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學正傳>> 卷之一 <醫學或問>

人之夭壽, 各有天命存焉.    

凡人有生, 必有死, 自古皆然. 醫可益乎?


是故醫者, 可以通神明而權造化, 能使夭者壽, 而壽者仙.
醫道其可廢乎.

...

그래서 먼 옛날의 성인은 백가지 풀을 맛보고 약을 지어 사람들이 잘 살 수 있도록 도와주어 각기 타고난 수명을 다하게 하였던 것이다. 반드시 사람의 할 일을 다하여 하늘의 뜻을 따르면 흉한 거시 길하게 되고 죽을 이는 살게 되니, 사람을 천명에만 맡겨두지는 아니하였다. 전에서 가로대 '몸을 닦아 천명을 기다릴 뿐이다' 고 하였다. 

따라서 의사는 신명에 통하여 조화를 부리어, 일찍 죽을 이를 오래 살게 하고, 오래 살 사람은 신선이 되게 할 수 있다. 그러니 의학의 길을 어찌 없앨 수 있겠는가.

 

<<동의보감>> 제일권 <내경편> 118쪽.

주석에 의거해 인용문을 원문대로 재구성.

번역은 동의과학연구소 역본을 약간 수정.


사람이 일찍 죽거나 오래 사는 것은 각각 천명에 달려 있습니다.  사람이 태어나게 되면 반드시 죽는 것은 옛부터 모두 그러한 것입니다. 의술이 무슨 도움이 되겠습니까? 

...

故上古聖人嘗百草製醫藥, 乃欲扶植乎生民, 各得盡其天年也.
必使盡人事以副天意, 則凶者化吉, 亡者得存,
未嘗令人委之於天命也. 傳曰, 修身以俟命而已.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스로 빛을 내는 것이 아니라 햇빛을 받아서 반사하기만 하는 달빛, 하지만 어두운 밤하늘에 홀로 신비로운 빛을 뿜어내는 달빛. 제목에서 대비적으로 암시되듯, 소설은 두 인물형을 대비시키며 진행된다. 이성, 과학, 성공 등의 밝음의 코드를 상징하는 고유진이라는 인물과, 그 인물과의 대조에 의해 더욱 찬연한 빛을 발하는 어둠 속의 인물 고웅진. 이 둘은 뼈대있는 경상도 양반가문의 종형제 지간이지만 수재 소리를 들으며 자라 미국에서 떵떵거리며 살아가는 고유진에 비해, 같은 집안이라는 사실이 부끄러울 지경으로 인생의 실패자요 망나니 취급이나 받는 고웅진. 하지만 소설을 읽어나가면 그의 거부할 수 없는 매력에 흠뻑 빠져들게 되고 마는 것은 왜일까.

하나를 가지고 열을 어림하여 알아내는, 빼어나고 독특한 세계 인식을 하는 인물이자, 주위 사람들을 헤아리고 남몰래 보듬어줄 수 있는 웅숭깊은 심성을 지닌 '큰그릇' 웅진. 그가 자신의 출생에 얽힌 비밀을 알아내며 빠지는 깊은 상처의 수렁, 마침내 긴 터널의 끝을 빠져나와 그것을 극복해 나가는 모습, 그 뒤 초야에 묻혀 무심히, 하지만 숨길 수 없는 은은한 빛을 종용히 비추며 살아가는 모습은 며칠 동안 지울 수 없는 향기로 나를 지배했다. 아마 다른 분들도 비슷한 체험을 하리라 생각된다.

책의 강렬한 마력에서 약간은 빠져나와 생각해 보니 웅진의 모습은 바로 신화학에서의 전형적인 영웅의 모습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더구나 지은이는 신화학에 조예가 깊은 바로 이윤기 선생이 아니던가. 출생에 얽힌 비밀(웅진의 생부는 건국 초기의 고위 장교로 제시된다), 빼어난 능력으로 비범함을 발휘하는 어린 시절, 운명적으로 맞이하는 시련과 고난의 세월, 마침내 역경을 이겨내는 모습. 약간의 예외가 있다면 비장한 최후를 맞이하는 상궤를 따르지 아니하고 세상과, 그리고 모진 운명과 화해하는 결론으로 끝을 맺고 있다는 정도. 더구나 그 고장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이미 '전설'(전설은 바로 영웅의 것이다)이 되어 버린 일화들을 하나하나 소개해 가며 그 전설들의 실체를 한꺼풀 한꺼풀 벗겨나가는 형식도 형식이거니와 그러한 작업을 수행해 나아가는 작중 화자의 모습은 신화 속의 영웅의 실체를 찾아가는 신화학자의 모습 바로 그것이 아니던가. 

