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쾌 : 젓가락 괴담 경연
미쓰다 신조 외 지음, 이현아 외 옮김 / 비채 / 2021년 11월
평점 :
‘쾌’라는 단어를 보고 가장 먼저 떠올린 의미는 ‘빠르다’는 것이었다. 젓가락의 의미하는 단어 ‘저’가 있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젓가락 쾌가 있다는 것은 몰랐다. 쾌라는 단어가 어떻게 사용하게 되었는지 알려주는 부분이 소설 속에 나와 알게 되었지만 아직도 젓가락하면 ‘저(箸)’가 먼저다. 이 소설 덕분에 한자를 한 자 더 배웠다. 그리고 큰 착각을 하나 했다. 그것은 이 연작단편집 기획을 일본 출판사가 했다고 추측한 것이다. 가장 먼저 등장한 작가 미쓰다 신조 덕분이다. 약간 비겁한 변명이긴 하다. 실제는 대만 출판사에서 기획한 것이다. 미쓰다 신조를 제외하면 대만과 홍콩 작가로 작가들이 구성되어 있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부제로 ‘젓가락 괴담 경연’이 붙어 있다. 각각의 이야기가 연관성이 없는 것처럼 처음에는 읽혔는데 뒤로 넘어가면서 뒤에 등장한 작가들이 앞의 작가들 작품을 자신의 소설 속에 끌고 들어와 묘하게 연결시킨다. 이 연결의 백미는 샤오샹선의 <악어 꿈>이다. 그런데 마지막에 등장한 찬호께이가 앞의 이야기를 연결시키면서도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이야기를 끌고 가면서 이전 이미지들을 새롭게 만든다. 뛰어난 작가가 어떻게 이야기를 이어가는지, 그 결과물이 어떤 식으로 표현되는지 아주 잘 보여준다. 그리고 그 이면의 이야기를 아주 재밌고 풍부하게 만들면서 새로운 분위기를 불어넣는다.
미쓰다 신조의 <젓가락님>은 하나의 도시전설을 학교에 끌고 와 서늘하게 느끼게 만든다. 젓가락님 의식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솔직하게 잘 보여준다. 이 의식에 참여한 사람이 어떻게 되는지 보여주면서 가장 직접적으로 이 주술을 다룬다. 가장 분량이 적다. 왠지 모르게 쉽게 집중해서 읽지 못했는데 마지막 문장을 읽고 난 뒤 서늘했다. 하나의 소원을 이루기 위해 팔십사일 동안 쌀밥에 젓가락을 꽂아 기원해야 하고, 아홉 명의 참여자 중 한 명만 살아 남는다. 무시무시한 도시전설이다. 한때 유행했던 분신사바가 가장 먼저 떠올랐지만 다른 방식의 의식이다.
쉐시쓰의 <산호 뼈>도 왠지 모르게 시점을 혼동하면서 재미가 조금 반감되었다. 젓가락님 의식보다 젓가락 그 자체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한다. 산호로 만든 비싼 젓가락이고, 이 젓가락에 왕선군이란 조상이 머물고 있다는 설정이다. 도사를 찾아가 과거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신과 귀신에 대한 이론을 풀어내고, 과거 사연을 하나씩 흘리면서 관심을 앞으로 집중시킨다. 이 단편에서는 의식보다 젓가락 자체에 더 비중을 준다. 조상 대대로 물려준 가보란 것과 왕선군에게 소원을 빌면 그 대가를 치를 수밖에 없다는 설정들이 흥미롭게 풀린다. 마지막 부분은 살짝 전형적인 부분이 있다.
예터우쯔의 <저주의 그물에 걸린 물고기>는 SNS 등과 엮어 이야기를 풀어낸다. 한 유튜버가 방송 중에 죽는데 이 죽음을 둘러싼 미스터리를 해결하는 것이다. 홍콩에 실재하는 지명을 등장시키고, 하나의 가짜 도시전설이 어떻게 스스로 생명을 얻고, 확산되면서 그 자체로 몸집을 키우는지 보여준다. 그리고 SNS와 유튜버들이 이 죽음을 장사 등에 이용하는데 결코 낯선 모습이 아니다. 이 작품도 내가 처음부터 놓친 것인지, 아니면 작가가 살짝 서술 트릭을 쓴 것을 발견하지 못한 것인지 의문이 드는 설정이 나온다. 귀신 신부란 새로운 캐릭터가 등장하는데 가장 미스터리적인 요소가 강한 작품이다.
〈악어 꿈〉을 쓴 샤오샹선은 이 단편에서 앞에 나온 이야기를 아주 멋지게 연결시키고 마무리한다. 젓가락님 전설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다른 나라로 전파되면서 변질되었는지 보여준다. 독재정권 시절 있었던 8명의 아이들 실종 사건이 전국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이유를 알려주고. 이 사건은 자연스럽게 우리의 ‘대구 개구리 소년 사건’을 떠올렸다. 이 소설에서 다루는 이야기 중 하나는 남녀차별이 만들어낸 비극 중 하나일 뿐이다. 그리고 운명이란 단어가 왜 고대 시대에 더 강한 힘을 발휘하게 되었는지 알게 한다. 이 단편도 서술 트릭을 사용하고, 앞에 등장한 이야기를 이 속에 끌고 들어와 깔끔하게 끝낸다.
미쓰다 신조와 함께 가장 유명한 찬호께이의 <해시노어>는 샤오샹선이 마무리한 부분을 새롭게 해석하면서 다른 생명력을 불어넣는다. 앞에 나온 이야기들이 호러, 미스터리 등이었다면 이 소설은 판타지. SF적으로 이야기를 풀어낸다. 어떻게 보면 황당한 부분이 있지만 읽는 재미는 대단하다. 솔직히 말해 중국 만세를 외치는 듯한 부분으로 읽히는 점이 있어 조금 거슬린다. 나의 오독이라면 사과한다. 홍콩 작가답게 무대를 다시 홍콩으로 옮겨 풀어내면서 살짝 트릭을 사용한다. 맘껏 읽다가 쉽게 당했다. 사건을 해결한 후 길게 풀어낸 부분은 조금 지루한 부분이 있지만 앞에 펼쳐진 이야기의 연장선이다. 개인적으로 흥미로운 작품들은 유명 작가들의 단편이 아니라 아주 낯선 작가들의 작품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