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슬픈 예감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진작에 요시모토바나나는 나랑 그다지 맞지 않는다는 걸 알았지만, 이상하게도 그녀의 이름으로 출간된 책들만 보면 사고싶어지는 병이 있다. 그리고는 늘 바로 읽지 않고 구석에 쳐박아 둔다. 정말 그야말로 쳐박아둔다. 언제 읽을지 기약도 없이, 늘 읽어야지 생각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읽기전에는 늘 행복한 상상을 한다. 엄청 재밌을거라고...... 나랑 딱 맞을 거라고...... 하지만, 실상은 늘 요시모토바나나의 책을 읽고나면 역시나 나랑 궁합이 맞지 않다고 생각기를 반복한다.
솔직히 완전 맞지 않는다기보다 그녀의 코드가 그녀가 쓰는 주인공들에 감정이 이입되지 않기에 읽는데 늘 버겁고 얇은데도 책장이 잘 넘어가지 않는지도 모르겠다. 웬지 점점 침잠해 버리는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보고있자면 그 분위기에 압도되어 나 자신도 스르르 가라앉는 거 같지만 실제로는 그 주인공이 되지못하고 벗어나고자 발버둥 친다.
예전 <N.P>를 읽었을때 으아아악~거리며 경악했었고, 다시는 요시모토바나나를 만나지 말자고 했었다. 하지만, 결국 <키친>에서의 감동을 잊지못하고 혹시나 이책은 괜찮을까? 저책은 괜찮을까? 하는 기대감으로 그녀의 책을 다시 잡곤한다. 최근에 출간된 그녀의 책들이 조금 내 취향에 맞는건 있지만, 예전 작품들은 솔직히 별로다. <N.P>가 그랬고, <도마뱀>이 그랬고, <하얀강밤배>가 그랬다. 그럼에도 이미 사둔 그녀의 책은 쌓여있고 오랫만에 뜨아하던 감정을 접고 다시 책을 들었건만 결국은 역시나가 되어버렸다.
제목에서 풍기는 <슬픈예감>이란 자살이 아닐까 막연히 생각했었지만, 내 생각이 완전히 빗나가버려 그게 오히려 다행스럽긴 하지만, 같이 살던 "피한방울 섞이지 않은 남"이라곤 하지만 엄연히 남매인 그들의 사랑이 부담스럽다. 게다가 아직 어리기만 한 그들의 이야기가 그다지 와닿지 않는다. 물론, 이 책의 주제는 그들의 사랑이 주가 아니다. 친언니를 이모로 알고 자란 아이의, 슬프디 슬픈 예감, 미래를 감지하는 으스스한 예감속에서 아픔의 침잠이 깊숙히 나타나있다. 언니의 아픔도, 주인공 나의 아픔도. 아무것도 알지 못하는 속에서도 늘 머릿속을 맴도는 기억들을 끄집어 내려는 나는 그 막막함에서 오는 슬픔을 감당하기가 두렵다. 그러나, 모르는것만이 최선이 아니다. 진실을 맞딱뜨렸을때 헤쳐나가는 그 힘 또한 스스로가 가져야 하는 것이다. 문제는 이모였던 사람이 언니이고, 동생으로 생각하지만 사랑하는 감정을 숨길수 없는 그 현실들이 아픔이면서도 나는 받아들이기 버거웠다. 왜? 라는 의문이 머리속을 맴맴도는 걸 보니, 책을 이해하지도 이해하고자 노력하지도 않은 내 자신을 엿볼수 있다.
일단 언니가 이모로 변신한건 그렇다 치더라도 남매의 사랑이라는 이야기가 싫고, 어린 제자와 벌어지는 사랑이 싫다. 게다가 이야기의 흐름이 그다지 매끄럽다는 느낌이 들지않는다. 처음 만난 사람에게 아무리 동생이라지만 둘만의 이야기를 술술 털어놔버리는 제자의 모습도 그렇고, 그들의 사랑이 웬지 어린날의 객기로밖에 인식되지 않는 느낌도 그렇다.
모든것에 불만을 갖고 읽으니, 책에 대한 감정이나 감상이 좋아질리 없다. 결국 나와 맞지 않은 코드를 가진 작가의 책을 읽는건 별로라는 생각만 하고 말았으니...... 다시금 요시모토바나나의 소설에 호기심이 가질때쯤 그녀의 책을 다시 집어들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