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싱글 맨
크리스토퍼 이셔우드 지음, 조동섭 옮김 / 창비 / 2017년 7월
평점 :
어제와 똑같이 웃으며 해준 잘 자라는 말이 얼핏 잘 가라는 말로 들렸던 그 밤부터 B는 잠 못 이루고 둘의 끝을 가늠해보기 시작했다. 다음 날도, 그 다음 날도, 한 번 잘못 들었던 말은 아무리 귀 기울여 잘 들어도 저절로 잘못 들리고 저절로 끝을 가리켰다. B는 많은 밤을 혼자서 고민했다. C는 조금도 변하지 않았지만, 오히려 그 점이 더 비현실적이라 둘은 결국 끝으로 치닫고 말 거라고 불안해하며 B는 잠든 C의 오른손을 좀 더 세게 움켜쥐었다. C는 꼼짝도 않고 잘만 잤다. B는 C의 손을 놓지 않고 몸만 C 쪽으로 돌려 오른손으로 C의 이마를 만져 보았다. 작고 단단하다. 웃을 때 가로로 얇은 주름이 지는 이마. B는 그 주름지는 이마가 사랑스럽지만 주름이 지지 않아도 어차피 사랑스러울 거라고 생각한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을 왜 이 아이가 이렇게 사랑스러운지를 추리하는 데 몽땅 털어 넣었지만, 생각에 생각을 거듭할수록 C는 점점 더 알 수 없는 아이, 치명적인 아이가 되어갈 뿐, 뭐라고 딱히 단정한 결론을 낼 수는 없었다. 아무렴 어때, 좋으면 됐지. C의 이마를 짚는 밤이 차곡차곡 쌓여가면서 점점 더 아무래도 상관없어졌고, 점점 더 좋아졌다. 잘 자라는 말이 허방을 짚었던 그 밤이 오기 전까지는. 그 밤 이후에도 C의 이마는 낮에는 밝고 밤에는 어둡고 웃으면 주름이 졌고 B는 그것이 참 좋았지만, 아무리 노력해도 아무렴 어때, 어차피 끝날 걸, 하는 생각을 머릿속에서 쫓아낼 수는 없었다. 잠든 숨소리가 무럭무럭 방을 덥히는 사이, 겨울이 가고 그 자리에 봄이 들고 있었다.
처음 본 C는 말없고 잠잠한 성격에 눈치도 부족한 아이였다. B가 지시하면 말없이 움직였으나 몸놀림이 재바르지도, 야물지도 않았다. 손이 많이 가는 타입이었으므로, 자연히 B의 일과는 대부분 C를 훈계하거나 질책하는 데 소진되었다. C는 끝까지 묵묵했고, 가끔 웃으면 이마에 주름이 졌다. 억지로 웃어도 그랬다. 왜 그렇게 웃어? B가 물었다. C의 이마에 주름이 펴졌다. 그리고 잠시 후 다시 똑같은 주름을 잡으며 C가 대답했다. 좋아서요. B는 C의 그 주름이 사라질 때까지 기다리려 했지만 C는 웃음을 걷지 않고 B의 눈을 오래 바라보았다. 뭐가? 더 참지 못하고 B가 다시 묻는다. 아니...... 잘 가르쳐 주시니까요. 저 땜에 화가 나실 텐데도...... C는 살짝 고개를 숙였다. 그래서인지 주름이 조금 더 두껍게 잡혔다. 그래서인지 B는 자기 마음에도 재바르지도, 야물지도 않은 줄 하나가 그어지는 기분이 들었다. 이후, B와 C의 시간이 무채색의 훈계와 질책에서 채도가 있는 질문과 대답으로 조금씩 덧칠되었다. 그러자 시간은 쌓이기 시작했다. 초여름이었다.
손을 내 놓으라고 먼저 요청한 것은 B였다. C의 손은 작으면서도 두껍고 손가락은 다섯 개가 모두 짧은 편이지만 특히 엄지손가락은 남들보다 한 마디는 짧았다. B는 우연히 그 손을 발견하고는 저도 모르게 닁큼 잡고 말았다. 전에 오래 만나던 사람 손하고 너무 닮은 손이야, 네 손이. B는 사실을 말하고 있었지만 C가 자신의 말을 개수작이라고 여길 거라고 생각했다. C는 B의 말을 개수작이라고 여겼지만 그 손을 빼거나 불편한 기색을 드러내고 싶지 않았다. 아, 그렇습니까. C는 웃었다. 어, 정말 그래. 정말 그렇다. 와. B는 여기서 쉽게 C의 손을 내려놓으면 자신의 말이 개수작임을 인정하는 꼴이 될까봐 오래오래 C의 손을 만지며 구석구석 살폈다. 그런 시간도 역시 차곡차곡 쌓였다. 둘만 있는 공간에서 B가 대뜸 손을 내밀면, C가 슬쩍 그 손 안에 자신의 작은 손을 넣었다. B는 이제 C의 손이라면 보지도 않고 그릴 수 있을 만큼 속속들이 알고 있었지만, 아직도 더 뒤질 데가 남은 것처럼 착실하게 그 손을 만졌다. 저는 제 손이 참 싫었거든요, 솥뚜껑 같달 지, 자라 같달 지. 그래? 이 귀여운 손이 대체 왜 싫었을까. 아, 귀엽다고 한 사람은 좀 있었는데. 내가! 네? ......내가 젤 귀여워, 아니, 그러니까, 나한테 제일 귀엽다고, 그, 뭐냐, 그, 하여튼 내가, 제일 귀여워한다고. ...... 네, 그런 것 같아요. C가 웃었다. B는 자기 얼굴이 빨개졌음을 너무도 빤하게 느낄 수 있었다. 얘 앞에서 이러는 게 처음이려나. B는 조용히 C의 손을 만지작거리다 슬쩍 고개를 들어 C를 한 번 쳐다본 후 다시 고개를 푹 숙였다. 여름이 깊어가고 있었다.
