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 날카로운 절단면이 모두 마모된 해변의 유리알처럼, 둥글게 빛났으나 더는 깨지지 않기로 작정한 듯 단단한 느낌이었고 스물여섯이라는 그의 나이를 고려하면 그 단단함은 시린 구석마저 있었다. - P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인정에서 만나 단짝이 된 두 노인. 누구라도 먼저 죽을때가 다가오면 서로의 곁을 지키자고 약속한 두 노인이 있다.
웃으며 했던 그 말은 한 노인이 타지에 사는 자식에게 갔다가그곳에서 쓰러지며 현실이 된다. - P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이 막힐 땐 다시 처음으로방대한 문헌들을 보실 텐데, 필요한 문장이나 자료를아카이빙해두는 선생님의 노하우가 있을까요?
"적재적소에 적절한 문장을 인용하는 능력은 정말 부럽죠.
아주 옛날에는 책에서 밑줄 친 문장만 따로 어딘가에 적어놓기도하고 그랬어요. 오래 못 가더라고요. 하나라도 더 읽어야 해서읽은 걸 정리할 시간이 없어요. 그리고 인용문을 너무 소중히 품고있으면 글이 그걸 살리기 위해 움직이게 돼요. 본말이 전도되는현상이죠. 이제는 일단 인상적인 문장이 있으면 머릿속에적어두고 나중에 운 좋게 떠오르기를 바라는 식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나 씨가 정원에 내려가 산책을 하자고 제안한 것은 아버지인 이시진 씨의 연명치료를 중단하기로 결정한 아침이었다. 환자나 보호자와 친분을 맺는 편이 아니었음에도 나는 기꺼이 그러자고 했는데 그것이 우리 둘 모두에게 필요한 일이라 느꼈기 때문이었다. 오후 회진을 끝낸 나는 510호실로 가서 유나 씨와 함께 요양병원 구내매점으로 내려갔다. - P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분명 처음에는 잘 안될 수도 있다는 불안감도 있었을 거고, 거기에 주변의 악담 아닌 악담까지 들으면서 어떤 생각을 했어요? 그럼에도 뛰어들 수있었던 이유는 뭔가요?
실제로 퇴사를 하고 나서 금방 불안감이 찾아왔어요. 그런 걸 해소하기 위한 어떤 울타리 같은 게 필요했고, 그게 저한테는 아로파 모임이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저는 단순히 가게가 아니라 공동체를 운영한다고 스스로 생각을 했던 거 같아요. 저희끼리 계속 규칙을 만들어가고있고, 혼자 하는 게 아니라 매달 모여서 회의를 하면서 하나의 그룹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생각했어요. - P151

여기가 원래 엄청난 구옥이잖아요. 이런 곳을 분위기 있는 바로 만드는 게 쉽지 않은 작업이었을 것 같은데, 심지어 직접 했다면서요?
이 건물이 일제 강점기부터 있었던 걸로 알고 있는데, 옛날에는 여관이었대요. 명동에 오는 일본 사람들이 묵고 가는 곳이어서 이 라인 전체가 다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거라고 하더라고요. 저희가 들어올 때는 인쇄 기획 사무실이었어요. 이걸 바로 만들어야 하는데, 인테리어를잘 아는 게 아니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저희도 인테리어를 하시는 분들한테 견적도 받아봤어요. 근데 기본 5천만 원씩 부르는 거예요. 저희는보증금까지 다 합쳐도 3천만 원 갖고 있었는데.(웃음) 할 수가 없는 금액이었고, 그래서 블로그에서 셀프 인테리어 정보 찾아보면서 직접 만들게 됐죠. - P153

지금은 ‘을지로의 터줏대감‘이 됐잖아요. 저희가 저번에 왔을 때도 줄이 엄청 길더라고요. 멤버들이랑 가게가 왜 잘되는지 얘기해본 적 있나요?
"근데 여기를 왜 오는 거야? 진짜 여기 왜 오지? 짜파게티는 집에서 먹으면 되는데 여기 왜 오지?" 식으로 저희끼리 얘기하기도 했죠.(웃음) 저희가 내린 결론은, 여기가 되게 생뚱맞은 곳에 있잖아요. 골목을 접어들어 왔는데 전혀 와인바가 없을 거 같은 곳에 갑자기 이런 공간이 나오니까 그런 반전 요소를 사람들이 많이 좋아해주신 것 같고요. 그러다 보니까 다른 친구한테도 "내가 진짜 되게 이상한 데를 발견했는데 같이 가보자." 하는 식으로 알려주고 싶고, 그게 재방문으로 이어진 게 아닐까 싶어요. - P154

주의해야 할 것으로는 어떤 게 있을까요?
사실 저도 지금 주의해야 할 게 너무 많아서.(웃음) 만약에 돈이 엮이는 일을 같이 하게 된다면 친한 사이여도 어느 정도 문서화된 것들이필요할 것 같아요. 저희는 협동조합 방식에서 빌려온 정관이라는 걸 따로 만들었다고 했잖아요. 그런 식으로 권위 있는 문서는 필요할 것 같아요. 저희는 사실 이걸 공증하는 단계까지 거치지는 않았어요. ‘우리 서로가 서로에게 공증인이 된다‘ 같은 어떻게 보면 낭만적이고 귀여운문장들이 문서화되어 있는 건데, 어떤 방식이 되더라도 명문화해서 처음부터 룰을 잘 세우는 게 좋지 않을까 싶어요. - P1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