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꽃송이 블로그에서 이미지 퍼옴>

 

요즘 욱욱 하는 경우가 많아서... 아이의 고집때문에 그렇기도 하지만.. 스스로가 제어 되지 않는건지도...

게다가 좀 막..뭐랄까 혼자 집 지었다 부셨다 하는 스스로를 괴롭히는 경우도 많아서

이 책이 그런 나를 좀 다독여주지 않을까..혹은 스스로에 대해 제어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지 않을까 싶은 마음..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나는 오늘부터 내 감정에 지지 않기로 했다
리스창 지음, 이지수 옮김 / 정민미디어 / 2019년 6월
15,000원 → 13,500원(10%할인) / 마일리지 750원(5% 적립)
2019년 07월 03일에 저장
구판절판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브링 미 백
B. A. 패리스 지음, 황금진 옮김 / arte(아르테)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생각해 보면 이 작가의 반전 장치는 어설펐다.  처음 읽었던 <브레이크 다운>도 이건 뭐 범인을 다 알겠고, 이 둘이 왜 이런지도 분명 알겠어서 추리다운 추리가 필요가 없었다.  대신 가독성 하나만큼은 끝내주고 다 아는데도 읽는 재미가 있는 작가라서 그때부터 이 작가를 좋아하게 되긴 했는데...... 아, 두번째까지도 너무 쉽게 범인 아닌 범인을 추리 할 수 있으니, 결국 이 작가의 트릭은 별로 필요가 없을 거 같다는 생각을 했다.

너무 뻔한 설정이어서 책 읽는 내내 하나도 의심 안가고 딱 내가 생각한 그대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추리소설의 반도 못따라 가는 이야기.

그렇다고 이야기가 결코 재미 없는 건 아니다.  역시 가독성 좋은 작가답게 책은 술술 읽힌다.  사실 그거 하나 믿고 이 작가 작품을 선택하는 건지도 모르겠지만.......



역자가 마지막 후기에 저자가 숨겨둔 장치들을 알지 못했다가 뒤통수 때리는 반전에 중간중간 설치한 장치에 깜놀했다는데 어디가? 이런 느낌. ㅋㅋ  그래서 분명 재독을 권하는데, 다시 읽으면 그런 장치들이 보일꺼라고..... 그러나 어쩌면 좋누.

나는 이미 한번 읽을때 그 장치들이 눈에 뻔히 보였고, 왜 이렇게 얘기하는지도 분명 알겠고, 레일라가 엄마 돌아가시고 엄마 흉내를 내기 시작했다는 부분은 장치라고 할 수도 없을 정도였는데.....


개인적으로 B.A. 패리스는 글발은 좋치만 반전을 주는 추리소설 작가라고 하기엔 너무 느슨하다.  중간중간 독자들의 혼란을 줄 요량으로 막 다른이를 의심하게 할 만한 부분을 이야기하지만, 오히려 그런 부분들이 헷갈리는 게 아니라 범인(?)을 더 확실하게 각인시킨다.  아.... 이 작가 책 읽으면서 범인을 한번도 안 맞힌 적이 없어..ㅋㅋㅋㅋㅋㅋㅋㅋㅋ



차라리 미리 범인 까고 이야기 합시다. ㅋㅋㅋㅋㅋㅋ 이건 추리 할 것도 없고 그냥 일반 소설이쟎아요.  완전 가독성 좋은..

이책이 앞의 두권보다 낫다고 소개글에 돼 있던데 개인적으론 난 이 책보단 <브레이크 다운>이 더 재미났구만.

그 책의 가독성은 신기할 정도였었고, 이 책의 가독성 역시 마찬가지였지만, 이젠 뭔가 너무 뻔한 범인의 시선을 따라가는 건 흥미가 좀 떨어지는 느낌.

롱런 할 수 있는 작가가 되려면 좀 더 촘촘한 구조가 필요 하지 않을까 싶다.  범인이 나 여기있소~ 하는 건 딱 여기까지만......

담번엔 제발 왜 그러는지, 범인이 누군지 모르게 좀 숨겨달라고요.. 왜 이렇게 범인이 다 눈에 보이게 하십니까..  가독성 좋은것 하나 가지고는 안된다고요..ㅋㅋ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피치, 마음에도 엉덩이가 필요해 카카오프렌즈 시리즈
서귤 지음 / arte(아르테)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이언에 이은 어피치, 카카오 프렌즈 시리즈~

개인적으로 라이언 캐릭터를 귀여워 하긴 하지만, 책 내용으로는 이번 어피치 관련 글이 공감이 더 많이 갔었던 거 같다.

