojung 2016-11-27 10: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그런것같아요
좀 염세적이기도 하죠
 

2005년도부터 출제된 561문제 다 풀었다...

 

진료실에 있는데 사람이 너무 없으면 심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가끔 가다 보면 나로서도 나를 이해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내가 뱀파이어와의 인터뷰를 이제서야 보게된것

이제 구글영화가 있다보니 왠만한 영화빼고는 다보게 되는 것 같다.

 

톰 크루즈가 레스타드로 브래드피트가 루이 커스틴 던스트가 클라우디아로

정말 아름다운 뱀파이어들이다. ㅋㅋㅋ

 

아내를 잃은 루이를 레스타드가 뱀파이어로 만드는데..

 

서로 서로 외로움을 달래며 살아가다..

 

페스트가 휩쓴 어느 동네에 엄마를 잃고 울고있는 소녀 클라우디아를 발견하고

뱀파이어로 만든다.

 

클라우디아는 자신이 자라지 않는 것에 대한 분노..등등

뭔가 분노가 있었던지..

 

루이와 함께 레스타드를 죽인다.

 

클라우디아는 루이와 유럽, 북부아프리카 전역을 호화롭게 여행다니는데

프랑스인가 스페인인가 거기에 살고 있는 뱀파이어를 만났다가

 

클라우디아를 잃게된다.

 

레스타드는 죽지 않는다...

 

영상미가 압도적이고...뭔가 꿈에 나올듯한 몽롱함이 감돌면서 잔인한 장면이 결합된

명작인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cyrus 2016-07-25 18: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많이 오래된 영화라서 다시 보기가 힘들겠지만, 소설이라도 읽어봐야겠어요. ^^


sojung 2023-01-21 15:03   좋아요 0 | URL
^^~~~
 
미래로 가는 길
빌 게이츠 / 삼성 / 1995년 11월
평점 :
절판


어메리칸 사이언스 출판사의 -시간의 흐름-이란 책에서 시간은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과거, 현재, 미래가 단편단편적으로 조각난 상태라고 한다.
그러나 모든 사물이 열역학 법칙에 의해 에너지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듯 두뇌도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두뇌가 인식하기를 시간이 과거에서 미래로 흐르는 방식으로 이해한다는 것이다.
두뇌와 미래의 상호작용에 대해 여러 유수대학에서 실험했는데.........
내 생각으로.......내가 만약 앞에 놓인 공을 던질까 말까 고민을 하고 있다
물론 멀티유니버스다..양자역학적 개념이다...여러 개념을 도입하면 
내가 공을 던진 세계, 공을 안 던진 세계 이렇게 둘로 나눠 지는 것은 아닐까?.. (정말 의미 없는 사고 실험이다)
내가 공을 던지든 안던지든 세계는 변함없을 것일테지만....
하지만 빌 게이츠는 달랐다.
여기 책에 씌여진 빌게이츠의 생각들은 2000년도 후반쯤 부터 거의 이뤄지기 시작했다.
그러니깐 빌게이츠가 90년대 초중반 생각한 마우스로 아이콘을 클릭하는 방식의 인터페이스는 90년대 중후반부터 그렇게 된것같고....
소셜인터페이스 (게시판 의견공유등) 은 현대사회에서 없어서는 안될 문화이며 세력 등등으로 여겨지며 경제, 정치등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전에는 하루 걸려 했을 일을 스마트 폰등의 등장으로 5분이면 해결하고
피부발진이 생겼는데 사진으로 찍어서 의사게시판에 올리면 전문의가 답변해준다. (병원에 갈 필요없이)
그러니깐 이 책에서 빌게이츠가 언급한 것이......

하이퍼링크- 90년대 중후반에 인터넷 이용하면서 발견
무선통신망-개인적으로 2010년경부터 이용
전자책-별로 이용은 안하는 경향?
종이문서의 전자문서화-요즘 병원에서도 종이차트는 거의 없다
백과사전 없어진다- 2000년 초반까지 집집마다 있었던 브리태니커를 이젠 찾아볼 수 없다
디지털문서를 거의 무료로 받아본다-아도브파일로 구글에서 다운받기 쉽다.
가상현실의 상용화(가상여행, 가상화성체험 등등)-이건 듣도 보도 못했다
화상회의-이미 구닥다리가되었다
기업규모의 축소, 전문화-  그런것같기도
지리적 개념의 무시화
시장(market)의 변화
---소비자 보고서 :  이건 블로그, 게시판등등 상품평을 수십가지를 볼 수 있다
---소비자가 제품을 디자인: 몇몇 쇼핑몰에선 그렇게 하는데 브랜드 제품은 그렇지 않다.
---제품 홈페이지 등장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소비자군 분류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품광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알고리즘 등장 :만약에 애견간식 홈페이지를 자주 클     릭하면 그와 비슷한 쇼핑몰 광고가 내가 구글로 뉴스를 보는 옆칸에 뜬다
---대화형멀티미디어로 잠재적 소비자 반응 모니터: 대화형 인공지능이 아직 안 나왔다
---음악, 영화를 볼 수있는 디바이스가 필요없어진다..대신 정보고속도로에 디지털비트 방식으로 저장된 음악, 영화를 빌리는 권한을 돈을 주고 산다 : 이건 스티븐 잡스도 생각한 개념인데  오늘날 구글에서 영화를 볼려고 하면 스트리밍 방식으로 돈을 조금 주고 무제한 볼 수있고, 음악도 그러긴 하지만 유튜브 등을 이용하면 공짜로 들을 수 있다
---온라인은행 등장

등등 교육,  여가생활의 변화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거의 현실화되었다.

이 책 제목이 '미래로 가는 길'인데 도로가 있고 옆으로 빌 게이츠가 빙그레 웃고있다.
그 덕분에 생활이 편리해지고 풍요로워지긴 했다.
한 사람의 천재가 개개인, 나라 가 아닌 세계의 미래를 송두리채 바꾸게 될것을 예견한 미래학 (?) 책으로 바쁘면 굳이 꼭 읽을 필요는 없다. 왜냐면 책표지가 모든 것을 설명해주고 있기 때문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