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숲과 별이 만날 때
글렌디 벤더라 지음, 한원희 옮김 / 걷는나무 / 2020년 9월
평점 :
절판
조앤 롤링을 제친 신인이란 문구는 정말 인상적이다. 내가 조앤 롤링을 제쳤다는 문구 그대로에 혹할 사람은 아니지만 이 소설을 끝까지 읽은 지금은 잠시 고개를 끄덕인다. 재밌을 것이란 예상은 했지만 그 예상 이상으로 잘 읽힌다. 광고에 나오는 판타지, 로맨스, 미스터리 스릴러 등의 키워드 등이 머릿속에 자리잡았지만 자연스럽게 이야기 속으로 빨려 들어갔다. 조와 얼사와 게이브의 이야기를 읽다 보면 잠시 시간의 흐름을 잊는다. 이들의 앞날이 과연 어떻게 될까? 하는 의문과 더불어서. 마지막 장을 덮은 다음에는 작은 만족감이 찾아온다.
조애나 틸. 암으로 엄마를 잃고 자신도 암으로 유방과 난소를 제거했다. 처음에는 이런 정보가 나오지 않지만 그녀의 전 남친이 등장하면서 이 사실을 알려준다. 그리고 그 앞에 많아야 아홉에서 열 살 정도의 소녀가 나타난다. 바로 얼사다. 얼사를 처음 본 조는 경찰에도 신고하고, 실종자 사이트도 검색한다. 찾아온 경찰의 말은 황당하기까지 하다. 밖이 더 위험하기에 어쩔 수 없이 잠시 머물게 한다. 얼사에게 먹을 것을 주기 위해 마을의 계란 장수를 찾아간다. 그가 게이브다. 이때 처음 만난 것은 아니지만 제대로 그를 바라본 것은 이때가 처음이다. 얼사의 등장이 이 이웃이 서로를 인식하게 만들었다.
조는 조류학 학위를 따기 위해 이 작은 마을에 왔다. 유리멧새가 그녀의 관찰 대상이다. 얼사는 자신이 외계인이라고 말한다. 자신이 온 행성과 종족을 말하는데 솔직히 나는 이해 못할 내용이다. 소녀는 다섯 기적을 경험한 후 자신의 별로 돌아가겠다고 말한다. 굶주림과 흐름한 옷과 맨발은 그녀가 가출했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그런데 이 소녀가 생각보다 영리하고 지적이다. 경찰이 나타나자 바로 도망치고, 조류학 책을 생각보다 재밌게 읽는다. 나중에 고양이의 이름은 셰익스피어의 작품에서 따오기도 한다.
게이브는 우울증을 앓고 있다. 타인과의 대화가 거의 없는 남자다. 상당히 잘 생겼다. 얼사를 사이에 두고 조와 게이브가 작은 관심과 불꽃을 피운다. 밀고 당기는 시간들이 일어나는데 이 일은 그들의 상황 때문에 생긴 것이다. 조는 연구가 끝나면 돌아가야 하고, 게이브는 정신 병력이 있다. 그리고 게이브의 엄마도 아프다. 게이브의 누나는 그가 다른 사람들을 만나는 것을 탐탁치 않게 생각한다. 게이브가 이 둘에게서 잠시 멀어진 것도 이 불안감이 크게 작용했다. 미래에 대한 걱정은 언제나 현실에서 도망치게 만든다. 조는 게이브가 현실을 마주보는데 큰 도움을 준다.
조와 게이브가 현실의 삶에서 그들이 겪은 아픔과 고통을 뒤로 하고 앞으로 나아간다면 얼사는 그 과거를 알 수 없다. 한동안 그들은 실종 아이들을 찾는 사이트를 열심히 돌아다녔지만 언제부터인가 포기했다. 이 포기는 힘들고 귀찮아서가 아니라 얼사와의 시간을 소중히 생각하고 행복감을 느꼈기 때문이다. 물론 이 아이를 찾아서 경찰이 온다면 유괴 등의 범죄로 기소될 가능성이 있다. 아이는 자신이 말한 다섯 가지 기적 중 몇 가지를 빠르게 이룬다. 큰 것들이 아닌 작은 일상적인 것들이다. 얼사의 존재는 이 훈훈한 소설에서 판타지 요소 한 가지를 강하게 전달한다. 혹시 진짜 외계인 아니야 하고.
이 소설은 미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소재 중 하나인 가족을 다룬다. 가족 간의 갈등, 새로운 만남, 화해 등을 아주 잘 엮었다. 대사가 많이 나와 잘 읽히고, 작가의 경험이 녹아 있는 조의 조류학 연구는 소설 속의 또 다른 지식이자 재미다. 가슴과 난소를 잃어 여성성이 거세되었지만 성욕은 그대로라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나아가기 위한 한 발의 중요성은 말할 것도 없다. 이 소설 속에 등장하는 많은 사람들은 거의 모두 가슴 속에 아픔을 담고 있다. 특히 조, 얼사. 게이브 등은 더욱더. 이 아픔과 고통을 넘어 현실과 마주하는 과정을 다룬다. 그러다 갑자기 벌어진 하나의 사건은 이야기의 방향을 돌리고, 앞에 느낀 불안감을 현실화시킨다. 현실적이고 깔끔하고 훈훈한 마무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