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어교사
유디트 타슐러 지음, 홍순란 옮김, 임홍배 감수 / 창심소 / 2021년 12월
평점 :
독일 추리작가협회상 수상작이다.
기존에 알고 있던 추리소설과 형식 등이 아주 다르다.
이메일로 시작해 두 사람 크사버 잔트와 마틸다가 처음 연결된다.
크사버는 오스트리아 유명 청소년문학 작가다. 마틸다는 현재 중학교 국어교사다.
이 둘은 16년 전에 헤어진 연인이었다. 헤어지기 전 14년을 동거했다.
헤어지는 과정은 상대에 대한 최소한의 통지도 없는 크사버의 일방적인 도망이었다.
그리고 크사버는 독일의 호텔재벌의 딸과 결혼했고, 이때 임신 중이었다.
이런 배경 속에 이야기는 이메일과 서로에게 들려주는 이야기와 자신이 쓰고 있는 소설로 구성된다.
이야기가 어느 정도 진행된 후 크사버의 아이가 사라진 사건이 나온다.
누가 아이를 데리고 달아난 것일까? 몸값을 노린 유괴라면 연락이라도 올 텐데 없다.
작가는 하나의 가능성을 툭툭 던지면서 독자에게 암시를 건다.
이야기는 이 둘이 어떻게 만났고, 어떤 연인이었는지 알려준다.
두 사람의 가족들이 어떤 존재였는지도 보여준다. 서로 비교되는 가정이다.
크사버를 사랑했고, 그의 아이를 가지고 싶었던 마틸다의 수많은 노력은 실패했다.
크사버가 어떤 생활을 했는지 알려주는 대목이 나올 때 마틸다의 순정은 빛이 바랜다.
마틸다와 크사버의 사랑 이야기가 중심축이라면 크사버의 할아버지 이야기는 또 다른 한 축이다.
현실과 상상력이 뒤섞여 펼쳐지는 이야기는 사랑과 가족이란 두 세계의 충돌로 이어진다.
이것은 또 다시 마틸다와 크사버의 가치관 충돌과 엮인다.
소설을 읽다 보면 크사버는 상당히 가볍게 말을 한다. 반면에 마틸다는 정확하고 무겁다.
16년 전 배신과 새로운 만남이 만들어낸 이야기는 직선이 아닌 회오리로 풀려나온다,
그들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그들 가족들 등도 같이.
어느 정도 읽었을 때 머릿속에서 마틸다의 잔혹한 복수극도 떠올랐다.
하지만 작가는 이 소설 속 유일한 사건의 진실을 다양한 각도에서 밝히는 쪽으로 나아간다.
전혀 예상하지 못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그리고 생각도 못한 결말과 이 우연한 듯한 만남의 진실이 밝혀진다.
전통적인 추리소설을 원하는 독자라면 크게 실망할 테지만 새로운 형식을 좋아한다면 신선할 수도 있다.
오래 전 다른 독일 추리소설에서 뭐야? 했던 기억이 난다. 그 소설을 지금 읽으면 어떨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