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곡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8
누쿠이 도쿠로 지음, 이기웅 옮김 / 비채 / 2008년 9월
평점 :
또 당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초반에 범인을 짐작했다. 비통한 절규와 충격적인 반전을 단서 삼아 범인을 추리했다. 하지만 작가가 만들어 놓은 함정에 빠지면서 헤맬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마지막 문장에서 가슴 깊은 속에서 우러나오는 아픔을 느꼈다. 왜 이 소설의 제목이 통곡일 수밖에 없는지 절실히 공감하게 된다.
두 개의 시점으로 전개된다. 하나는 마쓰모토라는 남자의 시점이고, 다른 하나는 유아 유괴살인사건을 좇는 형사들이다. 이 두 시점은 서로 교차하면서 진행된다. 교차하는 시점이 만나는 지점이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너무나도 분명하다. 하지만 작가는 교차하는 인물들의 심리와 행동 속에 함정을 파놓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함정을 간파할 시간을 주지 않을 정도로 이야기는 속도감 있다. 단숨에 읽히다보니 숨을 돌리고 범인에 대해 생각할 시간이 부족하다. 앞뒤를 재면서 범인에 대해 추리할 시간이 부족한 것이다. 예상한 시간보다 훨씬 빨리 책을 덮으면서 그냥 감탄만 한다.
유아 유괴살인은 최악의 범죄 중 하나다. 세상의 범죄 중 나쁘지 않은 것이 어디에 있겠는가! 단순히 어린 아이라는 것을 넘어 가장 연약하고 순수한 대상으로 벌어진 범죄이면서 한 가족을 가장 단단하게 이어주는 존재가 아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어떤 파급 효과가 나올지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작가는 피해 부모자의 감정을 간단하게 처리하면서 감상적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다만 마쓰모토라는 남자를 통해 아이를 잃은 부모의 마음이 어떠한지 강하게 보여준다.
가슴에 구멍이 나고, 삶은 구원을 바라는 마쓰모토의 행적은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범인이다. 그의 시점을 따라가다 보면 왜 그가 그런 흉악한 범죄를 저지르게 되는지 알 게 된다. 그리고 왜 사이비 종교에 사람들이 빠지게 되는지도 엿볼 수 있다. 그 자신도 분명히 사이비임을 알고 있지만 자신이 믿고자 하는 바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 이성을 압도하는 감성과 구멍 난 가슴은 흉악한 범죄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다른 하나의 시각인 형사들의 범인 추적은 정말 힘든 과정의 연속이다. 경시청 수사 1과장 사에키와 그를 경원하는 오카모토의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야기 속엔 탐정 소설에서 자주 보는 명탐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형사 소설에서 자주 보는 발로 뛰고, 토론하고, 힘겨워하는 현실만 담겨 있다. 특히 사에키라 과장은 대단한 배경 때문에 일선 형사들의 질시를 받는 존재다. 유력한 정치인의 사생아이자 경시청 장관의 데릴사위다. 이 인물은 냉정하고 빈틈이 없는 것 같다. 배경으로 그 자리에 오른 것이 아니라 자신의 능력으로 올랐다. 하지만 배경이 화려하니 사람들은 선입견을 가지고 그를 본다. 질투도 많다. 그리고 그의 사생활은 결코 행복하지 않다. 사랑으로 했다고 생각한 결혼이 정략결혼임을 알게 되면서 그의 감정은 싸늘하게 식게 된다. 아내의 불륜도 한 목을 한다. 이 현실에서 벌어지는 유아 유괴살인사건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결과를 낳는다.
소설은 단순히 서술 트릭만을 보여주기보단 일본 경찰의 모순과 매스컴의 과다한 경쟁과 보도의 윤리성도 다룬다. 그리고 사이비 종교가 어떤 식으로 전도를 하고, 종교가 얼마나 거대한 사업인가를 말하는 대목에선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수익 금액을 이야기할 때는 놀라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그 무엇보다 마쓰모토란 인물의 내면을 파헤치면서 인간의 한계를 의심하게 만든다. 아마 이 소설이 강하게 가슴으로 파고드는 이유도 바로 마쓰모토의 변해가는 모습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문장. 서술 트릭을 다룬 소설 중 이 소설이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은 책 속에 수많은 단서를 풀어놓았기 때문이다. 다만 읽기 과속을 하다 보니 이 단서를 충분히 취합할 시간이 부족했을 뿐이다. 다시 대충 복기를 하다 보니 놓치거나 그냥 지나간 확실한 단서들이 눈에 들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