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헤이안 일본 - 일본 귀족문화의 원류
모로 미야 지음, 노만수 옮김 / 일빛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일본 헤이안 시대를 기억하게 된 것은 이 책에서도 여러 번 말한 유메마구라 바쿠의 <음양사> 때문이다. 물론 학창시절 세계사 시절 배운 기억이 있지만 그 당시는 그냥 단어의 나열과 암기였을 뿐이다. 그 후 만화 <음양사>로, 영화 <음양사>로, 소설 <음양사>를 통해 다른 역사서의 기억들과 함께 상승작용을 하였다. 사실은 영화나 만화로 만난 그 시대가 명확한 이미지를 만들어준 것이다. 이때 받은 인상은 상당히 강했다. 하지만 이것은 피상적이었다. 오락을 위한 소설 등에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은 체계적이지 못했고, 다른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충분히 공부할 여유도 부족했다.
일본 귀족 문화의 원류가 헤이안 시대란 말은 예전부터 들었다. 이 시대가 일본의 역사에서 어떤 의미인지 정확히는 모르지만 어렴풋이 알고는 있었다. 체계적이지 못한 공부가 이런 얕은 지식을 만들었다. 영화 이미지는 너무 강렬하여 얕은 지식을 덧칠하기에 충분히 매력적이었다. 현재의 목적에 의해 과거가 덧칠되고, 꾸며지고, 만들어지는 과정이 비단 일본뿐만이 아님을 알고 있지만 솔직히 조금은 거부감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의 글을 읽으면서 어느 부분은 지우고, 어떤 부분은 이해의 폭이 넓어졌다.
모로 미야. 이 작가에 대한 정보는 거의 몰랐다. 그녀는 일본인 아버지와 대만 어머니 사이에 태어났다. 그 때문인지 아니면 중국에서 공부를 한 탓인지 일본 작가들의 글에서 보게 되는 역사 속 한반도 영향 지우기가 이 책에선 많이 보이지 않는다. 헤이안 시대 초기 백제계를 이야기하면서 시작한 점도 상당히 특이하게 다가온다. 이후 그녀가 풀어내는 다양한 헤이안의 모습은 일본 역사와 문화에 무지한 덕분에 충분히 받아들이지 못한 대목도 많지만 전체적인 윤곽을 그리는데 많은 도움을 받았다.
책은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치와 인물, 음식남녀, 음양 신도와 불교, 문자와 문학, 다시 쓰는 겐지 모노가타리다. 이 중 관심이 가는 대목은 음식남녀와 음양, 신도와 불교의 장이다. 음식남녀에 눈길이 가는 것은 그 시대 사람들의 삶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들이 어떤 음식을 먹었고, 어떻게 일하고, 연애를 했는지 보여주는데 이 부분에서 현재에 의해 채색되고 왜곡된 많은 부분을 새롭게 알고 이해하게 되었다. 얼마 전 우리나라에서도 신라시대 음식에 대한 글이 연상되어 두 나라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더 생기기도 했다.
음양, 신도와 불교는 현재 일본의 신사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일본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신사의 탄생과 성장과 변화를 간략하게 보여주면서 이해를 도왔다. 하지만 천황에 대한 글에서 만세일계를 부각시킨 것은 메이지 유신의 유산이란 글을 본 기억이 있기에 살짝 의문을 가졌다. 한때 막대한 권력을 가졌지만 점점 상징적 존재로 바뀐 천황들이 과연 그 혈통을 그대로 이어왔는지 하는 의문은 우리나라의 한 민족이라고 강변하는 것과 너무나도 닮아있다. 언젠가 이 부분에 대해 연구한 글을 읽어봐야겠다. 그리고 현재 삶속에도 강하게 자리 잡고 있는 신도의 신에 대한 숭배와 생활화는 점점 우리의 것을 잃어가는 우리 현실을 돌아보게 만든다.
개인적으로 겐지 모노가타리 내용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 너무나도 자주 만나게 되고, 인용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저자는 한 장을 할애하여 내용을 요약하는데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았다. 그리고 그 속에서 만나게 되는 연애와 삶의 풍경은 앞에서 조금 딱딱하게 얻은 지식을 부드럽게 소화하게 만들었다. 전체적으로 쉽고 빠르게 읽히지는 않는다. 익숙하지 않은 인명과 지명과 문화가 발걸음을 자주 멈추게 한다. 물론 관심사가 아닌 부분에선 집중력이 떨어지기도 한다. 또 민중의 삶이 아닌 귀족들에 초점이 맞추어져 그 시대의 절반만 이해하게 된 것도 아쉽다. 아쉬움도 있고, 좀더 공부해야 할 부분도 있지만 헤이안 시대 삶에 조금 더 다가간 것은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