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홈랜드 엘레지
아야드 악타르 지음, 민승남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2월
평점 :
*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파키스탄 계 이민자 2세의 이야기다.
작가 악타르는 희곡 <수치Disgraced>로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이 희곡은 911테러 이후 강화된 이슬람 혐오로 인한 정체성 혼란을 그렸다고 한다.
이 작품으로 상은 받았지만 그만큼 그를 혐오하는 사람들도 늘어났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어디까지 사실이고, 어디가 거짓인지 전혀 알 수 없었다.
한 이민자 가정의 모습을 통해 미국이 주장해온 허구의 실체가 그대로 까발려진다.
한때 트럼프의 주치의였던 아버지가 가진 아메리카 드림이 어떻게 무너지는지도.
두툼한 분량은 그 속에 담긴 메시지와 통찰 등으로 더욱 풍성해졌다.
그리고 이슬람인으로 미국에 산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도 곳곳에서 드러난다.
이민자 혐오와 자본주의의 본질적 폭력 등이 이민자 2세의 정체성과 엮여 하나씩 풀려나온다.
두툼한 분량이라고 했지만 520쪽에 불과하다.
그 속에 담긴 이야기와 시대상과 인종 문제 등이 좀더 집중해서 읽게 한다.
미국을 흔히 인종의 용광로라고 표현했지만 최근에는 샐러드볼이라고 부르고 있다.
하지만 작가는 화학에서 물질들을 분리하게 만드는 완충액이란 표현을 쓴다.
점점 인종 차별 정책이 강화되고, 부의 불평등이 심화되는 미국의 현실에 딱 맞는 표현이다.
이 표현은 미국만의 용어가 아니라 현재 한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그가 한적한 도시의 마트 등에서 경험한 이야기는 현실적 위협이자 아주 수치스러운 일이다.
이것은 911 당시 그가 참혹한 사고의 현장에서 경험한 것과 같이 맞물린다.
그가 미국에서 태어났고, 이슬람 교도가 아니라는 것만으로 혐오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의 희곡이 연극 무대에서 성공하자 무슬림 부자 리아즈가 찾아온다.
리아즈의 호의가 연극 배우들에게 먼저 전달되고, 결국 그에게까지 이어진다.
퓰리처 상을 수상했다는 것과 같은 이슬람이란 점 등이 그들을 묶어준다.
리아즈는 빚을 팔아 자본을 굴리는 시스템을 운영해 돈을 벌었다.
그가 세운 회사에 악타르는 어머니가 남긴 유산을 투자한다.
몇 년이 되지 않아 3십만 불은 수백만 불로 불어났다.
금융감독 당국의 조사원이 악타르를 찾아오지만 어떤 불법도 찾아내지 못한다.
실제 그 회사는 악타르가 주식을 팔 때보다 더 비싸졌다.
그리고 리아즈와 함께한 순간들은 그의 삶에서 가장 흥청망청한 순간이다.
빚이 자본으로 바뀌는 새로운 금융기법을 보면서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어머니는 아버지의 친구를 먼저 사랑했다.
하지만 그는 약혼녀가 있었고, 결혼까지 했다.
어머니도 의대를 졸업했고, 미국의 필요에 의해 아버지와 친구가 이민을 왔다.
절친인 둘은 자주 만났지만 미국에 대한 생각은 서로 달랐다.
아버지는 트럼프를 지지하는 쪽으로 변할 정도였고, 그 친구는 이슬람에 더 빠져들었다.
이렇게 변하게 된 것은 파키스탄을 둘러싼 나라들의 상황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탈레반 등이 어떻게 성장했는지, 원리주의자들이 아이들을 어떻게 가스라이팅했는지.
파키스탄이 인도에서 분리되는 과정에 있었던 참혹한 학살은 표현하기 힘들 정도다.
이 과정에 영국 제국주의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도 같이 나온다.
이제 그 역할이 미국 등으로 이어졌고, 삶은 더욱 힘겨워졌다.
정말 많은 이야기들이 나온다.
살만 루슈디의 소설을 두고 벌어지는 논쟁은 종교가 가진 편견과 한계를 보여준다.
아야드가 아버지와 트럼프를 두고 벌인 논쟁과 비슷해 보인다.
아버지는 트럼프 주치의로 있으면서 매춘부를 만났고, 딸까지 낳았다.
아야드가 이 사실을 알게 된 것은 우연한 만남과 그녀의 집에서 본 아버지의 사진 때문이다.
아버지의 환자가 죽은 의료 사고 재판은 사실이 아닌 거짓과 혐오로 가득하다.
위스키와 도박을 좋아하는 아버지는 몰락의 길을 가는 중이었다.
아버지가 들려준 거대한 의료 비리는 자본 앞에 너무 무력하게 가려진다.
비밀유지각서가 가진 거대한 압박을 보면서 법 개정이 절실하게 필요해 보인다.
무슬림 연인에게 무슬림 정체성 때문에 버림받고, 백인들에게는 테러리스트로 치부된다.
마지막에 그가 미국이 자신의 홈랜드라고 외친다.
이 외침이 사실을 말하고 있다고 해도 사람들은 부모의 국적과 피부색을 먼저 본다.
#홈랜드엘레지 #아야드악타르 #열린책들 #장편소설 #트럼프 #팍스아메리카나 #리뷰어스클럽 #리뷰어스클럽서평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