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림을 맛있게 먹는 7가지 방법
송주영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5년 2월
평점 :
한국일보 미술칼럼 ‘송주영의 맛있게 그림보기’에 연재된 글들이다.
43개의 글 중에서 28개의 맛을 선별해 7부로 나누었다.
저자는 선사시대 미술에서 시작해 동시대의 미술까지 다룬다.
단순히 미술에 대한 해석과 정보만 전달하지 않고, 미술교육까지 폭넓은 분야에 대해 말한다.
미술교육에 대한 글을 읽으면서 나 또한 얼마나 많은 편견에 갇혀 있는지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 아이가 어떤 아이인지 몰래 대입하면서 고개를 끄덕였다.
예술가에 대한 우리의 편견과 선입견을 다룰 때 오래 전 생각했던 것을 다시 확인했다.
철수와 영희가 아니라 철수와 영이라고 지적한 부분은 새로운 사실이었다.
1부부터 강하게 시선을 끌었다.
많은 미술 서적을 읽다 보면 서로 다른 해석으로 한 그림을 풀어낸 것을 보게 된다.
도상학적으로 풀어낸 것은 이해를 도와주지만 자신의 해석을 강조하는 듯한 느낌도 받는다.
‘스토리텔링으로 그림 보기’는 많은 경우 나의 해석과 다른 해석에 대한 좋은 본보기다.
김홍도의 <노상파안>을 스토리텔링으로 풀어낸 부분은 재밌다.
그렇지만 이 그림을 다른 식으로 해석한 것을 본 적 있기에 또 다른 시각으로 상상한다.
미술 감상에서 제목이 ‘무제’인 경우 난감할 때가 많다.
작가, 관람자, 그림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의 모든 것이 함께 찾아 나가야 한다고 말한다.
“좋은 비평은 있어도 정답은 없다.”는 것은 그 자체로 즐겁고, 무한한 맛의 세계를 의미한다.
미라가 물감이 되었다는 이야기에 솔직히 깜짝 놀랐다.
어릴 때 미라의 저주 같은 이야기에 얼마나 혹했는지 생각하면 더욱더.
머미 브라운의 비밀과 이 물감이 비교적 현대까지 사용되었다고 하니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케이블에서 <미이라 2>를 보는데 이 사실이 떠올라 살짝 집중을 깨졌다.
‘달항아리’가 원래 있는 단어가 아니란 것도 이번에 처음 알았다.
달항아리를 내세우는 케이크까지 있는데 말이다.
이제 그 케이크 가게를 지날 때면 한동안 계속 이 이야기가 떠오를 것 같다.
백자대호에 대한 세계의 관심을 다른 식으로 해석한 것도 한 번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던 사실에 새로움을 더한 이야기도 많이 나온다.
루벤스의 동양인에 대한 최근 정보들은 고려인이 아닌 명나라 사람이다.
국뽕에 살짝 찬물을 끼얹는 듯하지만 사실 확인은 필요한 일이다.
렘브란트의 <야경>이 밤이 아닌 낮을 배경으로 한다는 정보는 이전에 본 적이 있다.
그림의 일부가 잘린 것도 역시 그렇지만 미술 복원은 다른 이야기를 전해준다.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의 소설과 영화 덕분에 더 유명해진 베르메르.
그의 위작을 둘러싼 이야기는 다시 읽어도 재밌다.
폴리베르제르란 이름보다는 베르메르가 더 익숙한 것도 사실이다.
마르셀 뒤샹의 그 유명한 작품이 어떤 의미인지 알려주는데 이번에도 역시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
동시대 미술로 넘어오면 사실 대부분 모르는 예술가다.
신디 셔먼이나 니키 리의 사진은 그냥 보면 일반 사진이다.
하지만 일관되게 작업해온 것들을 보면서 형식과 내용의 설명을 들으면 다르게 다가온다.
우리가 막 찍는 사진과 예술가의 작업이 어디에서 갈리는지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수박 그림이 팔레스타인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도 이번에 처음 알았다.
이런 정보를 잘 전달해주지도 않고, 편향적인 시선으로 팔레스타인을 보기 때문이다.
현대 미술가의 성공 비밀이 네트워크라고 할 때 살짝 고개를 끄덕인다.
하지만 이것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란 것도 역시 말한다.
6부는 미술사 속의 여자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좀더 많은 이야기를 읽고 싶다.
이 부분만 가지고 한 권의 책을 만들어도 좋을 것 같다.
음식의 맛도 다양하게 먹어봐야 알고, 공부해야 하듯이 그림도 더 공부하고 맛봐야 한다.
기존의 미술 해설과 다른 부분이 많아 더 좋았는데 다음 책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