 

2002-02-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왼쪽부터, 보급판 문고본, 양장본, 2001년에 나왔던 구판. 저렴하고 휴대하기 편한 문고본을 사도 무방하겠다.) 

모로하시 데쓰지(諸橋轍次) 선생의 [공자 노자 석가]란 책이 번역되어 나왔다는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때는 "뭐 그렇고 그런 입문서려니"라고 생각하고 무심히 넘어갔다. 한 학자의 TV 동양고전 강의로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후끈 달아오른 시류를 타고 쏟아져 나온 책들 중의 한 권이겠지 한 것이다. (실제로 이 책은 이번 동아시아 출판사 이전에 [공자 노자 석가 한 자리에 하시다](민족사, 1991), [공자 노자 석가 삼성회담](늘푸른나무, 1991)이라는 제목으로 두 출판사에서 번역된 바 있다.) 하지만 꽤나 오랫동안 베스트셀러 자리를 놓치지 않는 이 책의 저력을 보고는 약간의 압박을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서점에서 우연히 구한 이 책은 과연 잘 짜인 구성으로 세 성인의 회담장소를 정하는 문제에서부터 그들의 일생 이야기까지, 자연스레 세 성인에게 인간적으로 다가갈 수 있게 독자를 빨아들인다. 본론으로 들어가서도 세 성인의 대표적인 사상을, 소크라테스 이래 가장 오래된 철학책 글쓰기였던 문답법을 사용하여 나 자신이 그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듯 느껴질 정도로 긴장감 있게 잘 드러내 주고 있다. 이 책이 명저인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고, 다른 서평들에서도 구구절절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니 여기서는 약간의 불만사항만을 이야기하겠다. 하지만 이 글을 읽고 "[공자 노자 석가]란 책, 별거 아니쟎아?"라고 생각하시지는 말도록.

먼저 이 작품이 취하고 있는 형식에서는 피할수 없는 문제일수도 있을 것인데, 대조적인 사상들의 비교에 치우쳐 정작 각 사상가에게 중요한 근본 사상에 대한 소개에 약간 미흡한 감이 없지않아 있다. 즉, 석존에서는 공(空)을 이야기하고 공자에서는 천(天)을 이야기했으니 노자는 무(無)를 이야기하자, 는 식인데, 이런 무리한 대조를 하다보니 마치 천(天)이나 무(無)가 공자와 노자의 사상적 근간인 듯이 보이고 있다. 하지만 노자에서 무(無)를 강조하는 것은 상당히 낡은 노자관이 아닌가.

또 하나, 저자도 스스로 밝히고 있지만, 불교 사상에 대한 전반적 미흡함이 보이는 것 같다. 그것을 커버하고자 반야심경을 통채로 해석해주고 있지만, 과연 한 장을 따로 떼어내서 반야심경 해설만 해준다고 해결될 문제같진 않아 보인다. 비록 반야심경에 불교사상의 많은 부분이 녹아있기는 하지만, 결코 이게 전부는 아니지 않은가. 뭐 이런 것은 어찌 보면 저자의 인간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대한화사전]을 지은 모로하시 선생도 약한 부분이 있구나, 하는 후학으로서의 안심 내지 도전의식 같은 것 말이다. 하기야 흠 하나 없이 유불도를 다 소화한 책을 펴내었다면 얼마나 인간미가 떨어졌을 것이며, 후학들은 뭐하고 먹고 살겠는가.

그리고 간혹 질문 중에는 '꼭 이런 문제까지 걸고 넘어져야 되나'싶은 것들이나 진행에서의 매끄럽지 못함이 눈에 뜨인다. 예컨데 248쪽의 관중론에 대한 질문은, 물론 수천년간 많은 논란이 되어 온 것이기는 하지만 굳이 이 책에서 언급할 필요까지는 없는 듯 하다.

