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심으로 떠나는 시간 여행 - IQ 210 김웅용 교수의 어릴 적 이야기
김웅용 지음, 양상용 그림 / 고인돌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건 동화가 아니었다.  나는 처음엔 동화인 줄 알았더니 실제 김웅용 교수님의 어릴 적 이야기였다.  그러니까 어찌보면 에세이 혹은 자서전 느낌.

아이큐가 210.   그야말로 천재.  두살에 글자를 떼고 한자를 다 읽을 줄 알았으며 초등학교 나이에 이미 중,고등학교 형 누나들과 같이 공부를 했고, 그 대단하다는 미항공 (NASA)에 근무를 하다가 돌연 그만두고 우리나라에 돌아온 천재 교수님..

어릴적부터 공부가 재밌었고 신나는 놀이여서 그저 글자를 읽었고 계산을 했으며 이야기를 했는데 다들 취재열기에 휩싸여 고된 인터뷰로 한 말을 또 하고 또 하고....... 언론에 노출되고, 자신의 생각과 다른 이야기들이 실리고...

어쨌거나 이런 천재적인 인재를 1970년대 열악했던 우리교육계에서는 그냥 둘 수 없으니 미국으로 가 공부를 하고 나사에 까지 들어가게 된다.  그런데 그런 대단한 일자리에서 그는 왜 돌아온 걸까?


교수님은 말했다.  자신이 거기 있을때는 마치 계산을 하는 기계 같았다고...  아무것도 행복하지 않았고 즐겁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그는 결국 우리나라행을 택한다.  그러자 사람들은 그 똑똑하던 천재가 바보가 돼 버렸다고 이상한 선택을 했다고 수근거린다.  하지만 그는 충청도에서 대학교수를 하며 가정을 이루고 소소한 삶을 누리는 지금의 삶이 너무 행복하다고 글을 맺고 있었다.  무조건 언론의 주목을 받고 엄청난 직업을 가진다고 행복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그리고 어마어마한 천재성을 가지고 있다고해서 모든것이 다 이루어지는 건 아니며 즐거운 것은 아니라는 걸 이 책을 읽으며 느꼈다.  그런 천재적인 머리라면 그렇게 태어났다면 어떤 기분일까? 혹은 우리 아이들이 그런 천재면 얼마나 좋을까..하고 간혹 한번쯤 생각해 보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는 아우.. 그냥 보통의 인간으로 살아간다는 게 얼마나 행복한 삶인지 새삼 다시 생각하게 됐다.

지난번 TV에도 나왔었다고 사장님이 말씀하시던데 이 책만으로 비록 그 분의 삶을 다 알 순 없지만 그렇게 녹록치 만은 않은 삶이었던 듯 하다.



긴가민가했었는데 실제 사진을 보니 ..오~ 했다.  지금도 천재들 나오면 난리인데 1960~70년대에 물리학 이런 부문을 전부 다 계산하는 어린 천재라니...  그 어려운 수식도 뚝딱뚝딱 했으니 오죽했을까.  언론들은 신기해서 자신을 주목하지만 자신은 마치 동물원 원숭이 같은 느낌이었다 하니 어떤 느낌인지 간접적으로나마 느낄 수 있었다.  그런 주목받음이 어린 아이에겐 힘들었던 것 같다.  그래도 일본대학생만은 이기고 싶어서 일본 TV에 가서 대학생과 수학문제 풀기 대결을 해서 이겼다며 뿌듯해 하는 이야기는 내가 괜스레 더 미소가 지어졌네.  암튼, 교수님이 삶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던 책이었다.  이 분이 얼마나 대단한 분이었는지 새삼 느꼈다.  그전엔 그냥 한두마디 사람들이 하는 이야기만 듣고 말았는데 실지 책을 읽어보니 정말 대단하시더라는.....   그래도, 그래도 역시 행복은 그런 천재성에서 오는 건 아니더라는 그런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허 도령과 하회탈 한무릎읽기
정종영 지음, 이수진 그림 / 크레용하우스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마을에 천하대장군, 지하여장군 장승들이 지키는 곳에 비가 쏟아지기 시작한다.  그건 물속에 있던.. 그 뭐더라... 괴물도 아닌것이 용을 닮은 듯 사자를 닮은 듯한..(명칭이 있었는데..ㅠㅠ) 암튼 그 녀석이 나타나서 비를 쏟아 붓기 시작한다.  장승부부는 그 마을의 욕심쟁이들과 어리석은 사람들이 결국 이 괴물을 불러내 마을을 망치고 있다고 생각하고 욕심쟁이 양반의 꿈속으로 가서 하회탈을 만들어서 물리치라고 고함을 치지만 긴가민가한 욕심쟁이는 확실하게 결정하지 못한다.  그리고, 똑똑하다는 선비 꿈속으로 들어갔지만 결국 허탕..  이래저래 장승부부만 마을이 떠내려 갈까 안달이다.