소소하지만 엄청 웃기게도 히고 약간의 감동도 있고, 내가 바라던 공감도 소소하게 있어서 라이언때 보다 더 감성적으로 읽었다.


카카오 프렌즈 아이들이야 워낙 유명하니까 그 캐릭터 하나하나 톡 보낼때 사용하면서 슬며시 미소짓기도 하는데, 이런 캐릭터를 앞세운 감동 에세이 느낌의 책들이 유행하는 기분이긴 한데 그래도 그냥 밋밋한 책을 읽을때 보다 한번씩 웃음짓게 되는 것으로 책을 읽는 기쁨을 더 느끼게 되니 그건 또 괜찮은 거 같다.



여자 감성이라 그런지 책을 읽으면서도 공감되는 부분이 곳곳에 있었다.  엄청 큰 공감보다는 소소한 느낌의 그런 기분.

이런 책 리뷰 쓰기가 제일 어려운 게 공감은 됐으나 일일이 내용은 열거 하기도 그렇고, 그렇다고 줄거리 없는 실체의 글을 어찌어찌 설명하고 나열하기도 그렇다.  그저 캐릭터에 맞게 이야기가 들어있는 부분이 재밌었고 공감 갔다는 것.



왜 어피치의 마음에도 엉덩이가 필요한지 조금은 이해가 될 것 같은 느낌.

소소한 일상에서의 이야기라서 공감받는 부분이 소소해서 술술 더 잘 읽히는 느낌이기도 했다.

그나저나 이런 종류의 책 너무 많이 나오는 건 아닌가?

가볍게 책 읽기를 시작하는 분들에겐 괜찮을 듯 하지만, 너무 이런 책이 난립하는 건 반댈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괴물 장미
정이담 지음 / 황금가지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와, 표지 정말 멋지다.  역시 표지부터 이야기가 시작되네.

초반 이야기가 시작될 때 살인사건이 일어났다.  그래서, 오~ 뭔가 스릴러인가 부다라고 생각하며 범인를 시작하려고 준비중이었다.  그런데, 어? 뭔가 새로운 인물들의 등장.

뭔가 신비롭고, 매력적인 바네사 라는 인물.

그리고, 너무 안타까운 괴물들(?)속에서 고통 받으며 살아가는 한 소녀.

아빠이지만 아빠가 아닌 괴물.  살아있는 게 고통이고 살아갈 의미가 없는 소녀였다.  하지만, 그녀는 누군가 살해당하는 현장에 있었고 그 후는 기억나지 않는.... 분명 범인과 눈이 마주쳤는데 깨어나보니 자기방.

뭐가 어찌 된걸까?  그리고, 새롭게 나타난 그녀는 누구인가?



자꾸만 죽어나가는 목없는 시체가 늘어나고, 수사는 하지만 진척은 없고....

하지만, 메리 제인 주인공 소녀는 범인이 누군지 알게 되고 바네사와 리사의 정체를 알게 된다.

매혹적인 그녀들의 정체는 무엇인가?

그리고 왜 메리 앞에 그녀들은 나타 난 걸까?

이세상 쓰레기가 사라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리사의 청소 방식은 어쩌면 해서는 안되는 방식이지만 메리의 가슴을 뻥 뚫리게 했다.  그리고 바네사는 곧 메리 자신 이상이 되었다.  바네사 언니를 위해서는 뭐든 할 수 있는 메리 제인.



이 세여인이 하려는 일은 뭘까?  그들의 존재는 어마어마하고 현실에 있을 수도 없지만 그래서 더 매혹적이고 이야기 속으로 빨려 들어가게 하는지 모르겠다.

정이담 작가의 데뷔작인가?

전체적으로 재밌지만 초보적인 스토리 라인이 보이긴 한다.  분명 문장들도 그런 부분이 있고.  하지만, 이야기 자체가 재밌으니 또 그럭저럭 그런 부분은 감안하고 읽어가게 되는 것 같다.

사실 개인적으로 동성간의 사랑을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그녀들의 사랑은 뭔가 애절하고 애닯긴 하다.  죽음도 불사할 만큼이니...

