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 홈페이지에서 ‘지면 보기’를 클릭하면 종이 신문을 볼 수 있다.)
뜻밖의 결말을 보여 주는 이야기가 있다. 오 헨리가 쓴 '마녀의 빵'이라는 소설이다. 마사 양은 미혼 여성이고 마흔 살이다. 작은 빵집을 운영하는 그녀는 중년 남자인 단골손님에게 관심을 갖는다. 그 손님은 낡은 옷을 입었지만 말쑥해 보였고 예절이 깍듯했다. 그는 늘 저렴하게 파는, 오래 묵어 딱딱한 빵 두 덩어리를 샀다. 언젠가 마사 양은 그의 손가락에 적갈색 얼룩이 묻은 걸 보고 그가 무척 가난한 화가라고 믿었다. 그녀는 그를 시험하기 위해 빵집에 일부러 그림을 갖다 놓았는데, 그 그림을 본 그가 데생이 잘된 편이 아니라고 말하는 걸 보고 그가 화가인 게 확실하다고 느꼈다.
어느 날 그 손님이 평소처럼 묵은 빵을 달라고 했다. 마사 양의 머리에 기발한 생각이 떠올라 딱딱하게 굳은 빵 두 덩어리 안에 손님 몰래 버터를 듬뿍 넣어 손님에게 주었다. 그에 대한 호감의 표시였다. 그날 그 손님과 낯선 남자가 빵집에 왔다. 그 손님은 그녀를 향해 고래고래 악을 쓰기도 하고 "당신이 날 망쳐 놨어" 하고 소리도 질렀다. 마사 양은 낯선 남자에게서 그 손님이 성난 이유를 듣게 되었다. 그는 화가가 아니라 제도사이고 공모전 수상이 걸려 있는, 새 시청 설계 도면을 그리느라 석 달 동안 열심히 작업했다고 한다. 제도사들은 연필로 도면을 그리고 잉크 작업을 끝내고 나면 굳은 빵 부스러기를 문질러서 연필 선을 지워 버린단다. 그런데 그녀가 빵에 살짝 넣은 버터 때문에 그의 설계 도면이 쓸모없어졌다고 한다. 마사 양의 부정확한 추측이 결과적으로 그를 그토록 화나게 만들었던 것이다.
우리도 소설 속 마사 양처럼 제멋대로 추측할 때가 얼마나 많은가. 예를 들어 보겠다. 친구가 약속 시간에 늦게 오면 자기를 소홀히 여기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알고 보니 늦을 만한 이유가 있어서 늦었던 것. 연인이 하품을 하면 자기와 함께 있는 시간이 지루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알고 보니 전날 밤에 잠을 제대로 못 자서 하품을 했던 것.
무섭게 생긴 괴물이 그려진 영화 포스터가 있다고 하자. 이것을 낮에 볼 때와 밤에 볼 때에 그 느낌이 각각 다르리라. 또 같은 사물이라도 내 마음이 평온할 때와 불안할 때에 그 느낌이 각각 다르리라. 이렇게 시간이나 마음의 상태에 따라 느낌이 달라지니 그 느낌에 바탕을 둔 추측을 믿어서야 되겠는가.
인간은 자신이 좋아하는 이를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고, 자신이 싫어하는 이를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쉽게 말해 우호적 관계에 있는 사람이 잘못한 게 있으면 '인간이니까 그럴 수 있지' 하고 너그럽게 이해하고, 적대적 관계에 있는 사람이 잘못한 게 있으면 '그럴 줄 알았어' 하고 못마땅히 여긴다. 즉 호불호의 감정에 따라 대상에 대한 시각이 달라진다. 상대의 본모습이 어떠한가 하는 것에 개의치 않고 주관적으로 해석할 뿐인 것이다. 이와 같이 주관적 해석에 바탕을 둔 추측을 믿어서야 되겠는가.
대체로 본인의 추측이 틀릴 수 있다고 여기기보다 맞다고 여기기 쉽다. 오판 가능성 따위는 염두에 두지 않고 추측이 강한 확신으로 변하기도 한다. 한 점의 의심 없이 추측이 고정 관념으로 자리잡아 극단적 편견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우리 모두에게 있다. 누구나 잘못된 추측의 가해자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물론 머릿속에서 추측하는 건 자유다. 하지만 추측한 내용을 글이나 말로 표현하여 누군가에게 큰 고통을 주었다면 그것은 악행이 된다. 추측으로 쓴 악성 댓글이 그 대표적인 예다. 자존심을 크게 다치게 하는 추측성 말 또한 당사자에게 깊은 상처를 줄 수 있다.
'병이 생기면 죽겠지'라는 속담이 있다. 병이라고 다 죽는 것은 아닌데 덮어놓고 병이 생기면 죽겠거니 하고 생각한다는 뜻으로, 사리에 맞지 않는 추측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누구든 자신의 추측이 빗나간 적이 한두 번이 아닐 것이다. 이를 떠올려 보면 추측은 터무니없는 상상이었으니, 추측은 추측일 뿐 사실이 아니라고 보는 것이 현명하다. 그러므로 '모든 추측을 경계하라'라는 말을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
경인일보의 오피니언 지면에 실린 글입니다.
아래의 ‘바로 가기’ 링크를 한 번씩 클릭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원문 ⇨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20901010000043
...................................
이 글과 관련한 책
<후기>...................................
글을 쓰는 게 무척 어려운 작업이라는 것을 새삼 깨닫게 해 준 칼럼입니다.
글을 쓰는 모든 이들을 응원합니다.