이와중에 허도령이라는 마을에서는 바보라고 칭하지만 실지는 허도령의 아버지가 바보처럼 살아가라고 한 유언때문에 똑똑하면서도 바보흉내를 내며 살아가던 허도령을 마을을 구할 인물로 꼽는다.  아무도 허도령이 뭔가를 해내지 못할 거라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본인들이 직접 나서서 뭔가 하기는 싫어서 허도령을 하회탈 열세개정도를 만들어서 괴물을 물리쳐 달라고 빈다.

숲속 깊은 곳에서 절대 다른이들과 눈을 마주쳐도 안되고 (그러면 죽는다라고..) 보름안에 탈을 전부 만들어야 하는 허도령은 꿈속에서 장승할아버지가 했던 이야기를 기억을 더듬어가며 만들어 낸다.  이 와중에 욕심쟁이 양반의 딸은 아버지의 욕심때문에 이 사단이 났다는 걸 알고 허도령을 위해 열심히 밥을 지어 나른다.   그리고 다 완성되었을 때.. 으아아악..ㅠㅠ


안타깝게도 서로 사랑한 허도령과 욕심쟁이 딸이 서로 쳐다봐 그대로 죽음을 맞이하는..흑흑..

하지만, 그동안의 고생이 헛되지 않았다.  마을은 무사했고, 그들은 부부의 연으로..~

암튼, 이 책을 읽으면서 이게 실제 전설로(?) 이어져 오는 이야기인가?  궁금증이 일었다.  이런 이야기를 안 들어본 거 같은데 또 하회탈 관련해서는 내가 모르는 이야기들이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요건 뭐 전설, 야사 그런거 비슷해서 딱히 느낌을 적을만한 건 없는 그런 기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치킨이 갑이다 도토리숲 동시조 모음 6
김윤정 지음, 이지연 그림 / 도토리숲 / 2016년 2월
평점 :
품절



꼬맹이는 이제 글자 공부를 시작했고, 큰애는 요새 미디어가 워낙 많으니 폰을 보거나 TV로도 유튜브를 본다고 책에는 아예 관심이 없다.  집에 그 많고 많은 책들이 있건만 늘 책 보는 건 엄마뿐...

신랑도 어느순간 재테크 관련은 엄청난 집중력으로 보더니 그것도 훅~ 지나가 버리고 결국 책 읽는 사람은 한 사람뿐..

아이 책도 결국 내가 읽는 요즘.  아이들 책이 더 재밌는 게 많은게 또 얼마나 다행인지.  그래서 이런 재미난 책을 아이들이 안 읽는 것이 뭔가 아쉽다.  그래서 동화책들은 보통 내가 읽고 "읽을래?" 라고 물어보는데 늘 돌아오는 대답은 "아니" 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이 책은 콕 집어서 자기에게 달라고 한다.  제목도 맘에 들고 짤막짤막한 동시가 와 닿는 모양이다.

물론 그렇다고 책을 오래 붙들고 있진 않치만...


이 책은 내가 아이들 동시로 좀 접했던 부류의 이야기들을 재밌고 정겹게 지어내고 있었다.  어른이지만 아이의 시선과 표현을 따라가는 게 읽으면서도 글맛이 좋았다.  비록 짤막짤막해서 큰 기억이 남는 건 아니지만 읽으면서 슬며시 미소가 지어지는 그런 이야기들이 많아서 아이도 길게 읽는 것 보다 이런식으로 한편씩 읽어나가면 좋을 듯 하다.

어떻게 이런 표현들을 생각해 냈지? 하는 문장들도 꽤 있었고 그 시선을 따라 가려 애쓴 부분들이 많아서 읽는데 재미졌다.


