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들춰 보는 책이 여러 권 있긴 하지만 이 여름에 완독할 계획을 가지고 책 한 권을 고르고 싶었다. 올여름이 무덥고 길게 느껴질 것 같아 책을 읽는 재미로 여름을 보내고 싶어서다. 그리하여 고른 책이 「고리오 영감」이다. 이왕이면 꼼꼼히 읽고 좋은 문장은 밑줄을 그어 표시해 두었다가 필사해 보기로 했다.
필사하면 네 번 읽게 되는 이점이 있다. 첫째, 글을 읽는다. 둘째, 밑줄을 그으며 또 읽는다. 셋째, 필사하기 위해 또 읽는다. 넷째 필사한 뒤에 틀린 글자를 찾아내 바로잡기 위해 또 읽는다.
볼펜으로 필사하니 팔이 아파서 요즘은 노트북으로 필사한다.
오노레 드 발자크, 「고리오 영감」
아무런 근심 없이 행복하게 칠 년을 지낸 다음, 불행하게도 그의 아내는 죽었다. 아내가 고리오에게 감정의 영역을 벗어나서 지배력을 행사하기 시작하려는 때였다. 어쩌면 그녀는 그의 무기력한 감정을 계발하고 세상과 인생에 대한 지혜를 그에게 가르쳐주었는지도 모른다. 이런 상황에서 고리오에게 부성애가 부조리하게 나타났다. 아내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배반당한 듯한 그의 사랑은 두 딸에게로 옮아갔다.(123쪽)
아내가 죽자 그의 마음이 두 딸에게로 옮아간 것은 잘못한 일이었을까.
돈이 많았던 고리오 영감은 두 딸에게 전 재산을 다 쓴 뒤에 그 딸들에게서 버림을 받고 싸구려 하숙집에서 살고 있다. 그가 아내와 사별하지만 않았어도 그렇게 되지 않았을 것 같다.
고리오의 딸에 대한 무분별한 헌신과 시기심 많고 세심한 사랑은 너무도 잘 알려져 있었다.(123~124쪽)
무분별한 헌신은 배반을 당하는 결과를 부르는 경우가 많다.
전에 알고 지내던 사람한테 들은 얘기가 있다. 얘기는 이러하였다. 아내가 장사로 고생고생하며 돈을 벌어 그 덕분에 남편이 의사가 될 수 있었는데, 의사가 된 뒤 남편이 아내에게 이혼하자고 했다. 남편을 뒷바라지한 결과였다. 이상하게도 헌신하면 헌신짝 같은 신세가 되는 일이 많다.
자연히 그는 두 딸을 교육시키는 데 무리했다. 고리오는 매년 육만 프랑 이상을 벌어들이는 부자였지만, 자신을 위해서는 천이백 프랑 이상 쓰지 않았다. 딸들의 기분을 충족시키는 것만이 그의 행복이었다. (...) 아무리 돈이 많이 들더라도 딸들이 원하면, 이 아버지는 서둘러서 그 소망을 만족시켜 주었다.(124쪽)
부모가 자식이 원하는 것을 다 들어주면 버릇없는 자식을 만드는 꼴이다. 부모는 자식이 자기 욕구를 제어할 줄 아는 사람으로 키워야 한다. 부모를 위해서도, 본인을 위해서도.
인생이란 부엌보다 더 아름답지 않으면서도 썩은 냄새는 더 나는 거라네. 인생의 맛있는 음식을 훔쳐 먹으려면 손을 더럽혀야 하네. 다만 손 씻을 줄만 알면 되지. 우리 세대의 모든 윤리가 거기에 있네.(149쪽)
세상을 알고 있다고 말하는 보트랭이 으젠에게 하는 말이다. 청년 으젠보다 나이가 훨씬 많은 보트랭이 자신이 터득한 요령을 으젠에게 알려 주고 있는 것이다. 가난한 사람이 삶을 성공으로 이끌고 싶다면 남의 것을 훔쳐야 한다고 한다. 예를 들면 부유한 집의 딸과 결혼하여 처가 덕을 보는 것.
내가 자네한테 해줘야 할 충고가 있다면 자네 의견이나 얘기에 너무 고집 부리지 말라는 것일세. 다른 사람들이 자네가 고집을 꺾길 바란다면 팔아버리게. 자기 견해를 절대로 바꾸지 않는다고 자랑하는 사람이란 항상 외곬에 빠진 사람이고, 자신이 절대로 실수하지 않으리라고 믿는 바보일세. 원칙이란 결코 없네. 단지 사건들만 존재한다네. 법률이란 없네. 오로지 상황만이 있을 뿐이지. 뛰어난 사람은 사건과 상황에 순응해서 그것을 조종하는 법이야.(154~155쪽)
줏대 없이 남의 말에 뇌동하는 것도 문제지만, 자기주장을 굽힐 줄 모르는 것도 문제다.
위대해지고 부자가 되기를 원한다는 것은, 거짓말하고 굴복하고 굽실거리고, 다시 일어나서는 아첨하고 속이겠다고 결심하는 게 아닌가? 이미 거짓말했고, 굴복했고, 슬슬 기었던 자들의 하인이 되겠다고 동의해야 하는 게 아닌가?(158쪽)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이 사는 자는 출세하기 어려운 법.
마음은 좋은 길로 안내하기도 하지만 나쁜 길로 빠지게 만들기도 한다.

케이블카 안에서 찍은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