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을 죽인 여자들
클라우디아 피녜이로 지음, 엄지영 옮김 / 푸른숲 / 2023년 12월
평점 :
이 세상 그 누구도 두 번 죽지 않는다. 누구도 이미 죽은 사람을 또 죽일 수는 없다. 그들은 존재하지도 않는 살인자를 찾고 있었지만 모두 해답을 가지고 있었다. 그 사건에서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은 부분, 즉 빠져 있는 부분은 진실을 알고 싶어 하지 않는 이들에 의해 채워졌다.
이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내야 할까?
클라우디아 피녜이로가 또 한 번 우리가 닿을 수 없는 이야기로 독자들을 패닉에 빠지게 할 거 같다.
설마설마... 아니겠지... 하며 읽다가 분노와 동시에 슬픔을 느꼈다.
그저 희생양으로만 보였던 인물의 또 다른 모습을 대하면서 이 이야기에서 무엇을 믿어야 할지를 알 수 없게 되었다.
* 30년 전 토막 난 시체로 불에 태워진 채 발견된 동생 아나의 사건 이후 신을 믿지 않기로 결심한 리아는 집을 나와 다시 돌아가지 않는다.
* 자신에게 두 명의 이모가 있다는 걸 알게 된 마테오. 할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에 남긴 세 통의 편지를 가지고 리아 이모를 만나러 간다.
* 아나가 자신의 무릎에서 죽은 그날. 뜻하지 않은 사고로 단기기억상실증에 걸린 마르셀라. 새로 생기는 모든 기억을 잃어버리지만 그날의 기억만큼은 마르셀라의 머릿속에 그대로 남아있다.
* 맏이인 카르멘은 하나밖에 없는 외아들 마테오가 사라지자 그를 되찾기 위해 30년 동안 연락 한 번 한 적 없는 리아를 찾아간다. 모두의 기억 속에서 상냥하고 순진하고 착했던 아나. 그러나 카르멘의 기억 속 아나는 늘 그녀를 시기하고 그녀를 이겨먹으려고 하는 카르멘 따라쟁이었을 뿐이다.
* 귀염둥이 셋째 딸을 잃고 죽기 직전까지 아나의 죽음을 파헤쳤던 알프레도. 그는 진실을 알고 더 괴로웠다. 그래도 그 진실을 묻어 둘 수 없어 편지를 쓴다. 그가 마지막 남긴 편지 속에 무슨 진실이 들어 있을까?
여러 명의 화자가 이야기하는 아나 살인사건은 각자의 입장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느껴진다.
그래서 아나에 대한 느낌까지도 반전되어 버리는 이야기 앞에서 세상사를 한 번에 배워버린 기분이다.
종교가 '고해성사'라는 이름으로 죄를 사해주는 시대는 이미 오래전에 끝났다.
그럼에도 그것이 모든 죄의 책임을 묻지 않는 견고한 성처럼 숭배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나님의 용서가 곧 모든 걸 없던 일로 해준다는 그 믿음.
그들은 그것으로 인해 자신의 죄를 뉘우침 없이 없던 걸로 만든다.
[세상을 움직이는 건 남자지만 그 남자를 움직이는 건 여자다.]라는 말이 있다.
그 말의 의미를 여실히 보여주는 이야기다.
그래서 더욱더 여자들의 모든 것을 옥죄어 온 게 가부장제의 부당함이다.
죽이지 않았으니 죄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죽이는 것보다 더한 짓을 하고도 하나님의 뜻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자신들의 안위를 위해 하나님을 찾는 사람들.
세상을 종교적 잣대로만 판단하는 사람들.
그 모든 사람들은
결국
자신의 행복을 위해 그 모든 결정을 내렸던 거다.
그래서
그것이
더 끔찍한 느낌으로 남는다.
서로의 손을 잡고 대성당을 그리던 사람들이
성경으로 하나님을 공부하는 사람들 보다 더 많은 것을 헤아릴 줄 안다는 사실을 그들이 깨달았으면 좋겠다.
종교의 자유는 가족 간에도 존재해야 한다.
그럴 수 없다면 그건 종교를 믿는 게 아니다.
자식에게도 자신들의 신앙을 강요해서는 안 되지.
종교가 없으면 큰일 나는 것처럼 말해서도 안 되지.
신의 이름으로
모든 죄를 사해 달라는 이기심은 무법과도 같은 것.
내가 비종교인이라 그럴까?
고해성사로 자신의 죄를 덜어버리는 그 행위가 참 이중적으로 느껴졌다.
여기 등장하는 여자들 모두 신을 죽였다.
신의 이름으로 행한 행동으로 신을 욕되게 함으로써.
신조차 용서할 수 없는 일들이 버젓이 일어나는 걸 보는 순간 그들의 마음에서 삭제 시켰다.
전작 <엘레나는 알고 있다>에서도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이 특별했는데 이 이야기 역시 결론을 내리지 않는 결론으로 독자를 자유롭게 만든다.
모든 건 남겨진 이들의 몫.
남은 생을 어떻게 살 것인지도 그들의 몫.
용서는 그렇게 살아남은 사람들이 하는 것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