요즘은 요런 동시책도 넘나 좋다.  아이들 책이 신선하고 즐거운 재미를 요새 꽤 많이 선물 해 준다.

"애들아, 세상엔 정말 재밌는 책이 얼마나 많은데, 이런 멋진 세상속으로 들어오지 못하는 게 아쉽고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63가지 심리실험 - 뇌과학편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심리실험
이케가야 유지 지음, 서수지 옮김 / 사람과나무사이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읽을때는 무지 재밌었는데 읽고 나니 이런.. 하나도 기억이 안난다.  역시나 나를 실망시키지 않는 내 기억력.

이 책의 저자가 뇌 과학자라고 하는데 여러가지 실험을 하기도 하고 다른 이들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주로 쥐를 가지고 실험을 하고, 어떤 말을 들었을 때 뇌가 활성화 되고 각성되는 지 등등, 63가지의 뇌 실험에 관한 이야기.

그렇다고 뭔가 막 뇌를 오픈(?!)하고 그런게 아니라 마음을 움직이는 여러가지 실험으로 결과를 도출해 내는 그런 식이었다.


예를 들면 거짓말을 더 잘 하는 사람이 더 많은 수입을 가져갔다는... 그렇다고 사기나 그런게 아니라 자신이 거짓말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인터뷰에서 거짓말을 자주 한다고 말을 한다.  그리고 그렇치 않은 군집과 여러가지 실험을 해 보니 더 많은 수입을 가져간다는 그런 이야기들.  실험한 것들을 보면 재밌기도 하고 이런 건 뭐하러 실험했나 싶은 것도 있고....

책장은 의외로 쉭쉭 잘 넘어간다.  어렵지 않게 뇌 과학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으니 그런 사례들을 보면서 고개를 끄덕거리니까... 단지 기억이 오래 못 간다는 게 한계다.  63가지 실험이니 다 기억 못하는게야.  라며 혼자 스스로 위로하는 중.


날씬한 쥐와 같이 있다면 뚱뚱한 인자를 가진 쥐 역시 나중에 날씬해 질 수 있다는 실험이 있던데 진짜 그런가?  그럼 나는 우리 식구들을 다 날씬쟁이로 만들어야 하는데..ㅋㅋ 오히려 신랑이 내 뚱뚱함을 따라오려고 하는 건 뭐지?   어쨌거나 모든 뇌 과학에서 비롯된 사소한 것들이 신기하기도 했다.  뇌에 관한 여러가지 이야기도 흥미 있기도 했고... 딱히 나에게 필요한 이야기는 아니었지만 호기심을 충분히 가질만한 소재가 아니었나 싶다.  사람의 심리를 어느정도 참고 하고 싶은 사람들이 읽으면 더 좋을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구게? 아기 그림책 나비잠
최정선 글, 이혜리 그림 / 보림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비슷한 동화를 몇년전에 읽었었는데 요 책도 최근에 읽은 동화책중에 꽤 재밌었다.

지난번 읽었던 제목은 <누구야? 누구?> 요거였던거 같은데 내용이 좀 비슷했다.


나뭇잎으로 가린 동물을 하나씩 하나씩 보여주며 누구게~~~ 라고 물어보고

그걸 답하는 아이.

이건 뭐.. 내가 봐도 <사자>긴 하지만 어른의 눈과 아이가 바라보는 눈은 다르니까..

그러니까 우리 꼬맹이가 좀 더 어릴때 이 책을 알았다면 정말 유용했을 꺼 같다.

그때 당시에도 누구야? 누구? 이렇게 물어보면 신나하면서 대답했었으니까..

지금은 세상을 좀 알았다고 해야하나.... ㅋㅋㅋ 뭔가 좀 성숙해져버려서 요런 동화책만으론 아이를 까르르르 웃게 만들지 못한다.

그래도.. 역시 나는, 내가 이런 동화책이 좋다.  읽으면 마치 마음이 따듯해진다고 해야하나...

그래서 짧지만 간단하지만 이런 동화로 감동받고, 내가 아이에게 권하는 정도인데 아이들이 오히려 요즘은 동화를 더 멀리하니 뭔가 거꾸로 돼 버린듯 하다.


 

마지막에 아빠 손 잡고 가는 아이의 모습이 더 없이 행복해 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