끝으로 번역본을 낸 출판사에 바라고 싶은 것은, 글 속에 나오는 각 사상가의 글에 대해 단순히 출전만 밝히지 말고 원문도 옆날개에 병기해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어떻게 출전까지 밝히면서 원문을 안 적어 놓았을까. 조금만 더 신경쓰면 될 걸...

어찌되었건 동양의 3대 사상가들의 정수를 쉽게 추려놓은 이 책은 백수의 대가만이 할 수 있는 작업이라 여겨진다. 초학자에게는 너무나 좋은 길라잡이가 될, 전문가에게는 사상의 대중화에 전범이 될 자상한 눈높이 입문서이다. 서가 한 귀퉁이의 [대한화사전]에 절이라도 하고 싶은 심정이다.  

[인상깊은구절]
배움에만 열중한 나머지 '생각'을 소홀히 하게 되면 사물에 대한 투철한 판단을 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생각'에만 열중하고 배우지 않는다면 이것 역시 식견이 좁아져서 자칫하면 터무니 없는 과오에 빠지기 쉽습니다.그러므로 "배우고 생각하지 않으면 난폭해지고, 생각하되 배우지 않으면 위태로워진다"고 가르치치 않으면 안 되었습니다.  
 

2001-07-08
 

 

사족 1. 동양학계에 길이 남을 기념비인 [대한화사전]을 제외하고, 저자의 작품 중에 빼놓을 수 없는 책 중의 하나가 [중국 고전 명언 사전]이겠다. 정식 판본 이전에 국내에서 (물론 정식 판권계약을 거치지 않은 해적판으로) 무시히 많이 나온 고사성어 사전류의 원작이 되는 작품이다. 근자의 국내 드라마를 보면 고사성어나 속담 등을 꼭 한두 글자씩 틀리게 말하는 것으로 주인공의 무식함을 드러내곤 하는데, 드라마를 보면서 웃어야 할 순간에 웃지 못하는 스타일이라면 한 번쯤 통독할 만 하다. 국내에서 나온 책으로는 김원중 선생의 책이 미더우면서도 가격 또한 [중국 고전 명언 사전]의 1/3에 불과하다는 미덕이 있고, 임종욱 선생의 책은 [중국 고전 명언 사전]과 맞먹는 포스를 뿜어낸다는 점에서 추천할 만 하다. 

  

 

 

 

  

 

 

 

사족 2. 노자와 함께 도가의 양대 기둥이라 할 수 있는 장자에 대한 저자의 이야기도 출간되었다. (이 책 역시나, [오리다리가 짧다고 이어줄 수는 없다: 장자이야기](문지사, 1991)라는 제목으로 기출간된 바 있다.)  가장 최근의 작품은 [십이지 이야기]가 되겠고. 이번에는 또 얼마나 구수한 입담을 풀어놓을지,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7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8체질- 생명을 보는 새로운 시선, 첫 번째 이야기
최경규 지음 / 엘림 / 2009년 1월
20,000원 → 18,000원(10%할인) / 마일리지 1,000원(5% 적립)
2011년 06월 27일에 저장
절판
의학 과학인가 문화인가
린 페이어 지음, 이미애 옮김 / 몸과마음 / 2004년 7월
15,000원 → 13,500원(10%할인) / 마일리지 750원(5% 적립)
2009년 09월 25일에 저장
품절
한의학의 비판과 해설- 동의과학연구소자료총서1
조헌영 외 / 소나무 / 1997년 9월
10,000원 → 9,000원(10%할인) / 마일리지 500원(5% 적립)
2009년 09월 28일에 저장
품절
서양의학의 두 얼굴
이종찬 / 한울(한울아카데미) / 1992년 8월
5,000원 → 5,000원(0%할인) / 마일리지 250원(5% 적립)
2009년 09월 25일에 저장
품절


17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요즘 브래드 피트가 아킬레스로 분한 영화 [트로이]가 나왔던데...
트로이 전쟁을 다룬 이야기들은 고전 헬라스 시대에도 많이 나왔었고 (호메로스의 작품 [일리아스]를 위시, 이 주제를 다룬 작품군을 따로 '서사시권 서사시'라 한다), 현대에도 각종 개작물이 나온 것으로 알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보면 한국 출판 시장에서 [삼국지]가 차지하는 지위쯤 되려나?).
   