듣기에 따라서 상당히 큰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을 그 말 역시 B로부터 C에게 건네졌다. 마치 저 높은 곳에서 꾸미기라도 한 것처럼 B의 신상에 좋지 않은 일들이 연이어 벌어지던 어느 날, 역시 아무도 없는 둘만의 공간에서 C의 손을 부지런히 만지던 B가 서글픈 목소리로 말했다. 나, 제대로 잠들어 본 게 언젠지 모르겠어. 요즘도 계속 그래? 응, 진짜 힘들다. 내가 뭐라도 해 줄 수 있는 게 있으면 좋겠는데. 있어, 이 손, 이거 하나만 떼 주라. 에? 이거 하나 가져가서 지금처럼 이렇게 잡고 있으면 잠 잘 올 것 같거든. 농담이지? 야, 그럼 농담이지, 진짜겠냐? 아무리 이게 좋아도, 손을 어떻게 잘라 가냐 가기를. 아니, 자르는 거 말고, 손 잡아주면 잘 수 있을 것 같다는 말 말야. 글쎄, 그건 진짜 그럴 것도 같은데. 그럼 오늘 하루만 내가 손 잡아줘 볼게. 뭐? 아니, 너무 피곤해보여서, 그렇게라도 해야 될 것 같아. 지금 얼굴이 그래. ......그래, 그럼. 딱 하루만, 신세 좀 지자. 그래, 걱정 마, 손만 잡고 잘게, 오빠 믿지? 아, 이 새끼는 못하는 말이 없어서 너무 좋아. 늦은 장마가 힘을 다하는 시간이었다.
세상 모든 사람이 짐작할 수 있듯, 오늘 하루만이라는 말은 귀여운 기만이었고, 그 기만 위로 세상에 어제와 내일은 없고 오직 오늘만이 있을 뿐이라는 좀 더 뻔뻔한 기만이 덧뿌려지면서, B가 C의 손을 잡고 잠을 이루는 날은 좀처럼 끝날 것 같지가 않았다. 사실 B를 잠들게 하는 것은 C의 손이 아니라 C의 잠이었다. 잘 자. 한 마디를 남기고 C는 금방 잠이 든다. B는 잠시 C의 이마를 만지며 C의 잠을 내려다본다. 그리고 이내 스르르 잠이 든다. 일어나 보면 B의 왼손과 C의 오른손은 여전히 서로 굳게 맞잡고 있다. B는 누군가의 손을 잠들기 전까지 끝내 잡고 있을 수 있는 자기 자신을 새로 발견하고 적잖이 놀랐다. 가끔 C가 늦게까지 일할 때면 B는 C가 돌아오며 헤집어 댈 밤의 길과 하늘을 머릿속으로 조곤조곤 그려보다 먼저 잠이 들지만, B가 눈을 뜨면 그의 손은 여지없이 C의 작은 손 안에 구겨져 있었다. 그런 소소한 밤들이 쌓여가는 것이 B는 좋았다. 가을이 깊었지만 B와 C는 서로의 손과 입에서 머물렀다. 거기서 한 발 더 나가는 데는 커다란 용기가 필요했고, 그런 용기를 어디서 빌리거나 훔쳐와 그 다음을 채울 필요를 느끼지 못할 만큼 좋았고 충분했다. 그래도 둘만 있는 공간에서 손을 잡는 일은 조금 진척이 있었다. 테이블에 마주 앉아 B가 손을 내밀면, C는 그 손을 입가로 가져가 B의 검지를 살짝살짝 깨문다. B는 행복하다. 너, 꼭 새끼 강아지 같다. 테이블에 턱을 괴고 B의 손가락을 씹으며 C가 대답한다. 귀엽지? 좋지? 응, 귀여워. 좋아. C가 손가락을 세게 깨물며 말한다. 내가 더 좋아. B는 웃는다. 그리고 창밖으로 멀리 겨울이 다가오는 소리를 들었다.
