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려 마땅한 사람들
피터 스완슨 지음, 이동윤 옮김 / 푸른숲 / 2023년 10월
평점 :
"만약 사람을 죽이려 한다면 반드시 사고로 보이도록 만들어야 해. 그게 아니면 다른 사람이 죽인 것처럼 보이도록 해야 하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다 소용없는 짓이야."
이런 말을 하는 사람은 마음에 무엇을 품고 사는 사람일까?
<죽여 마땅한 사람들>을 읽으며 나는 주인공을 응원했다.
범인인 걸 알면서도 잡히지 않기를 응원한 살인자는 그가 처음이다.
<살려 마땅한 사람들>에서는 그 반대의 인물들을 만나게 된다.
전편에서 릴리에게 칼에 찔리고 스토커로 낙인찍혀 경찰을 그만둔 헨리 킴볼은 사설탐정이 되었다.
그에게 오래전 자신이 가르쳤던 학생인 조앤 그리브가 찾아온다.
조앤은 남편이 바람피우는 게 확실하니 증거를 잡아 달라는 의뢰를 한다.
조앤의 등장으로 킴볼은 기억하고 싶지 않은 기억을 소환한다.
그가 교사를 그만둔 이유이기도 한 그 기억.
교실에서 발사된 총.
아무것도 하지 못한 자신.
헨리 킴볼은 '촉' 이 좋은 형사였다.
아무도 의심하지 않는 '릴리'를 알아봤으나 그녀를 사랑하게 돼서 문제가 되었고 그래서 형사를 그만두고 탐정이 된 지금.
아무 의심 없이 살아온 '조앤'을 알아보게 되고 그 조력자까지 찾아내어 또 한 번 죽음의 문턱에 선다.
그런 헨리를 위해 릴리가 나섰다!!!
<죽여 마땅한 사람들>을 읽으며 살인자를 응원했던 나는 책을 읽고 나서도 한동안 내 마음에 대해 생각해 봤다.
법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에 주인공의 살인을 용납하게 된 건지, 아니면 주인공의 심리를 너무 완벽하게 그려내서 내가 동화된 것인지 살인자를 응원하는 내 마음을 이해하면서도 용서하면 안 되는 기분이었다.
<살려 마땅한 사람들>을 읽으며 또다시 소환된 릴리의 능력이 빨리 발휘되기를 바랐다.
완벽한 알리바이를 만들어 놓고 자신의 손에 피를 묻히지 않고도 자기가 원하는 사람을 죽이고 목격자까지 완벽하게 만들어 놓는 교활한 살인을 사주하는 그 그릇된 심리를 가진 자를 응징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법과 경찰이 닿을 수 없는 일을 저지르는.
심증은 있지만 물증은 없는 살인자.
그런 자는 그를 능가하는 살인자가 필요할 뿐이니까.
둘이 함께 사람들의 생명을 앗아갔다. 일단 그런 짓을 하고도 빠져나가는 일을 경험하게 되면 인생의 다른 모든 것들이 조금 색이 바래게 된다.
더 이상 아무런 잣대를 댈 수 없는 그들에게 맞설 수 있는 정의가 있을까?
<살려 마땅한 사람들>은 그런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한 번 범죄에서 빠져나가는 법을 알게 되면 계속 그 '맛'에 중독되어 멈출 수 없다는 것을.
그러기에 헨리의 '촉'과 릴리의 '실행력'이 무력한 독자들에게 위안을 주는 것임을 알려 주는 것이다.
특별한 능력이라면 약간 실없고 야한 시를 짓는 기능에 남들은 알아채지 못하는 '악'의 기운을 감지하는 헨리.
거기에서 그치지 않고 자신의 감을 믿으며 끈질기게 단서를 찾아내는 헨리.
세상의 모든 미결 사건에 헨리 같은 형사가 있다면 피해자와 유족들에게 얼마나 위로가 될까?
스스로를 몽크스하우스에 가두고 세상에 드러나지 않으려 하는 릴리 킨트너.
그런 그녀가 헨리를 위해 총대를 매는 모습에서 나는 위안을 받았다.
<살려 마땅한 사람들>을 위해 <죽여 마땅한 사람들>을 해치우는 릴리.
내 통쾌함은 잘못된 걸까?
피터 스완슨의 작품은 일단 재미 보장이다.
그러니 무조건 무조건이다.
다만 그의 작품 속에서 단지 재미와 스릴만 찾는 건 실례다.
<살려 마땅한 사람들>은 한 번 교묘하게 법을 피했던 사람들은 그전과는 다른 사람이 된다는 것에 대한 이야기다.
그런 사람들은 법망을 빠져나갔다고 안심하며 또 다른 계획을 세우겠지만
완슨이 오빠의 이야기에 의하면 뛰는 놈 위에 나는 놈이 있다는 말이다.
헨리와 릴리 같은 사람들이 어딘가에서 그들을 지켜보고 있다.
세상은 그렇지 못한 사람들과 그런 사람들이 서로를 감시하며 공존하다.
<죽여 마땅한 사람들>과 <살려 마땅한 사람들>이 공존하고 있는 것처럼...
재미와 스릴 그리고 가을을 닮은 깊은 생각이 필요한 분들께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