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군함도 2
한수산 지음 / 창비 / 2016년 5월
평점 :

군함도1권을 읽고 틈을 좀 줘야했다. 1권에서 느껴지는 나라잃은 설움. 아마도 2권에선 더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아플 거 같은데, 1권에서 죽어나간 안타까운 우리민족들의 모습도 아팠는데 2권에선 그걸 더 본격적으로 다룰 거 같아 좀 숨쉴 틈이 필요했다.
아, 2권 처음부터 휘몰아 치누나. 참고 참았던 인간이하의 취급에 하나둘 본인들의 속으로만 삭히던 불만들이 입밖으로 터져나오기 시작하고 탈출을 하려다 거기에 둔 금화와 다른 동료들 때문에 망설인 우석이 이젠 본격적으로 나서기 시작한다. 이렇게 있을 순 없다. 작전을 세우고 우리는 여기서 시작할테니 탈출할 사람들은 탈출하라.
과연, 그들의 반란(?!)은 성공했을까? 하긴 그리 쉽게 성공했다면 그들이 그 지옥의 섬에서 그리 고생하며 살지도 않았겠지.
점점 벼랑으로 몰리는 일본은 더더욱 우리나라 사람들을 족치고, 심지어 자신들의 국민들까지 달달 볶는 지경이니 뭐.
이래저래 전쟁이라는 놈은 일으킨 놈이나 거기에 엮인 사람들이나 좋은게 뭔가?
이건 번외 이야긴데, 예전 <반딧불의 묘>라는 애니를 일본이 만든걸 보고 펑펑 운적이 있다. 전쟁통에 스러져간 부모와 집, 어찌어찌 남게된 남매가 친척집에 터부살이 하며 눈치밥을 먹다가 결국 쫓겨나듯 나와 죽어가던 남매이야기. 슬퍼서 펑펑 울었다. 아이들이 불쌍해서....... 근데, 친구가 그랬었다. 자신들이 일으킨 전쟁에서 자신들이 희생양인양 만든 애니라며, 울분을 토하듯 말했었고, 어느정도 수긍을 하면서도 어쨌거나 전쟁은 서로가 서로에게 못할 짓인걸 다시한번 되새기기도 했고, 그걸 거울삼아 이런 어리석은 전쟁은 일으키지 말았으면 했다. 우리 민족의 대비정신이 부족하고 어쩌고 그럴수도 있지만, 역시 일본의 만행은 용서할 가치가 없는 일이다. 자신들의 자업자득이라고 그냥 말하고 싶다. 그리고 결국 2권에서도 전쟁의 참혹함이 그대로 재현된다.

책속 주인공은 지상과 우석이지만, 그 속에 나오는 인물들 한명 한명의 이야기는 우리의 가슴을 애리게 한다. 더이상 친일의 아버지를 두둔할 수 없는 지상. 그래도 일단 탈출에 성공해서 조선소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일본어를 몰라서 얻어 맞는 일이 없도록 꼭 필요한 말들을 가르친다. 그 탈출과정에서 자신을 도와주는 일본사람들을 만나는 지상. 역시 일본놈들은 다 똑같다.... 라며 욕하기 직전이었는데 조금이나마 위로를 받을라 치면 또 독한 놈들이 나타난다.
이야기를 읽어나갈수록 언제쯤 이들이 편해지려나, 언제쯤 이들이 고향으로 돌아가려나. 아니, 고향으로 돌아가기나 하려나? 이런 막연한 불안감이 나라잃은 서글픔에 더해서 아픔으로 전해져 온다.
지상을 기다리는 서형과 남편을 찾아 일본으로 떠나려는 그녀의 모습도 그저 말리고 싶은 이 기분.
어리석은 행동은 하지말라고 막 책을 읽으면서도 외치고 말리고 싶은 이야기들이 가슴을 바짝바짝 타들어 가게 한다.

요즘 쓰는 말로 국뽕에 빠져 민족주의에 기대고 국수주의에 기대서 이 책을 읽고 일본놈들 일본놈들 이러면서 이를 갈라는 것이 아니다. 책속에 스며든 아픔을 기억하고 아직도 제대로 청산되지 않은 그들의 만행을 기억하고 과거를 거울삼아 아픔을 되풀이 하지 말자는 의지를 다지고 제대로 사과조차 없이 자신들의 산업혁명만 부르짖으며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재하는 어이없음을 규탄하자는 말이다. 그 속에서 죽어간 우리 민족들의 아픔을..... 기억하자. 사람을 사람으로 보지 않는 그들 역시 사람이 아니지 않은가.
아직도 여전히 군함도에 대한 엉뚱한 자부심만 가진 이상한 사람들. 만약 이 책을 읽지 않았다면 그 참혹한 모습을 상상이나 할 수 있었을까. 때마침 영화도 제작돼 개봉된다고 하니, 고향을 그리고 아리랑을 부르며 한맺힌 생을 마감한 우리네 조상들의 아픔을 되새기며 그동안 무심하게만, 막연하게만 그시절을 생각한 나를 되돌아 본다. 역사의 아픔을 잊지 말고, 우리의 아픈 청춘들,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한 그 원혼들을 조금이나마 위로하는 묵념을 해 본다. 그곳에서나마 편안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