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인생의 만화책 - 캐릭터로 읽는 20세기 한국만화사, 한국만화 100년 특별기획
황민호 지음 / 가람기획 / 2009년 10월
평점 :
표지에서 둘리가 반갑게 맞아주었다. 이 책을 통해서 그동안 알지 못했던 우리나라의 만화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이 책에 등장하는 만화중에서 내가 아는것은 둘리, 독대, 독고탁, 오혜성등등 몇되지 않는다. 처음에는 거리감이 느껴졌지만, 금방 그 시대의 주인공들과 친해질 수 있었다. 익살스럽고 재미있는 명랑만화 주인공에서부터 거칠고 비운의 남자 주인공과 현대에 이르는 의리있고 익살스럽고 한편으로는 바보같은 주인공들이 살아가고 있다. 시대에 따라서 주인공들의 특성이나 이야기들이 펼쳐지는것을 알 수 있었다. 현실을 반영하거나, 현실에선 이룰수 없는 사람들의 소망을 만화의 주인공을 통해서 이루어내가고 함께 울고 웃고 하였다. 더욱더 다양한 만화 장르들을 살펴보지 못한점이 아쉬웠지만, 시간의 흐름을 거꾸로 읽어 낼 수 있었다. 짧으면서도 굵직하게 그당시의 만화들에 대해서 설명한점이 좋았다. 한장이나 두장분량으로 그 당시의 만화를 연재해준 점도 읽으면서 더욱 실감났다.
만화는 단순히 재미로 읽기도 하지만 상상하지도 못했던 미래에 대해서 이야기 해주고 많은 지식을 안겨준다. 이 책속에 등장하는 만화들은 나에게 세대차이를 많이 느끼게 한다.
내가 좋아하는 스타일의 만화는 <이명진의 남궁건>과 같은 스타일이다. 요즘에 한참 재미있게 읽고 있는 열혈강호나 서울협객전을 좋아한다. 만화의 장르가 다양하게 변했지만 어느정도는 한계에 부딪히고 있음을 느낀다. 순정, 무협, 학원, 액션, SF, 성인물등 내용들이 다른것도 있지만 비슷하게 흘러가는 것들이 많다. 어떤 만화는 예전만큼 내용의 깊이가 없어 아쉽기도 하다. 이건 내 생각이지만, 취향에 따라서 <내 인생의 만화책>은 책 내용에서 많은 차이가 날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연재만화, 시대물, 무협을 좋아하시는것 같다. 저자분이 순정만화를 좋아하셨다면 내용이 어떻게 달라져있을지도 궁금하다. 난 무협이나 SF를 좋아하는 만큼 순정만화도 무지 좋아하기 때문이다. 학창시절에는 거의 순정만화에 푹 빠져있었다. 이 책이 시리즈로 발간되면 무지 재미있을것 같다. 현대에 가까운 만화이야기에서 더 많은 이야기가 나오지 않아서 아쉬움이 남는다.
만화책은 마냥 좋은지 모르겠다. 책속의 주인공들이 실제인물은 아니지만, 아쉽고 안타깝고 그리워진다. 만화가 완결이 나면 끝이지만, 그 책속의 주인공들은 그속에서 영원히 살고 있다. 완결된 만화도 주인공들의 안부를 이야기해주었으면 좋겠다. 만화를 많이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