새로운 삶으로 태어나는 메리제인, 아니 멜라니여.  아픔이 없는 세상에서 살아가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일런트 코너 스토리콜렉터 73
딘 R. 쿤츠 지음, 유소영 옮김 / 북로드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 저 표지족이예요..~ 북로드 표지 잘 뽑으시더만 이번 책 표지는 글쎄.... 내 스타일이 아니어서 그런가 뭔가 좀 아쉬운 기분이 들긴 한다.  그녀의 얼굴을 잘 찾아보면 이 책 속의 이야기를 전부 표현하고 있는 듯 하지만, 색깔이 이래서 그런지 뭔가 딱 깊이있게 각인되진 않는다.  물론 책이 뭐 내용이 꽉 차고 재미나면 끝이지만, 일단 독자들이 마주하는 건 표지니까 재미난 책을 더 많은 독자들이 접하길 원하니, 이번 딘 쿤츠의 책 표지는 뭔가 아쉬운 기분이랄까나.


딘 쿤츠 소설은 꽤 오래전에 읽어 봤었다.  주로 SF관련 스릴러 이야기를 쓰는 듯 해서 한동안 기대감이나 작가에게 관심을 거뒀었는데, 분명 작가의 글은 흡입력이 대단해서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있다.  그쪽으로 별로 좋아하는 장르가 아니어서 관심을 거뒀었는데 아무래도 내가 좀 뭔가 착각을 하고 있었던 듯 하다.  이번책 읽고보니, 딱 내 스타일에다가 이야기의 흐름, 그리고 큰 스토리가 꽉꽉 들어차서 역시 북로드, 역시 딘 쿤츠.... 하면서 읽었네.



뭔가 큰 스케일의 싸움보다 (물론, 그 안에서 일어나는 일은 정말 어마어마해서 스케일이 이만저만한 게 아니다.)  제인이라는 FBI 직원이 하나하나씩 풀어나가는 이야기가 기가 막힌다.

일단 의문을 품은 건 남편의 자살에서 부터다.  뭔가 잘못됐다.  그는 전혀 자살 할 사람이 아니다.  물론, 가족이 모르는 그의 고충이 있을 수도 있지만, 그리고 어쩌면 그의 자살을 말리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그럴 수도 있지만 제인의 의심은 의심이 아니었다.  확실한 자살이었지만 전혀 자살이 아닌 이야기.  그래서 그녀는 모든걸 걸고 아니, 자신의 아이를 지키기 위해 거대 조직을 파고 든다.  그리고 자신이 배워왔던 수사기법, 훈련들이 이 일에 큰 도움이 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어쩌면, 현실에서 이런 수사를 할 수 있는 사람이 몇명 있을까 싶기는 했지만서도 그래도 이런 주인공이 있다는 사실로 이런 끔찍한 현실을 우리도 이겨낼 수 있다는 조그만 희망이라도 가질 수 있지 않을까나.

내가 나 이지만, 당최 내가 아닌 느낌.  사람이되 감정이 없는 사람.  눈에 보이지만 보이지 않아야 한다고 프로그램 되는 사람.

끔찍한 현실이로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가 과연 책에서만 영화에서만 나오는 허구로만 존재할까?

앞으로 이런 이야기가 현실로 다가오지 않을까?

내가 죽고 싶은게 아니야.  하지만, 나는 죽어야 해.  정말 이해되지 않치만, 아니 이해라는 단어는 머리속에 들어있지 않아.

무서운 세상이다.  정말..

그걸 또 조종하려는 사람들.  마치 자신이 세계를 창조하려는 얼마전 본 타누스랑 뭐가 다를까?

괴물이다 다들.



그녀 혼자 감당하기엔 너무 힘든 싸움이었다.  하지만.... 그래도 그녀는 해내고 있었다.

해냈다고 말 하지 못하겠다.  이 이야기는 분명 진행중이었다.  마지막이 보이지 않았다.  끝이 보이지 않았다.

그녀를 노리는 거대 조직은 여전히 존재했고, 그 존재들은 죽지 않았다. 

하지만, 그녀를 도와주는 누군가가 있어 그래도 그녀는 아직 살아있다.  그리고 그들에게 맞설 수 있는 힘이 그래도 그들 덕분에 남아있었다.  물론, 자신의 아이를 위해서라고 하지만, 그녀는 인류를 위해서 움직이기도 한 것이다.

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  과연 이런 추악한 세상을 창조하려는 이들은 무너질 것인가.

혹은 무너트리지만 또 다른 괴물들이 나타나지 않을까?

어쨌거나 그녀를 응원한다.  무한으로....


그나저나 화려한 싸움보다 정보수집과 쫓고 쫓기는 두뇌싸움이다 보니 이야기의 글밥이 어마어마하다.  그런데 딘 쿤츠이기에 그런 글에서 지루함을 찾을 수 없었다.  역시 흡입력 짱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