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속 텔레비전은 얇고 평평한 물건이 아니다. - P62
그 슬픔은 두툼하고 두툼하다. 어른들은그 슬픔을 누르고 눌러서 더 얇게 표현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너무 얇아져 버리면 그것을 과연 슬픔이라고 할 수 있을까. - P64
약해 보이는 소수가 큰 힘을 만들어 내듯 어린이는 서로 힘을 모아 자신들의 작은 몸을 지킨다. 해인이법, 하준이법, 태호와 유찬이법, 민식이법, 나영이법, 한음이법은 모두 어린이의 희생으로 만들어져 다음에 올 어린이를지키는 법의 이름들이다. - P67
다. 진심을 구별할 줄 아는 그들에게 진심을 들키는 어른이되고 싶다. - P70
그의 제자이기도 한 자신의 자녀에게 조화를 보여 주고 싶지 않다는 학부모의 글을 보았다. 슬픔을 모르게 키우고 싶은가. 그건 사람을 기르는 방식이 아니다. 애통한 마음으로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 P74
광주라는 도시의 아픔을 안다고, 한강의 소설 『소년이온다』(창비 2014) 영문판을 읽었다고 대답했다. - P76
온종일 사무실의 고성과 씨름했던 누군가는 책방에 들르는 잠깐 동안 비로소 호흡을 가라앉힐 것이다. 책 속에서 내일의 자신과 함께 출근할 문장을 고르며 침묵의 자유를 즐길 것이다. - P90
어린이의 웃음 속에서 구원과 행복을 구하면서그들의 눈물과 비명은 외면한다. - P93
어린이를 비롯한 모든 약자는 세계와 투쟁하며 성장하고 독립한다. 어린이는 그 과정에서 고분고분하지 않으며, 점점 더 강한 사람으로 자란다. 그 필연적 성장을 두려워하는 건 약자를 영원한 도구로 여겨 온 사람들일 것이다. - P96
창작의 고뇌를 담은 조심스러운 편지 끝에서 권정생 선생님은 "목숨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쓰면 다른 어떤 기교나 재주는 별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라고 조언하면서, "아동문학은 이렇게 목숨에 대한 애정을찾아 써 놓은 사랑의 문학인 것입니다."라고 글을 맺는다. - P97
어떤 존재가 무난한 호감과 함께 회자된다는 것은 그존재의 개별적 권리가 정확히 반영되지 않고 있으며 포괄적옹호의 감정 안에 주체의 목소리가 뭉뚱그려지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 P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