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이컵을 위하여
윌리엄 랜데이 지음, 김송현정 옮김 / 검은숲 / 2013년 8월
평점 :
뛰어난 실력으로 지방검찰청에서 차장검사로 일하는 앤드루 바버. 정치에는 관심없이 오직 검사 업무에만 집중하는 그는, 평생의 사랑인 로리와 아들 제이컵과 행복한 가정을 꾸리고 있었다. 조용한 그들의 마을 뉴턴에 갑작스럽게 벌어진 소년 살해사건. 희생자가 고작 열 네살 소년인데다 이렇다 할 큰 이슈가 없었던 뉴턴에서 살인은 너무나 큰 사건이었기에 온 마을이 들끓기 시작하고, 앤디는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동료형사들과 총력을 기울이지만 단서는 오리무중이다. 때마침 용의자로 성범죄자인 레너드 패츠가 지목되고 그를 조사하던 중, 뜻밖의 단서로 범인으로 몰린 앤디의 아들 제이컵. 결국 앤디는 사건에서 손을 떼고 제이컵의 무죄를 밝혀내기 위해 모든 노력을 쏟아붓지만, 그의 가족사에 얽힌 비극과 수사가 진행될수록 드러나는 제이컵의 언행으로 수사는 어려움에 빠지고 앤디와 그의 아내 로리는 그들이 알던 제이컵이 제이컵의 모든 것이 아니었음을 뒤늦게 깨닫는다. 과연 범인은 제이컵인 걸까? 그렇지 않다고 해도 제이컵은 어떤 소년인 것일까?
소설에서 자주 다루어졌던 소년범에 대한 이야기가 이번에는 시각을 바꾸어 우리 앞에서 대답을 재촉한다. 그 소년범이 만약 당신의 아이라면 어떻게 할 거나고, 과연 그 아이의 무죄를 끝까지 주장할 수 있을 것이며 설사 모르고 있었던 그 아이의 진면목을 보게 된다고 해도 마지막까지 아이를 사랑할 수 있겠느냐고. 모든 부모에게, 앞으로 부모가 될 사람들에게 던지는 이 질문에 선뜻 대답을 내놓을 있는 사람이 누구일까. 사건 전개의 긴박감에 빨리 페이지를 넘기고 싶은 마음과, 시련에 괴로워할 앤디와 로리의 모습을 보고 싶지 않다는 마음이 상충되어 그 어느 때보다 힘든 독서였다. 그 동안 소년범에 대한 소설을 읽을 때 그 소년범에 대해 초점이 맞춰졌던 것과는 달리 이번에는 그 용의자의 가족들에 집중했다는 점이 새롭고, 고통스럽게 다가왔다.
무엇보다 이 작품이 인상적인 것은 아들이 용의자로 지목된 이후 무너져가는 인물의 내면과, 분위기가 일변해버린 가족들의 상황을 섬세하게 그려냈다는 점이다. 아들이 범인이 아닐 거라고 믿는 마음 한 편에 존재하는 만약 아들이 범인이라면 어떻게 하나 하는 불안함, 당신과 내가 우리 아이를 잘못 키운 것은 아닌가 하는 죄책감, 가족사에 얽힌 비극을 끝까지 숨겨왔던 남편에 대한 배신감. 접촉과 대화로 많은 사람의 고민과 슬픔을 함께 할 수 있다고 믿어온 앤디의 아내 로리, 이웃들에게 의지와 화목의 상징이었던 로리가 그들에게 외면당하고 빠르게 무너져가는 모습은 안타깝다 못해 처절하다.
로스쿨을 졸업하고 6년 동안 미들섹스 카운티의 지방검사로 일해왔던 전력이 있는만큼, 작가가 묘사한 법정 공방은 생생하고 현실적이다. 비열하게 느껴질 정도로 사건을 정치적으로 몰아가는 검사의 모습에 분노를 느꼈고 손에 땀을 쥐게 할만큼 긴박한 분위기에 압도될 수밖에 없었다. 제이컵이 과연 범인인 것일까? 범인이 아니라면 그들 부부는 앞으로 아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 그런 분위기가 한층 살아나게 되는 것은 작가가 제시한 질문 때문이다. -가족을 위해 과연 어디까지 할 수 있는가-라는.
많은 사람들이 가족을 위해서라면 죽음까지 마다하지 않겠다고 다짐하기 때문에, 나는 가족을 위해서 무엇을 하지 않을 것인지 생각했었다. 만약 가족이 어떤 잘못을 저지른다면 그에 합당한 벌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 절대 그 순간을 도망가서 상황을 악화시키게 만들지는 않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 힘든 순간을 이겨낼 수 있도록 함께 묵묵히 곁을 지키는 것. 가족이기 때문에 잘못을 덮어주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라고 여겼다. 그들의 더 나은 한 발을 위해서. 때문에 로리의 극단적인 선택에 공감가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정말 그 방법밖에 없었는지 묻고 싶기도 했다. 이런. 난 이미 그들을 진짜라고 여기나보다. 마지막 장을 덮으며 가슴이 찢어지는 것 같은 아픔을 느꼈으니까.
굉장히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아무리 내 아이에게 최선이라 생각되는 것을 주어도 그것이 늘 최선이 될 수 없는 현실이 가슴 아프다. 아직 부모가 아닌 내 마음이 이런데 세상의 많은 부모들의 마음은 어떨까. 내 자신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이 시간 속에서 내 아이의 하나하나를 살피고 사랑해야 하는, 사랑할 수밖에 없는 부모님들의 마음이 애처롭게 다가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