          

  

 

 

 

 

 

(왼쪽부터, [일리아스]는 트로이 전쟁의 이야기,  [오뒷세이아]는 트로이 전쟁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가는 오뒷세우스의 이야기, [아이네이스]는 오뒷세우스의 꾀에 넘어가 함락된 고국을 탈출하여 방랑하다가 결국 로마를 세우게 되는 트로이 왕자 아이네아스의 이야기이다.) 

그 작품들 중, 원전에 바탕을 둔 권위있는 번역으로는 역시 천병희 선생의 작품(단국대출판부에서 나왔다가 절판되고, 현재는 숲에서 간행되고 있다)을 들어야겠지만, 현대적 시각으로 새롭게 재해석한 작품으로 추천할 만한 것이 바로 아래 서적이 아닌가 한다. 약간 오래 된 감상이지만 한번 올려 본다. 

 

 

그렇다. 그녀는 유명한 베스트셀러였던(또한 드라마로도 제작된) 『가시나무새』의 작가다.
그리고, 국내에서 그닥 많은 인기를 얻었다고는 할 수 없지만 제정로마시대의 인간 군상의 모습을 세밀하게 그려낸 The First Man in Rome (로마의 일인자, 교원)과 The Grass Crown (풀잎관, 교원) 등을 지은 작가이기도 하다. 이 시리즈물로 고대 로마시대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과시한 작가이니만치 고전고대 헬라스를 다룬 이 책도 나에게 은근한 기대와 흥분을 갖게 했다. 

        

 

 

 

 

 

  
 

 

 

 

 

 

 

 

『트로이의 노래』는 트로이 전쟁을 다룬 책이다. 내가 작가의 입장이라면 같은 주제를 다루었고, 아니 그로 인해서 주제 자체가 길이길이 기억되게 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닌 유명한 작품의 후광이 너무나 크지 않을까, 의구심과 망설임을 가질 법도 한데 말이다. 상대는 고전의 드높은 반열에 우뚝 솟아 있는 저 『일리아스』아닌가. 그러고 보니 '일리아드'는 트로이의 다른 이름인 '일리오스'의 노래란 뜻이다. 여기서 작가의 대결 의식을 엿볼 수 있지 않나라고 추측한다면 지나친 걸까?

사실 잘 써야 본전이요, 못 쓰면 '그럼 그렇지, 어디 원작만 하겠어?' 정도의 평가를 받을 수 밖에 없는 주제에 겁없이 달려들 때에는 원작을 능가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없이는 섣불리 나설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맥컬로우는 용감히 돌진한다.
연인 파트로클레스의 죽음을 복수키 위하여
신의 손으로 만들어낸 갑옷을 걸치고 매섭게 돌진하는 아킬레스 마냥.
 
작가는 장이 바뀔 때마다 작중 화자를 바꾸는 전략을 통해 해당 인물의 내면 심리, 각자의 처지에서 바라본 당시의 상황을 공감가게 보여준다. 그런 각각의 시선을 모두 접하는 독자는 다중 시점을 통해 전체를 내려다 볼 수 있게 되고 말이다. (물론 전쟁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 복잡하게 얽힌 신화시대부터의 이야기를 차근차근 풀어주는 것도 잊지 않는다.)
 
작가는 이런 시선의 이동을 통해 신화시대의 사건들을 현대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기도 하고(아킬레스의 새 갑옷은 사실 오뒷세우스가 빌려주면서 병사들에게는 그냥 어머니가 새로 만들어준 것이라고 하라고 충고한 것이었다는 둥...), 영웅들의 탐욕과 어리석음을 보여주는 헬라스 군 진영 내의 이전투구들을 적의 눈을 속이기 위한 자작극으로 해석하기도 하면서 나름대로 원작의 진부함을 벗어나기 위한 기발하고 비판적인 독해를 하고 있다.
 
얼마 전에 헬라스 신화 붐이 문화계를 강타하기도 하였지만, 이 책은 왠일인지 거기서 약간 벗어난 듯 하다. 하지만 헬라스 신화를 말하는데 결코 빠질 수 없는 책이 바로 『일리아스』가 아닌가. 서구 문명의 시원을 살펴 보기 위해서는 한번쯤 원작과 함께 볼 만한 책이다. 덤으로(?) '전쟁과 사랑'이라는 영원한 인간 드라마 속에서 번뇌하는 개인의 고뇌에 동참할 수도 있으니 말이다.
 
2002-08-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