누구에게나 그렇듯, 그들의 끝 역시 사뭇 진부했다. B의 일과 C의 일이 갈라진 것이 시작이었다. 그들은 더는 같은 공간에서 서로의 손을 잡거나 손가락을 입에 물고 지낼 수가 없었고, 서로의 부재가 각자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기 시작했다. 내가 네 전화를 얼마나 기다리는 줄 알잖아. 혹시 못 받을까봐 샤워할 때도 욕실에 전화기 챙겨서 들어간다고. 알지. 그렇지만 하고 싶은 만큼 전화하고 그럴 수 없다는 것도 알잖아. 알지. 그렇지만 하려고 들면 어떻게든 할 수는 있다는 것도 알지. 알잖아, 알지, 알잖아, 알지, 알지. 그런 대화들 속에서 그들은 서로 아직 알아갈 것이 많이 남은 상태였다는 것은 알았고, 상대가 나를 모르는 만큼 나도 상대를 모른다는 것은 몰랐다. B는 B대로 C는 C대로, 제 나름대로 아팠고 제 멋대로 아프게 했다. B는 한없이 진부했다. 가끔 통화가 닿으면 진부한 추궁의 말을 던졌다. 너 J하고 붙어 지낸다는 이야기가 내 귀에까지 들어왔어. 그런 일 없어. 대체 그런 소리를 누구한테 듣고 다니는 거야. 술에 취하면 빌기도 했다. 나 버리지 마라. 너 없으면 안 되는 거, 알잖아. 알아, 그리고 안 버려. 누가 버린대. 그치? 안 버릴 거지? 헤헤, 헤. 그러다 갑자기 소리를 지르기도 했다. 니가 당연히 나를 버릴 수가 없지! 내가 너한테 어떻게 했는데! 네가 사람이면! 진부함이야말로 모든 일을 시궁창으로 처박을 최악의 수라는 것을 B도 알았다. 그러나 자기가 이렇게까지 진부한 사람이라는 것을 이제껏 몰랐기에 스스로의 실책에 당황만 거듭하고 있는 중이었다. C는 B의 진부함이 싫고 때론 경멸스럽기까지 했지만, 근본적으로 둘의 관계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본 일이 없었으며, 독특함이 관계의 틈을 메우는 접착제라고 믿었던 적도 없었기에 그저 마음이 식어가는 것이라고, 정해진 수순을 따르고 있을 뿐이라고 판단했다. 그것은 B도 마찬가지였다. 언젠가 이런 날이 올 거라고, 잘 자라는 말이 잘못 들을 수 없을 만큼 선명한 잘 가라는 말로 변하는 날이 올 거라고 생각해 온 밤이 이미 꽤 쌓였기 때문이었다. 다시 여름이 돌아왔고, 그들은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조용히 서로를 찾지 않게 되었다. 다른 사람을 통해 그나마 이어지던 소식조차 낙엽이 질 때쯤 완전히 들려오지 않았다.
둘이 지내던 공간이 여전히 그의 소유였기 때문에, 그렇게 두껍게 쌓아 놓았던 시간의 켜가 속절없이 흩어지는 것을 B는 온몸으로 겪어내야 했다. 빈자리는 그대로 흉터로 남았다. B는 말을 잃었다가, 말이 많아졌다. 하루 종일 아무런 말도 하지 않고 지내다가도, 대답 없는 벽에 대고 무한히 많은 말을 지껄였다. 대답을 머릿속으로 구성하며 미친 대화를 나눴다. 울거나, 웃다가 울었다. 즐거운 기억은 즐거워서 슬펐고, 슬픈 기억은 슬퍼서 슬펐다. 고개만 들어도, 작은 방을 구성하는 여섯 개의 면이 동시에 말을 걸었다. 그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C의 목소리, C의 말투, 그리고 C의 주름진 이마였다.
날마다, 해마다 이 좁은 장소에서, 작은 스토브 앞에 팔꿈치를 맞대고 서서 요리하고, 좁은 계단에서 간신히 서로 스쳐 지나가고, 작은 욕실 거울 앞에서 함께 면도하고, 계속 떠들고, 웃고, 실수든 고의든, 육감적으로, 공격적으로, 어색하게, 조급하게, 화너서든 사랑해서든 서로 몸을 부딪고 함께 사는 두 사람을 생각하라. 두 사람이 곳곳에 남길 수밖에 없는, 깊지만 보이지 않는 흔적들을 생각하라! (11)
길게 아팠다. 살 수 있을까? 그런 걱정도 하곤 했다.
진부한 이별이 다 그렇듯, 몇 년이 지나도 B는 여전히 살아 있었다. 조금씩 숨이 트였고, 벽의 말수가 줄어들었으며, 점차 사는 게 쉬워졌다. 지금에서야 B는 생각한다. 사실 정해져 있던 것은 두 사람의 끝이 아니라, 끝이 나도 또 살아야 하고 살아야 하면 또 살아진다는 빤하고 진부한 진실은 아니었을까 하고. 이제 B는 아주 가끔 C를 생각하고, 생각하고 나면 아련하지만 아프진 않다. 그래도 한 때 켜켜이 쌓아놓아 충만하고 충분했던 두 사람의 시간이 흔적처럼 떠오를 때면 생각한다. 잘 자라는 말, 다시 한 번은 듣고 싶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